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gional innovation systems

검색결과 117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 of Earthquake Disruptions of Freight Transportation in A Megacity: Case Study for The Los Angeles Area

  • Abadi, Afshin;Ioannou, Petros;Moore, James E. II;Bardet, Jean-Pierre;Park, Jiyoung;Cho, Sungb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1호
    • /
    • pp.110-147
    • /
    • 2022
  • Many megacities are exposed to natural hazards such as earthquakes, and when located in coastal regions, are also vulnerable to hurricanes and tsunamis. The physical infrastructures of transportation systems in megacities have become so complicated that very few organizations can understand their response to extreme events such as earthquakes and can effectively mitigate subsequent economic downfalls. The technological advances made in recent years to support these complex systems have not grown as fast as the rapid demand on these systems burdened by population shift toward megacit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isks imposed on and recoveries of transportation systems in megacities as the result of extreme events such as an earthquake. First, the physical damage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oss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performance, and the corresponding economic loss from disruptions to passenger and freight traffic is evaluated. Then, traffic flows are re-routed to reduce vehicles' delay due to earthquakes using a microscopic traffic flow simulator with an optimization model and macroscopic terminal simulator. Finally, the economic impact of the earthquake is estimated nationwide. Southern California is regarded as the region of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model and provide what and how to prepare innovative resilience policies of urban infrastructure for a natural disaster occurrence.

Network, Channel, and Geographical Proximity of Knowledge Transfer: The Case of University-Industry Collaboration in South Korea

  • Kwon, Ki-Seok;Jang, Duckhee;Park, Han Woo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2호
    • /
    • pp.242-262
    • /
    • 2015
  •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al proximity and academics' formal and informal knowledge-transfer activities in the network is analyzed with a mixed research method. With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basis, we have explored the networks between academics and firms in the 16 regions of South Korea. The result shows Seoul and Gyunggi are identified as central nodes, meaning that the academics in other regions tend to collaborate with firms in these regions. An econometric analysis is performed to confirm the localization of knowledge-transfer activities. The intensity of formal channels measured by the number of academic papers is negatively, bu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proximity. However, we have not found an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ality of the channels and geographical proximity. Possibly, the regional innovation systems in South Korea are neither big enough nor strong enough to show a localization effect.

대학의 지식 및 기술이전과 지역발전: 전남대학을 사례로 (Knowledge and Technology Transfer of University and Regional Development: A Case Study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71-191
    • /
    • 2003
  • 21세기로의 진입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창의적 지식의 창출 및 기술혁신의 주체로서 대학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특히 대학으로부터 이전된 지식과 기술은 국가 및 지역발전의 원동력으로 간주되고 있으며, 따라서 오늘날 많은 대학들은 대학의 기능을 다시 정립하는 동시에 지식 및 기술이전을 중심으로 지역사회와의 다양한 협력관계를 모색하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교육, 연구, 평생학습, 이전 등 대학의 다양한 기능 중 대학의 지식 및 기술이전이 지역발전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우리나라 호남권의 대표적 국립대학의 하나인 전남대학을 사례로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남대학이 교육 및 연구활동을 통해 창출한 지식, 기술, 정보, 노하우 등을 지역사회에 이전하는 방법과 이에 따라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 즉 공간적 파급범위와 효과가 과연 어느 정도인가를 중점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전남대학의 지식 및 기술이전이 지역발전에 미치는 영향은 이전의 형태에 따라 공간적으로 서로 다를 뿐만 아니라, 지역 내외의 경제구조로부터 적잖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지식 및 기술이전의 여러 형태 중 분사창업을 통한 이전이 특히 지역과의 높은 연계성을 보여주었다. 지식 및 기술이전에 의한 전남대학의 지역발전에의 기여는 전체적으로 다소 미흡한 것도 사실이지만, 대학의 노력 여하에 따라 장차 상당 부분 개선될 여지는 있다.

  • PDF

내생적 농촌지역발전 수단으로서의 적정기술 적용 가능성 탐색 - 전남 영광군을 사례로 - (Exploring the Applicability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as a Means Endogenous Development of Rural Areas - Focused on Yeonggwang-gun in Jeollanam-do -)

  • 고경호;안병일
    • 농촌계획
    • /
    • 제25권3호
    • /
    • pp.45-57
    • /
    • 2019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licy directions to apply and activate the appropriate technology in rural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dogenous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eories.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analysis framework based on ideas, values, and strategies that are common to both endogenous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c theories and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theories, in this paper, various surveys and reviews were conducted on the study area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localization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ural areas have high potential and scalability to apply and activate the appropriate technology, particularly in the field of renewable energy, due to their nature based on local resources. Second,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first of all, togeth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role of public sector, it is necessary to plan the projects based on the cooperation network of the relevant innovation entities within and outside the regions and to build the implementation systems. Third, the training system for high skilled manpower and indigenous entrepreneurs should be stably built in order to create independent conditions, which are key elements for growth of the appropriate technology. Fourth, there is a need to find the market and establish policies that can solve the typical economic problems of rural areas such as aging population, depopulation and decline in youth, economic unrest. Fifth, in order for the appropriate technology to contribute to socio-economic innovations and the revitalization of the virtuous circle economy in the region, technical items and various business items suitable for the industrial infrastructures and autonomous conditions of rural areas are essential.

유전체 장벽 방전에 의한 벤젠의 분해 (Decomposition of Benzene by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 이용훈;이재호;박동화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13-21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유전체장벽방전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일종인 벤젠의 분해 경향과 분해 생성물의 선택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유전체장벽방전의 공정변수에 따른 벤젠의 분해율과 분해 생성물의 선택성을 높이기 위해서 반응기 내부에 촉매(H-ZSM-5, Na-Y)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대기압에서 수행하였으며, 방전전압, 체류시간, 농도 등의 공정변수에 따른 분해율을 조사하였다. 유전체 장벽방전만을 사용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여기에 촉매를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전이 같은 전압과 체류시간조건에서 보다 효과적인 벤젠의 분해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산업집적의 공간적 패턴과 구조 분석 -한국형 지역혁신체제 구축의 시사점 - (The Spatial Pattern and Structure of Industrial Agglomerations in Korea : Towards a Regional Innovation System)

  • 정준호;김선배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7-29
    • /
    • 2005
  • 본 연구는 공간적 자기상관(spatial autocorrelation) 정도를 측정하는 공간통계 기법인 MORAN I를 사용하여 산업집적의 공간적 패턴과 구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는 수도권 이외 지역의 혁신환경이 열악한 가운데 주요 산업집적지가 수도권 일대와 동남권 일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다핵형 공간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일부 산업의 경우 산업집적지는 광역 시 $\cdot$ 도 단위의 행정구역을 넘어서는 집적패턴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경제발전을 위한 최우선 과제의 하나가 산업집적과 혁신환경의 공간적 불일치라는 경제 공간구조를 조정하는 것이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16개 광역 시 $\cdot$ 도 보다는 인접한 2$\∼$3개 광역 시 $\cdot$ 도를 포괄하는 경제권역을 단위로 산업클러스터 기반의 지역혁신체제 구축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 PDF

Endlicheria anomala (Nees) Mez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활성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Anti-Melanogenic Activities of Endlicheria Anomala Extract)

  • 진경숙;이지영;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3-44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Endlicheria anomala (Nees) Mez 메탄올 추출물(EAME)의 항산화, 항염증 및 미백 생리활성을 in vitro assay 및 cell culture model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EAME의 항산화능을 분석한 결과 DPPH, $H_2O_2$로 유도한 ROS, LPS로 유도한 NO 등 다양한 산화적 스트레스원을 효과적으로 소거하였다.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들로 천연물에 의한 항산화능 활성에 의해 주로 발현이 유도되는 세효소인 HO-1, TrxR1, NQ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시료 처리 농도의 증가에 따라 세 효소 및 Nrf2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됨을 보였다. 또한 EAME는 in vitro DOPA oxidation을 강하게 저해하여 tyrosinase inhibitor로서 작용할 가능성을 시사하였고 이에 B16F10 melanocyte를 이용하여 미백 효능을 분석한 결과 유의적인 melanin 생성억제능 및 tyrosinase 효소 활성 억제능을 보였으며 이는 tyrosinase, TRP-1, TRP-2 등 melanin 생성의 핵심 작용 효소들의 단백질 발현 저해를 통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EAME가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 그리고 미백 활성을 보유함을 처음으로 밝혔으며 향후 기능성 식품 및 피부 미용 소재로서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네덜란드의 혁신클러스터정책과 시사점 (The Innovation Ecosystem and Implications of the Netherlands.)

  • 김영우
    • 벤처혁신연구
    • /
    • 제5권1호
    • /
    • pp.107-127
    • /
    • 2022
  • 본 연구는 네덜란드의 지역별 혁신 클러스터정책을 통해 네덜란드 경제의 성장동인을 찾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농업과 물류중심의 경제구조를 가진 네덜란드는 1990년대 지역 클러스터를 만들면서 첨단 허브 국가로서 역할을 충실하게 해왔고 작은 나라임에도 세계 수출의 7위를 차지하는 등 혁신국가의 이미지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그 바탕에는 혁신을 위한 체계적인 분석 접근법으로 '지역 혁신 시스템(Rational Innovation System)'의 개념을 도입하고 지역의 특색을 살린 산학연 모델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여기에는 적절한 중앙정부의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정책적 방향 제시와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산학연 모델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런 점을 종합적으로 살펴 볼 때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혁신 클러스터의 활성화이다. 둘째, Top 9을 중심으로 한 신산업육성정책과 미래산업 전략을 활성화하고 있다. 셋째, 산학연 협력을 구체화하고 있다. 넷째, 스타트업의 창업을 육성하고 있다. 이를 종합하면 네덜란드는 2019년 설립된 TechLeap은 네덜란드의 기술 생태계를 정량화하고 가속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데 자본, 시장 및 인재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이니셔티브를 통해 기술 기업이 확장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네덜란드를 미래의 기술 선도기업들을 위한 보금자리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첨단농업과 물류국가로 알려진 네덜란드는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이하여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하는 물류의 항구에서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지식항구(brainport)'로 확장하고 있다. 네덜란드는 물류 국가에서 산업화에 성공했지만 최근 지역혁신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중앙정부의 비전 제시와 지역의 특화산업을 연계한 산학연 클러스터 모델이 가장 큰 디딤돌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네덜란드의 혁신정책은 혁신 클러스터 생태계를 중심으로 지역을 개발하고 일자리 창출과 새로운 산업을 위한 투자를 통해 유럽의 '디지털 관문'으로서 역할에 보다 충실할 것으로 전망된다.

Mobile Robot Navigation in an Indoor Environment

  • Choi, Sung-Yug;Lee, Jang-Myung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456-1459
    • /
    • 2005
  • To compensate the drawbacks, a new localization method that estimates the global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by using a camera set on ceiling in the corridor is proposed. This scheme is not a relative localization, which decreases the position error through algorithms with noisy sensor data.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localization scheme is demonstrated by the experiments.

  • PDF

Innovative Spatial Analysis of Violent Crime Hot Spots in Korea: Implications for Urban Policy

  • Kyungjae, Lee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3호
    • /
    • pp.320-341
    • /
    • 2022
  • Empirical applications to explain criminogenic events are abundant. While much of the research in criminal studies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the motivations of offenders and preventing victimization from a micro perspective, there have been recent theoretical advancements that give priority to the role of spatial factors in directly impacting crime rat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inference between violent crime incidenc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local areas focusing particularly on spatial accessibility conditions in the areas. Applying discrete spatial econometrics models, this study reveal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accessibility and the formation of violent crime hot spots in South Korea. Along with other variables, it is revealed that road accessibility has a clear association with violent crime hot spot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mplications such as effective surveillance systems, land use restrictions, and advanced street ligh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