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agenesis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18초

신석회화와 소뇌 충부의 무형성을 동반한 Joubert 증후군 1례 (A Case of Joubert Syndrome Associated with Nephrocalcinosis and Agenesis of Cerebellar Vermis)

  • 김지희;신혜경;홍영숙;이주원;김순겸;유기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6권2호
    • /
    • pp.266-271
    • /
    • 2002
  • Joubert 증후군은 소뇌 충부 무형성을 특징으로 하며 근 긴장 저하, 불규칙적인 호흡, 발달 지연, 안진, 망막 이형성, 낭종성 신질환, 간 섬유증, 다지증 등이 동반되는 증후군이다. 이 질환에서는 소뇌 충부의 병변과 신장의 병변이 무작위적으로 함께 나타나기도 하는데, 저자들은 소뇌 충부 무형성, 근 긴장저하, 안진, 무호흡 등이 있어 Joubert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아가 신장 수질 석회화 병변과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한 1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esease Coexisting with Renal Dysplasia. First Case Described and Followed Since Prenatal Period

  • Truyols, Carmen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2권2호
    • /
    • pp.64-66
    • /
    • 2018
  •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ADPKD) is the most frequent hereditary renal disease and causes terminal chronic renal failure. ADPKD is characterized by bilateral multiple renal cysts, which are produced by mutations of the PKD1 and PKD2 genes. PKD1 is located on chromosome 16 and encodes a protein that is involved in cell cycle regulation and intracellular calcium transport in epithelial cells and is responsible for 85% of ADPKD cases. Although nine cases of unilateral ADPKD with contralateral kidney agenesis have been reported,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early childhood ADPKD. Here, we report the only case of unilateral ADPKD with contralateral kidney dysplasia in the world in a four year-old girl who was intrauterinely diagnosed since she was 20 weeks old and followed for four years until present.

Computed Tomographic Features of Gallbladder Agenesis in a Golden Retriever

  • Yujung Lee;Dongjun Kim;Jeongin Choi;Youngwon Lee;Hojung Choi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43-48
    • /
    • 2024
  • A two-year-old, intact female Golden Retriever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with a portosystemic shunt (PSS) during a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at a local animal hospital. The serum biochemistry revealed elevated liver enzymes and bile acid levels. The abdominal radiographic examination revealed mild serosal detail loss and microhepatica, while abdominal ultrasonography revealed mild ascites and high-velocity flow to the caudal vena cava (CVC) suspected as a PSS. The gallbladder was not observed within the hepatic parenchyma during ultrasonography. Computed tomography (CT) revealed an absent gallbladder and dilation of the common bile duct (CBD). Dilations of the gastroduodenal, splenic, colic and renal veins were also observed. A dilated left phrenico-abdominal vein that entered the CVC was previously misinterpreted as a PSS on the ultrasound examination. Based on the imaging examinations, the dog was diagnosed with congenital gallbladder agenesis associated CBD dilation.

Sperm retrieval by conventional testicular sperm extraction for assisted reproduction in patients with Zinner syndrome

  • Cito, Gianmartin;Gemma, Luca;Giachini, Claudia;Micelli, Elisabetta;Cocci, Andrea;Fucci, Rossella;Picone, Rita;Sforza, Simone;Nesi, Gabriella;Santi, Raffaella;Minervini, Andrea;Masieri, Lorenzo;Carini, Marco;Coccia, Maria Elisabetta;Natali, Alessandr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8권1호
    • /
    • pp.85-90
    • /
    • 2021
  • We present data from three Caucasian men with Zinner syndrome who attended our center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couple's infertility. Each patient was scheduled for conventional testicular sperm extraction (cTESE) and cryopreservation. Sperm analysis confirmed absolute azoospermia. Patient 1 had right and left testis volumes of 24 mL and 23 mL, respectively; left seminal vesicle (SV) agenesis, severe right SV hypotrophy with right renal agenesis.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was 3.2 IU/L. Patient 2 exhibited right and left testis volumes of 18 mL and 16 mL, respectively; a left SV cyst of 32 × 28 mm, ipsilateral kidney absence, and right SV agenesis. FSH was 2.8 IU/L. Patient 3 showed a testicular volume of 10 mL bilaterally, a 65 × 46 mm left SV cyst, right SV enlargement, and left kidney agenesis. FSH was 32.0 IU/L. Sperm retrieval was successful in all patients. Nevertheless, cTESE should be performed on the day of oocyte retrieval.

Townes-Brocks 증후군 1례 (A Case of Townes-Brocks Syndrome)

  • 소홍섭;최현주;윤혜선;황진순;손근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4호
    • /
    • pp.382-384
    • /
    • 2003
  • 저자들은 항문 직장 기형, 손기형, 감각신경성 난청을 동반한 소이증, 일측성 신 무형성증을 증상으로 나타내고, 가족력이 없는 TBS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wo cases of unilateral renal agenesis in a dog and a cat

  • Oh, Sun-Kyoung;Lee, Jung-Min;Kim, Hak-Sang;Kim, Gyeong-Min;Lee, Sung-Ok;Canang, Jin-Hwa;Jang, Joo-Hyun;Bang, Dong-Ha;Jeong, Seong-Mok;Yoon, Hwa-Young;Choi, Min-Cheol;Yoon, Jung-Hee
    • 한국임상수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임상수의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81-181
    • /
    • 2006
  • PDF

Diagnostic imaging features of calyceal diverticulum in a cat

  • Nam, Yunjeong;Lee, Youngwon;Choi, Hojung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7.1-17.4
    • /
    • 2021
  • A seven-year-old, castrated male, Korean domestic shorthair cat was referred because of a kidney abnormality. Radiography revealed left renal agenesis and right kidney enlargement.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CT) showed amorphous calcified materials in a cyst-like lesion of the right kidney. In the excretory phase of the CT images, the lesion was opacified with contrast materials, indicating communication with the collecting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at was diagnosed with a calyceal diverticulum. A calyceal diverticulum may cause various clinical symptoms related to the urinary system. The excretory phase of CT is useful for diagnosing a calyceal diverticulum.

소아 선천성 요로계 기형에 관한 고찰 (Congenital Anomaly of Urinary Tract in Children)

  • 신원혜;고철우;구자훈;정성광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3권1호
    • /
    • pp.88-94
    • /
    • 1999
  • 목 적 : 요로 기형은 선천성 기형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며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아 발견당시 이미 비가역적인 신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소아에서 요로계의 선천성 기형의 임상상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진단과 치료 방법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 조사 대상은 1987년부터 1998년까지 10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선천성 요로기형으로 진단된 65명의 환아로 하였고 후천적으로 발생한 수신증과 방광요관 역류 등은 제외시켰다. 이들 환아에 대한 임상상과 치료 및 경과를 임상 기록을 토대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다. 결 과 : 요로계 기형의 빈도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이 26례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 중복 요로계 11례, 일측성 신무형성 10례,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7례 등의 순이었다. 이중 8례에서 한가지 이상의 요로계 기형이 동반된 복합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11례에서는 선천성 심장병과 같은 타 장기의 기형이 동반되어 있었다. 진단 당시의 연령 분포는 1세 이하가 39명($60\%$)으로 가장 많았고 남녀 비는 2.25:1로 남아가 많았다. 내원시 주 증상은 요로 감염이 25례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혈뇨, 복부 종괴, 패혈증, 복통, 배뇨 이상 등이 있었다. 산전 초음파검사로 발견된 경우가 11례였고 입원시 고질소 혈증을 보인 경우는 모두 9례로서 이중 4례는 신우요관 이행부 협착, 방광요관 이행부 협착 및 중복 요로계등의 요로계 폐쇄질환이었다. 수술적 교정은 총 73례의 기형중 38례에서 시행되었다. 고질소 혈증을 보인 폐쇄성 요로 기형 4례중 1년에서 5년까지의 추적관찰 기간중 2례에서 고질소 혈증이 소실되었으며 같은 추적관찰 기간중 새로이 신기능 저하를 일으킨 례는 없었다. 결 론 : 요로의 선천성 기형은 높은 빈도로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특이적인 증상을 나타내지 않아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다. 그러므로 요로 감염, 복통, 배뇨 곤란 등의 증상이 있는 환아에서는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며 특히 산전 초음파검사의 광범위한 이용으로 요로 기형의 존재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조처를 행함으로서 신장의 비가역적 손상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99m}Tc-DMSA$ 스캔에서 일측성으로 동위원소 섭취가 안되는 환아들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Patients with Unilateral Non-functioning Kidney on $^{99m}Tc-DMSA$ scan)

  • 배현철;김현영;김병길;한상원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권1호
    • /
    • pp.31-37
    • /
    • 1997
  • 목적 : DMSA스캔은 신장의 형태학적 질환의 진단에 유용한 방사선과적 검사이다. 본원에서 DMSA스캔을 시행한 환아중 일측성으로 동위원소 섭취가 안되는 환아를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임상적 소견, 원인질환 및 동반질환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치료 및 예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80년부터 1995년까지 16년간 본원에 내원하여 DMSA 스캔을 시행한 생후 1일부터 15세 환아중 일측성으로 신기능을 상실한 경우와 5% 이내로 매우 저하되어 있는 6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성별, 연령별 분포와 내원하게 된 주소, 내원당시의 임상적 소견, 정맥내 신우조영술, 복부초음파, 배뇨성 방광요관조영술, 최종 진단명, 동반되어있는 반대편 신장 및 전신 질환, 내원당시의 혈액검사, 치료, 그리고 추적 관찰후의 결과 등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고 상호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아의 연령 분포는 평균 3.3세였으며, 특히 1세이하가 전체의 46%였고 성별 분포는 남녀 1.4:1의 비율로 남아가 많았다. 2) 내원하게된 주소는 산전초음파에서 신장 이상이 발견된 경우가 31.2%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반복적 요로감염, 복부종괴 촉지, 육안적 혈뇨, 복통 순이였으며, 다른 질환의 평가중 우연히 신장 이상이 발견된 경우도 26.2%를 차지하였다. 3) 내원당시 임상적 소견은 발열, 농뇨 등의 요로감염 증상이 가장 많았고, 고혈압, 복부종괴 촉지, 육안적 혈뇨, 변비, 무증상, 현미경적 혈뇨 순이였다. 4) 비기능성 신장의 최종진단명은 다낭성 신이형성(multicystic dysplastic kidney)이 36.1%로 가장 많았고, 수신증, 신발육부전, 신형성부전 순이였다. 5) 비기능성 신장의 치료는 47.5%에서 수술적 치료를 시행받았고, 수술적 치료중 신적출술이 75.9%(전체의 36.1%)로 가장 많았으며 그외에는 근피적 방광루조성술, 요관방광문합술, 신적출 및 신이식 순이였고, 32.8%는 치료없이 추적관찰만 했던 환아들이였다. 6) 반대측 신장에 침범된 질환은 수신증이 90.5%로 가장 많았고 신형성부전, 신원거대감소증이 각각 1례였다. 7) 총 61명의 환아중 4명이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하였는데 이들은 모두 반대편 신장에도 심한 병변이 동반되었던 경우였으며 그 외의 환아들은 비교적 예후가 좋았다. 결 론 : 신기능을 상실한 신장중 대부분은 선천적인 질환에 의한 경우였으며 양측성으로 침범된 경우 만성신부전으로 이행한 경우도 있었으나 편측으로 침범된 경우 예후가 좋은 편이였으며 양측성인 경우도 조기진단 후 수술 받은 경우 신기능이 잘 유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주산기 신장 병변에 대한 평가는 중요하며, 출생후 민감도가 높은 검사방법으로 조기에 진단하고 처치하면 비교적 예후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기형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Associated Anomalies in Children with Solitary Kidney)

  • 김주휘;이세은;정윤혜;한경희;이현경;강희경;하일수;정해일;최용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4권1호
    • /
    • pp.42-50
    • /
    • 2010
  • 목 적 :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임상적 특징과 동반기형 및 장기적 신기능 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9년 12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20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서 진단된 38예의 단일신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하였으며, 단일신은 영상검사를 통해 진단된 일측성 신장 무형성으로 정의하였고, 일측성 이형성 신의 퇴행으로 발생한 단일신은 제외하였다. 결 과 : 진단 연령의 중앙값은 6.5개월(출생직후-13세)이었고, 남자가 12명(31.6%), 여자가 26명(68.4%) 이었다. 19예(50.0%)에서는 좌측 신장이 없었고 19예에서는 우측 신장이 없었다. 산전 초음파에서 진단된 경우가 14예(36.8%), 신장 혹은 요로계 질환에 대한 검사 도중 13예(34.2%), 우연히 발견된 경우가 10예(26.3%)이었다. 동반 기형으로는 방광요관 역류 11예(28.9%)를 포함한 신장기형이 17예(44.7%), 기타 비뇨생식기계의 기형이 16예(42.1%) 그리고 다 기관 증후군 혹은 염색체 이상이 9예(23.7%)에서 진단되었다. 혈청 크레아티닌의 중간값은 0.6 mg/dL이었으며 만성 신부전이 2예(5.3%)에서 확인되었다. 결 론 : 단일신은 신장의 선천성 기형 중 상대적으로 흔한 질환이며, 일반적으로 증상이 없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단일신은 다른 기관의 이상과 연관이 되어있거나 관련된 증상이 발생한다. 단일신을 가진 소아의 연관 기형의 조기 발견과 추적 관찰이 장기적인 신 손상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