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rigerated

검색결과 497건 처리시간 0.023초

Dietary Protein Sources Affect Internal Quality of Raw and Cooked Shell Eggs under Refrigerated Conditions

  • Wang, X.C.;Zhang, H.J.;Wu, S.G.;Yue, H.Y.;Wang, J.;Li, Jie;Qi, Guang-Ha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11호
    • /
    • pp.1641-1648
    • /
    • 201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protein sources (soybean meal, SBM; cottonseed protein, CSP; double-zero rapeseed meal, DRM) on the internal quality of refrigerated eggs. A total of 360 laying hens (32 wk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six treatment groups (five replicates per treatment) and fed diets containing SBM, CSP, or DRM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with equal crude protein content (SBM-CSP, SBM-DRM, and CSP-DRM) as the protein ingredient(s). A $6{\times}3$ factorial arrangement was employed with dietary types and storage time (0 d, 2 wk, and 4 wk) as the main effects. After 12 wk of diet feeding, a total of 270 eggs were collected for egg quality determination. The egg Haugh unit (HU) in the CSP, SBM-DRM, and DRM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the SBM and SBM-CSP groups. The hardness and springiness of the cooked yolk in the CSP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other treatment groups. A lower HU, lower yolk index and higher albumen pH were observed in the DRM group compared to the SBM and SBM-CSP groups when the eggs were stored to 4 wk, and the HU was improved in the CSP-DRM group compared to the DRM group (p<0.05). Higher yolk hardness was observed in the CSP group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during storage (p<0.05), but the hardness of the cooked yolk in the SBM-CSP and CSP-DRM groups showed no difference in comparison to the SBM group. In conclusion, CSP may ameliorate the negative effects of DRM on the HU of refrigerated eggs, and SBM or DRM may alleviate the adverse effects of CSP on yolk hardness.

먹이에 따른 한국산 S-tyo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의 내구란 생산과 부화율 (Production and Hatching Rate of Resing Egg of Korean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S-type) with Different Diets)

  • 박흠기;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29-337
    • /
    • 1996
  • 한국산 rotifer, B. plicatilis, S-type를 대상으로 식물부유생물, 농축 Chlorella 및 효모류에 대한 내구란 생산과 먹이 종류에 따라 생산된 내구란의 부화율을 조사하였다. 4 종류(Chlorella ellipsoidea, Nannochloris oculata, Tetraselmis suecica, Pavlova lutheri) 가운데 N. oculata는 3,760개/20 ml로 가장 많은 내구란을 생산하였다. 그러나 식물부유생물 종류에 따른 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9 종류의 농축먹이(유지효모, 빵효모, 두 종류의 해수산 농축 냉장 Chlorella, 해수산 냉동 Chlorella, 냉동 해수산 Chlorella ($70\%$)+ 빵효모($30\%$), 냉동 해수산 Chlorella ($30\%$)+ 빵효모($70\%$), 두 종류의 냉장 담수산 Chlorella)에서 내구란 생산이 가장 많은 먹이는 냉동 Chlorella($30\%$)+빵효모($70\%$)와 냉장 담수산 Chlorella에서 각각 283개/ml로 나타났다. Rotifer $10^4$개체와 건조 먹이 1 mg당 내구란 생산은 냉동 Chlorella ($30\%$)+빵효모($70\%$)에서 각각 5,566개와 2,131개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농축 먹이에 따른 내구란의 부화율은 유지효모가 $67.4\%$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 경제적인 내구란 생산을 위하여 빵효모와 농축 냉동 Chlorella를 혼합하여 공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표고버섯가루, 자몽종자 추출물, 젖산나트륨의 단독 혹은 복합첨가가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Lentinus edodes Powder,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Sodium Lactates alone or in Combination)

  • 손선희;방주화;이홍철;김광현;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9-107
    • /
    • 2009
  • 본 연구는 표고버섯 가루를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를 제조하고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천연의 젖산나트륨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소시지에 첨가한 표고 버섯은 0.25% 수준 내에서 첨가하였을 때 제품의 품질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관능성상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는 먼저, 처리구에 의한 효과에서 젖산나트륨, 표고버섯가루, 자몽종자추출물 단독 또는 복합첨가 할 경우에도 pH, 색도, 유리수분 및 진공감량 모두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첨가한 물질의 첨가수준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반면에 젖산나트륨이나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이나 복합 첨가 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를 줄일 수 있었다. 한편, 저장기간에 의한 효과에서는 pH가 2주까지 낮아지다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명도는 다소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적색도는 저장 8주에 가장 낮아졌다. 유리 수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고, 반면에 진공 감량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고버섯을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젖산 나트륨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 혹은 복합으로 첨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몽종자 추출물과 젖산나트륨은 저지방 훈연 소시지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천연 보존제로 평가되었다.

수도권 콜드체인 클러스터 경쟁력 평가에 관한 연구 (An Evaluation of Cold Chain Cluster Competitiveness in the Metropolitan Area)

  • 안길섭;박성훈;이해찬;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181-194
    • /
    • 2020
  • 유통시장의 변화에 따라 농·수·축산물의 보관과 유통 그리고 가공식품 및 신선식품의 보관과 운송에 대한 이슈가 급부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콜드체인이 물류 서비스의 한축으로 자연스럽게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들어 활기를 띠고 있는 냉동냉장 식품 등 콜드체인 유통과 관련하여 관심을 끌고 있는 수도권 지역 콜드체인 클러스터 구축에 대한 입지 경쟁력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지식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계량화할 수 있는 CFPR(Consistent Fuzzy Preference Relations)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수도권 콜드체인 클러스터 후보지에 대한 경쟁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입지 경쟁력은 인천신항 배후부지, 경기 남부권(용인), 경기 서부권(김포 물류단지), 평택오성물류단지 순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본 연구는 냉동·냉장 물류창고 운영 전문가의 지식을 추출하여, 수도권 콜드체인 클러스터 후보지에 대한 세부적인 경쟁력 평가를 실시하고, 최적의 클러스터 후보지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향후 연구에서는 설문 대상을 신선식품 물류센터의 소유권을 확보하기 위한 구매 및 구축 결정권을 가진 기업경영자, 대기업군, 공공기업 군 등으로 구분하여 조사할 필요가 있다.

레드 비트의 첨가가 냉장저장 중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과 발색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d Beet on Quality and Color Stability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정호진;이홍철;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014-1023
    • /
    • 2010
  • 본 연구는 아질산염을 저감화 한 저지방 소시지를 개발하기 위해, 아질산염과 균질한 레드 비트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저지방 소시지(자비, 훈연)를 제조하였고, 품질특성과 냉장 저장 중 pH와 색도를 평가하였다. 레드 비트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레드 비트 1% 첨가가 저지방 자비 소시지의 적색도를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이며, 특히 아질산염 저감화 조건에서 레드 비트의 첨가는 적색도 증진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질산염 75 ppm 첨가구는 레드 비트의 첨가에 상관없이 대조구이상의 적색도를 보였으나, 레드 비트 함량이 1% 이상일 경우 황색도에서 차이를 보였다. 한편, 훈연소시지에서 레드 비트의 첨가는 아질산염 150 ppm 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명도를 감소시켰으나, 적색도는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반면에, 저장기간 동안 색도의 변화에서는 레드 비트(1%)만 단독 첨가한 저지방 훈연 소시지의 적색도가 유의적으로 감소된 반면에, 아질산염(75 ppm)과 레드 비트(0.5%)를 조합한 처리구는 저장기간 동안 적색도를 유지하였으며, 아질산염 150 ppm 첨가 대조구의 적색도와도 유사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질산염의 첨가는 저지방 소시지의 보수성과 색도에 영향을 주었고, 레드 비트의 첨가는 적색도와 발색안정성에 효과적이었다. 특히, 레드 비트 0.5%와 아질산염 75 ppm의 조합은 저장기간 중 저지방 소시지의 적색도를 유지함에 따라 아질산염을 저감화 한 저지방 소시지(훈연, 자비)의 제조를 위해서는 레드 비트 0.5%와 아질산염 75 ppm의 첨가 조합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인산염의 첨가와 침지가 저지방 소시지의 냉장저장 중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hosphate Addition Alone or in Combined with Dipping in Trisodium Phosphate Solution on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Sausage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이유미;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4-90
    • /
    • 2012
  • 본 연구는 인산염의 첨가와 침지가 저지방 소시지의 저장기간에 따른 품질 및 저장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저지방 소시지에 0.4% STPP를 첨가하고, 10% TSP 용액에 침지함에 따라 pH값이 증가하였다. STPP의 첨가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는 반면, 10% TSP 침지구의 황색도는 증가하였다(p<0.05).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명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약 5 Log CFU/g로 접종된 Listeria monocytogenes(LM) 균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4주에 8.03-8.22 Log CFU/g로 나타났고 8주에는 7.89 Log CFU/g로 약간 감소했다. 접종된 저지방 소시지의 저장 중 총균과 LM균의 성장은 10%의 TSP 침지에 의해 pH의 증가로 유의적으로 더 촉진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인산염 첨가 및 침지는 pH와 색도(명도와 황색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저장기간 중 뚜렷한 항균 및 항산화 효과는 없었다.

참치 통조림 중 향미 물질의 기원과 품질 (Origin of Flavor Compounds in Canned Tuna and Their Relation to Quality)

  • 김무남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31-737
    • /
    • 1992
  • 참치통조림을 개봉한후 냉장고$(4^{\circ}C)$에 4주간 저장하는 동안의 향기변화의 관능검사와 향기성분 분석을 하였다. 막 개봉한 참치통조림의 향은 고소한 쇠고기향과 신선한 참치통조림 특유의 냄새를 가지고 있었으나, card-boardy(1주후), 산화된 지방산(2주후, 3주후), 그리고 곰팡이냄새와 페인트 냄새(4주후)로 변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참치통조림시료로부터 126개이상의 휘발성성분이 분리되었고, 그중 54개의 화합물이 mass spectral data, $I_E$ values, 그리고 GC detector로부터 나오는 efluent를 sniffing하므로서 동정되었다. 4주간 저장 후 저급휘발성 화합물은 줄어드는반면 분자량이 큰화합물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저장기간중 감소된화합물은 1-penten-3-ol, 3-penten-2-ol, heptanal, limonene, 1-pentanol, octanal, 1-hexanol, nonanal, 2-octanone, 2-nonanone, 1-heptanol, benzaldehytde, 그리고 methyl substituted benzenes 등이었다. p-Thiocresol, 2-chlorophenol, 1,2-dichlorobenzene, dipropyl disulfide, 2-isobutyl-4,5-dimethylthiazole, diethyltrisulfide, 그리고 2-heptylthiophene은 신선한 참치통조림에는 검출되지않았으나, 개봉후 4주간 저장된 통조림에서는 새로이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들 저장중에 변화된 화합물은 참치 통조림의 품질 변화의 지표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저온저장기간에 따른 고등어(Scomber japonicus)의 이화학적 지표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Indicators in Mackerel Scomber japonicus Muscle according to Refrigerated Storage Duration)

  • 김영민;최정욱;이민경;김초롱;정재훈;박주현;김꽃봉우리;안동현;홍창욱;이주운;최재혁;장명기;남택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737-742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physicochemical indicators [K-value, lipid peroxide, and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in mackerel muscle during refrigerated storage at $4^{\circ}C$. Analyses were conducted every 3 days for 15 days. First, we visually observed changes in the mackerel. After 3 days, there were rapid changes in color and a rotten smell developed. The K-value of mackerel muscle was 4.21, 19.00, 42.13, 51.71, 71.19, and 80.34% on days 0, 3, 6, 9, 12, and 15, respectively; lipid peroxide level also increased, to 5.34, 5.44, 6.59, 7.29, 8.32, and 8.71 nmol/mL, respectively. TBARS increased from day 0 to 6,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after day 6 (0.98, 1.74, 2.73, 2.09, 1.86, and 1.93 mg Eq. malondialdehyde (MDA)/kg, respectively). The changes in K-value and lipid peroxide level demonstrated a loss of value as fresh food after day 6. The freshness of the stored mackerel had decreased by day 6 and mackerel stored for 9 days was less marketable.

쑥 사료를 급여한 거세 한우의 생산성과 냉장 저장 중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Mugwort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김병기;최창본;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0-348
    • /
    • 2009
  • 본 연구는 비육한우 50두를 공시하여 일반사료를 급여한 대조구와 야생쑥 2%를 급여한 시험구 등 2개 처리구로 나누어 생후14개월-29개월령까지 14.7개월간 비육시험하고, 생산된 고기의 육질을 분석하였다. 쑥사료를 급여한 거세한우의 생산성에서 총증체량, 일당증체량이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았고, 사료요구율이 낮아 쑥사료를 급여함으로 사료효율이 개선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대체로 정상범위로서 비육전기보다 비육후기가 더 높은 경향이었고, 비육이 진행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GOT와 GPT 및 BUN은 처리구간의 유의성은 없었다. 도체중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고, 매최장근단면적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넓었다. 육량 및 육질등급을 환산하였을 때 처리구(각 1.80점, 2.39점)가 대조구(1.70점, 2.30점)보다 높은 결과이었다. 콜레스테롤 함량에서 쑥이 첨가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가열감량 및 육색의 $L^*$, $a^*$, $b^*$, chroma 및 hue 값은 처리구간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며,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지방산에서 포화지방산은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크게 높았고, 불포화지방산은 오히려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거세한우에게 쑥을 2% 첨가, 급여하면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은 우육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