• Title/Summary/Keyword: renal artery

검색결과 323건 처리시간 0.024초

Biphasic augmentation of alpha-adrenergic contraction by plumbagin in rat systemic arteries

  • Kim, Hae Jin;Yoo, Hae Young;Zhang, Yin Hua;Kim, Woo Kyung;Kim, Sung Joon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1권6호
    • /
    • pp.687-694
    • /
    • 2017
  • Plumbagin, a hydroxy 1,4-naphthoquinone compound from plant metabolites, exhibits anticancer,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ies via modulating various signaling molecules. However, its effects on vascular functions are rarely studied except in pulmonary and coronary arteries where NADPH oxidase (NOX) inhibition was suggested as a mechanism. Here we investigate the effects of plumbagin on the contractility of skeletal artery (deep femoral artery, DFA), mesenteric artery (MA) and renal artery (RA) in rats. Although plumbagin alone had no effect on the isometric tone of DFA, $1{\mu}M$ phenylephrine (PhE)-induced partial contraction was largely augmented by plumbagin (${\Delta}T_{Plum}$, 125% of 80 mM KCl-induced contraction at $1{\mu}M$). With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s (>$5{\mu}M$), plumbagin induced a transient contraction followed by tonic relaxation of DFA. Similar biphasic augmentation of the PhE-induced contraction was observed in MA and RA. VAS2870 and GKT137831, specific NOX4 inhibitors, neither mimicked nor inhibited ${\Delta}T_{Plum}$ in DFA. Also, pretreatment with tiron or catalase did not affect ${\Delta}T_{Plum}$ of DFA. Under the inhibition of PhE-contraction with L-type $Ca^{2+}$ channel blocker (nifedipine, $1{\mu}M$), plumbagin still induced tonic contraction, suggesting $Ca^{2+}$-sensitization mechanism of smooth muscle. Although ${\Delta}T_{Plum}$ was consistently observed under pretreatment with Rho A-kinase inhibitor (Y27632, $1{\mu}M$), a PKC inhibitor (GF 109203X, $10{\mu}M$) largely suppressed ${\Delta}T_{Plum}$. Taken together, it is suggested that plumbagin facilitates the PKC activation in the presence of vasoactive agonists in skeletal arteries. The biphasic contractile effects on the systemic arterie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harmacological studies of plumbagin and 1,4-naphthoquinones.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 후 신기능의 자연 회복 (Spontaneous Recovery of Renal Function after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 이기종;주현철;양홍석;이교준;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2호
    • /
    • pp.828-834
    • /
    • 2005
  • 배경: 만성 신부전증 환자들에게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수술 후 신기능보존에 더 유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만성신부전 환자들의 수술 전후의 신기능을 조사함으로써 신기능의 자연 경과를 예측하고 나아가 수술후 신기능 악화시 투석 여부 결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환자들 중 수술 전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7 mg/dL 이상이었던 만성 신부전증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기능을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 3 mg/dL를 기준으로 그 미만과(group 1) 이상인(group 2) 두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의 신기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투석의 영향을 배제한 신기능의 자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술 전후에 투석을 시행받지 않았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신기능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에 투석을 시행 받고 있던 환자 8명은 수술 후 모두 투석을 지속하였고 수술 후에 새로 투석을 시작한 환자는 3명이었다. 전체 환자들의 수술 전 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는 4.19$\pm$3.4 mg/dL이었으며, 수술 후 크레아티닌 수치는 수술 후 3일에 4.36$\pm$2.7 mg/dL로 최고치를 보였고 수술 후 5일에 수술 전 수치로 회복되었다. Group 1의 경우에는 수술 전 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1.87 $\pm$0.25 mg/dL이었으며, 수술 후 4일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최고를 보였으며(평균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2.19$\pm$0.52 mg/dL, p=0.017), 그 이후로는 감소하는 경과를 보였다. Croup 2의 경우에는 수술후 신기능의 변화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관찰 할 수 없었다. 수술 전후 투석을 시행 받지 않았던 환자들에(n=15) 있어서도 수술 후 3일에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으며(p=0.017), 수술 후 5일 이후에는 자연 감소하는 경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p=0.01).크레아티닌 제거율을 조사했던 환자들에 있어서는 크레아티닌 제거율이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와 역비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만성 신부전증 환자들에 있어서 수술 후 3$\∼$4일까지는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하나 5일 이후에는 자연 감소하는 경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가 상승하더라도 환자의 상태에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상태가 아니라면 투석 여부는 수술 후 4일 이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

허혈/재관류 손상연구를 위한 체외 신장 재관류 모델 (A model of Isolated Renal Hemoperfusion)

  • 남현숙;우흥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1-444
    • /
    • 2009
  • 허혈/재관류 손상은 장기이식 분야에서 해결해야 할 주요 문제점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퇴 동,정맥 부위에서 기존의 혈관 문합법 대신 맥관 connector를 이용하여 간단하면서 효과적인 체외 재관류 모델을 개발하였기에 소개하고자 한다. 개발된 모델이 허혈/재관류 손상연구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혈액 동력학적 평가와 신장의 재관류 후 손상 양상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재관류 모델에서 사용되는 문합 부위인 복강 대동맥의 혈압과 본 연구에서 재관류 부위로 활용된 대퇴동맥의 혈압은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허혈 손상 후 재관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미니돼지에서 적출한 신장을 HTK 용액에 24, 48시간 동안 각각 저온보관 후 대퇴부에 이식하여 재관류 한 결과, 신장의 재관류까지 수술시간은 평균 $7.0{\pm}1.1$분 소요되었으며, 3시간 재관류 후 재관류 손상 정도는 저온보관시간에 따라 증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개발된 모델이 맥관 문합 없이 간단한 관류방법이면서도 기존의 복잡한 수술에 의한 재관류 방법과 유사한 손상 모델을 만들 수 있는 효과적인 허혈/재관류 동물모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장 재관류 모델은 초기 허혈/재관류 손상 연구와 장기이식에서 이식면역연구에 효과적인 모델이라 사료된다.

관상동맥우회술 후 1년 개존성에 관한 연구 (One-year Graft Patency after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 김기봉;김현조;성기익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190-1196
    • /
    • 1997
  • 1994년 7월부터 1995년 8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흉부외과에서 시행한 관상동맥 우회술 78례 중 49례 (62,8%)에서 수술 1년 후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여 이식 혈관의 개존성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후 및 수술과 관련된 여러 위험 요소들이 개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관상동맥 우회술 후 평균 13.4$\pm$2.1개월 째에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내유동맥으로 문함을 시행한 60개소 중 3개소에서 string sign을 보였으나, 폐쇄 없이 전례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요골동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4개소는 모두 개존성이 유지되었다. 복제정맥으로 문합을 시행한 81개소 중 69개소(85.2%)에서 개존성이 유지되었으며, 12개 소(14.8%)에서 폐쇄되었다. 개존성에 미치는 위험요소로 수술 전,수술 중 그리고 합병증 등의 수술 후 요소로 나누어 일원적 및 다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내유동맥의 협착 과 복재정맥의 개존성, 폐쇄에 미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내유동맥은 환자의 연령(60세 이상),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수술 후 출혈, 및 급성신부전 등 합병증이 이식 혈관의 협착과 관련된 위험 인자였으며, 복제정맥은 우회술을 시\ulcorner 받은 관상동맥의 직경이 1.5mm 이하인 경우가 이식 혈관의 폐쇄 위험성과 관련된 위험 인자로 분석되었다(p<0.05). 관상동맥 우회술 1년 후 이식 혈관의 개존성은 내유동맥이 복재정맥보다 우수함을 보였으며 환자 연령 수술 후 대동맥 내 풍선펌프의 삽입여부, 출혈, 급성 신부전 등의 합병증 및 문합된 관상 동맥의 직경 등이 개존에 관련된 요소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수술 후 이식혈관의 폐쇄 여부에 대한 11측과 수술 방법이나 수술 후 환자의 추적 관찰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혈관 및 장관 평활근의 K-경축 발생기전 (Different Mechanisms of K-induced Contracture in Isolated Vascular and Intestinal Smooth Muscles)

  • 김기환;황상익;남기용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3권1_2호
    • /
    • pp.41-50
    • /
    • 1979
  • The activation mechanism of K-induced contracture was studied in renal vascular muscle which does not generate an action potential readily and in taenia coli which generates a spike potential spontaneously. Helical strips of arterial muscle from rabbit renal arteries and longitudinal strips of taenia coli from guinea-pig's colons, respectively, were prepared. All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 Tris-buffered Tyrode solution which was aerated with 100% $O_2$ and kept $35^{\circ}C$. Renal arterial muscles developed the contracture rapidly, which was composed of a small phasic and a large tonic components, when exposed to a 40 mM K-Tyrode solution. In the absence of external $Ca^{++}$, however, no K-contracture appeared. The contracture induced by K-depolarization was abolished by the treatment with verapamil, which is known to be a selective $Ca^{++}-blocker$ through potential-sensitive $Ca^{++}-channel$. K-contracture of taenia coli showed the contracture composed of a large phasic and a small tonic components. In the $Ca^{++}-free$ Tyrode solution, only the tonic component was abolished and almost no change in the phasic component was observed. The amplitude of tonic component was dependent on the external $Ca^{++}$; The tonic component increased dose-dependently by a stepwise increase of the external $Ca^{++}$, and this component decreased in parallel with the increase of verapamil in the external medium.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suggest that K-contracture of rabbit renal artery is the direct result of the influx of the external $Ca^{++}$, while that of taenia coli is the result of both $Ca^{++}$ influx and the release of sequestered $Ca^{++}$.

  • PDF

기립성 단백뇨를 동반한 Nutcracker 증후군 환아에서의 메산지움 증식성 병리소견 1례 (Mesangial Hypercellularity in a Patient with Nutcracker Syndrome and Orthostatic Proteinuria)

  • 이은주;하태선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0권1호
    • /
    • pp.83-88
    • /
    • 2006
  • 기립성 단백뇨는 안정시에는 요단백이 검출되지 않고 환동시에만 검출되는 양성질환으로, 정확한 병인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최근 그 원인으로써 nutcracker 현상을 보고한 바 있다. 대부분 방사선학적 검사를 통하여 진단하고 추적관찰 동안에 저절로 단백뇨의 소실을 보이나, 본 증례의 경우, 24시간 소변의 단백이 1.5 g/일 이상 검출되고 3년 이상 지속되어 신조직의 병변을 알고자 신생검을 실시하여 메산지움 증식성 병리소견을 보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Preoperative Levels of Uric Acid and Its Association to Some Perioperative Parameters in the Patients with Unstable Angina or Myocardial Infarction

  • Kang, Chan-Sik;Seok, Seong-Ja;Choi, Hwa-Sik;Kim, Dae-Sik;Choi, Seok-Cheol;Moon, Seong-Min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3-122
    • /
    • 2011
  •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a relation between serum levels of uric acid and a wide variety of cardiovascular conditions.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levels of uric acid and coronary artery disease (CAD) is still controversial. The present study was retrospectively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CAD can be stratified by the level of uric acid and there are the relationships between preoperative levels of uric acid and perioperative biochemical markers in fifty-adult patients that underwent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surgery (CABG) and twenty-normal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the control, the unstable angina (UA-group) and the myocardial infarction group (MI-group). In preoperative levels of uric acid, the MI-group was higher than control and the UA-group. The MI-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correlations than the UA-group between preoperative levels of uric acid and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cardiac markers (creatine kinase, lactate dehydrogenase and brain natriuretic peptide), renal markers (blood urea nitrogen and creatinine) or total leukocyte levels. At postoperative periods, the MI-group had higher relationships of uric acid with aspartate aminotransferase, blood urea nitrogen or creatinine levels. Although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UA-group tended to have higher correlation coefficients than the MI-group between preoperative levels of uric acid and intensive care unit-stay (ICU), or postoperative mechanical ventilation time. These results reflect that increased levels of serum uric acid may be a tool for the diagnosis of coronary heart disease and may be considered as a good predictor in assessing the cardiac and renal functions in patients with myocardial infarction or unstable angina at the preoperative period. However, further studies should be performed in a large patient population.

대혈관전위증 (S.D.D.) 치험 1례 (Complete Transposition of Great Arteries Combined with VSD and Pulmonic Stenosis (S.D.D.) -One Case Report-)

  • 강면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2권3호
    • /
    • pp.207-214
    • /
    • 1979
  • This 3-year-old girl was observed frequent exertional dyspnea and cyanosis at crying since birth. She was not premature baby and delivered at full term normally. On physical examination, she was underdeveloped-body weight 13.5 kg, height 99 cm.- and cyanotic. There was severe clubbing on fingers. There was grade II/VI ejection systolic murmur on left lateral border of the sternum. The preoperative examinations [EKG, echocardiogram, cardiac catheterization and biventriculogram] showed that complicated T.G.A. combined vena cava[S.D.D.]. Preoperatively, we decided the corrective surgery of Rastelli operation using a. pulmonary valved conduit. The operation was performed under total circulatory arrest using deep profound hypothermia combining with extracorporeal circulation. On operation, the anatomy of the heart showed that, 1. The subaortic conus was seen and subaortic muscles were hypertrophied. 2. The VSD[type II], behind the subaortic conus-about 1 cm. in diameter, was visible only through LV cavity and, 3. The pulmonary valve ring was hypoplastic and pulmonary valvular stenosis was seen also. The subpulmonic area [LV outflow tract] was obstructed with hypertrophied muscle and mitral valve. 4. Left superior vena cava was drained to RA via coronary sinus. 5. LAD coronary artery was originated from right coronary artery and ran anterior to the pulmonary artery. According to above anatomy, we performed the VSD closure with Teflon patch, and Mustard operation combined with LV-to-pulmonary artery bypass graft using the valve contained [Hancock 16 mm] conduit. Postoperatively, adequate blood pressure could be maintained under the state of using inotropic agent [epinephrine]. On the second postoperative day, the patient died of cardiac arrest due to low cardiac output syndrome, acute renal failure and pulmonary edema.

  • PDF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임상성적 (Clinical Outcomes of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

  • 신제균;김정원;정종필;박창률;박순은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1호
    • /
    • pp.34-40
    • /
    • 2008
  • 배경: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개발은 심폐바이패스로 일어나는 부작용을 피함으로써 관상동맥우회술의 적용범위를 더 확대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심폐바이페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은 심근보호 폐 및 신기능의 보호, 혈액응고 장애 예방, 전신 염증 반응 및 인지기능의 예방 등에서 이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관상동맥우회수술을 좀 더 작대 적용할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하여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의 임상성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7년 8월까지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310예의 한자 중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한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63명, 여자가 37명이었으며 평균연령은 $62{\pm}10$세($29{\sim}82$세)이었다. 수술 전 진단은 불안정성 협심증이 77예, 안정성 협심증이 16예이었으며 급성심근경색증인 경우가 7예이었다. 동반된 질병은 고혈압이 48예, 당뇨병 42예, 신부전증의 경우가 10예이었고 만성폐쇄성폐질환이 5예, 경동맥질환이 동반된 경우가 6예이었다. 수슬 전 평균 심박출률은 $56.7{\pm}11.6%$ ($26{\sim}74%$)였다. 관상동맥조영술에서 심혈관질환이 47예, 이혈관질환이 25예이었고 단일혈관질환이 24예였으며, 이 중 좌주관상동맥협착이 있는 경우가 23예이었다. 내흉동맥은 97예에서 경상이식편으로 획득하였고 요골동맥과 대복재정맥은 각각 70예, 45예이었으며 이 중 내시경을 사용한 혈관 확보는 각각 53예, 41예 이었다. 결과: 평균 $2.7{\pm}1.2$개의 문합을 하였다. 일측 내흉동맥은 95예(95%)에서 사용되었으며 요골동맥이 62예, 대복재정맥이 39예였고 양측 내흉동맥은 2예에서 시행되었으며, 100예 중 연속문합은 46예가 있었다. 각각의 관상동맥별 문합 수는 좌전하행지가 97개소, 둔각변연지가 63개소, 대각지가 53개소, 우관상동맥이 30개소, 중간분지가 11개소, 후하행동맥이 9개소, 그리고 후측방분지가 3개소였다. 수술 중 심폐바이패스로 전환한 경우는 4예 있었다. 전체 100예 중 72예에서 퇴원 전 관상동맥조영술 혹은 다중절편 컴퓨터 단층촬영술을 이용한 관상동맥영상술로 확인하였는데 198문합 중에 184문합(92.9%)에서 개통성이 유지되었다. 수술 후 1예에서 패혈증으로 사망하였으며, 뇌경색 1예와 창상 감염 1예가 있었고 술 후 부정맥과 심근경색증은 없었다. 수술 후 평균 인공호흡기보조시간은 $20{\pm}35$시간이었으며 중환자실 체류시간은 $68{\pm}47$시간이었다. 수술 중 평균 수혈양은 $4.0{\pm}2.6\;pack$이었다. 결론: 저자들은 100예의 심폐바이패스 없는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여 좋은 성적을 얻었기에 관상동맥우회수술의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수술이라 제시할 수 있겠다.

치밀한 유착조직을 형성한 수신증을 가진 개에서 신요관절제술을 위한 세심한 접근 (Careful Approach for Ureteronephrectomy in a Dog with Hydronephrosis causing Dense Adhesion)

  • 김영기;엄미영;이스캇;왕지환;박기태;진영배;이희천;이효종;연성찬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3-358
    • /
    • 2009
  • 편측 수뇨관증과 수신증으로 내원한 개에서 편측성 신요관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개복 시 유착조직이 신장의 안쪽 면에서부터 복대동맥 위까지 형성되어 있었으며, 등쪽안쪽면과 복대동맥 사이에 유착조직이 형성되어 있었다. 또한 좌측 난소가 신장의 꼬리쪽 극에 유착되어 있었다. 유착조직의 형성으로 인해 신장 동맥과 정맥을 구별하여 결찰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기 때문에 신장의 안쪽면 두 곳에서 집단결찰을 시행한 후 유착조직을 신장의 안쪽면에서 분리하였다. 신장의 등쪽안쪽면과 복대동맥사이에 형성된 유착조직으로부터 신장을 분리하기 위해 유착조직을 절개해 나갈때 신장동맥의 절제로 인한 출혈이 발생하였다. 출혈의 원인은 복대동맥에서 분지되어 나온 신장동맥부위가 신장의 등쪽안쪽면과 유착이 되어있었기 때문에 신장의 안쪽면에 적용한 집단결찰에 신장동맥이 포함되지 못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발생된 출혈은 절제된 신장동맥의 이중결찰과 전기소락기를 이용하여 멈추게 하였다. 본 증례를 통해, 신장이 주변복강 장기와 심하게 유착되어 신장 동, 정맥을 구별하여 결찰하기 힘든 경우 집단 결찰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집단결찰법은 해부학적으로 신장 동, 정맥이 신장으로 들어가는 안쪽면 뿐만 아니라 유착이 형성된 신장의 모든 면에 선택적으로 적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