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ractometer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3초

HPLC와 DPPH radical 소거능 측정 방법의 결합에 의한 약용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Measurement of the Anti-oxidative Properties of Extract from Medicinal Plants Using an On-line HPLC-DPPH Assay)

  • 임도연;표병식;김선민;이경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4-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분리 및 분석에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는 C18 column과 UV 검출기가 장착된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와 항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되는 1, 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방법을 결합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최적화와 유용성 확인을 약용식물의 추출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적용된 HPLC-DPPH 동시 측정법의 유용성은 갈근, 건강, 유근피, 모과, 황기 등 5종 약용식물의 열수추출물과 대조군으로서 ascorbic acid의 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여 확인하였다. HPLC-DPPH 동시 측정에 앞서 추출액 중 고형분 함량을 refrac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함으로써 추출 수율에 따른 활성 차이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근, 모과, 유근피 열수추출물의 라디칼 소거능이 대조군으로 사용된 ascorbic acid와 비교하여 7.77%, 4.71%, 4.19%로서 다른 열수추출물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측정법은 실제 활성 성분의 분리 및 분석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 및 시약의 낭비를 줄일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굴절부등안과 동등안의 양안 굴절요소 차이 비교 (A Comparison of Refractive Components in Anisometropia and Isometropia)

  • 심현석;심준범;김은석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7-193
    • /
    • 2011
  • 목적: 굴절부등안과 동등안에서 안축장, 각막굴절력, 전방깊이,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 등의 차이를 비교하여 굴절요소와 굴절부등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2010년 8월부터 2010년 9월까지 광주광역시 B병원에서 굴절검사를 통해 안경과 콘택트렌즈 처방을 받고자 하는 환자 중 2.7~15.3세 총 83명, 굴절부등안 45명(90안)과 굴절동등안 38명(76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IOL Master를 이용 안축장과 전방깊이, 각막곡률반경, 각막굴절력을 측정하였고, Auto-refractometer를 이용하여 굴절이상을 측정하였다. 결과: 굴절부등안은 안축장이 유의하게 차이가 났으며, 굴절부등안과 동등안에서 굴절이상, 안축장,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굴절부등을 일으키는 요인은 45명 전원이 안축장으로 나타났다. 굴절요소 중 안축장,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는 상관성이 높았고, 각막굴절력은 상관이 없었으며 전방깊이는 상관성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굴절이상은 대부분 안축장에 의한 축성 비정시이었으며, 굴절부등의 원인도 다른 굴절요소와는 상관성이 적고, 안축장 차이가 주된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완전교정과 저교정 상태에서 조절반응 변화량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Accommodative Response Change on the Full Vision Correction and Low Vision Correction)

  • 배성현;곽호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5-81
    • /
    • 2012
  • 목적: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완전교정과 저교정 상태에서 실제 일어나는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여 조절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30세($21.14{\pm}2.00$세)의 대학생 79명(남 58명, 여 21명)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은 시력이 1.0일 때, 저교정은 임의적으로 플러스 렌즈를 부가하여 0.8, 0.7, 0.6일 때의 조절 반응량을 5.0 m, 1.0 m, 0.50 m, 0.33 m, 0.25 m에서 측정하였다. 피검사자를 대상으로 주시거리에 따른 1.0, 0.8, 0.7, 0.6 시력 상태에서 조절 반응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우안 좌안 모두 완전교정 상태(1.0)가 저교정 상태(0.7) 보다 조절 반응량의 값이 크게 나타났다(p=0.000). 완전교정 상태가 저교정 상태(0.7) 보다 주시거리가 짧아질수록 조절 반응량의 변화가 더 크게 나타났다. 주시거리에 따른 시력과 조절 반응량의 상관관계는 거리가 짧을수록 더 낮게 조사 되었다. 결론: 장시간 근거리 작업은 조절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저교정을 하여 눈의 안위를 편안하게 하는 것이 안정피로 증상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에서 조절반응 변화량의 비교 (Comparison on Accommodative Response Changes in the Normal Group and Convergence Insufficiency)

  • 곽호원;이세희;곽형빈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79-85
    • /
    • 2014
  • 목적: 정상군과 폭주부족군을 대상으로 양안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Nvision-K5001, shin-nippon, Japan)를 이용하여 시교정 상태에 따른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여 조절의 변화량을 조사하였다. 방법: 피검자는 등가구면 굴절력 평균이 우안은 $-2.28{\pm}2.03$ D이고, 좌안은 $-2.18{\pm}2.01$ D인 19~29세(평균연령 $21.59{\pm}2.53$세)의 대학생 74명(남 54명, 여 20명)을 타각적자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여 완전교정과 플러스 렌즈를 임의적으로 +0.25 D, +0.50 D, +0.75 D로 부가한 저교정 상태에서 조절 반응량을 측정하여 그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정상군과 폭주부족군 모두에서 주시거리가 짧을수록 조절래그가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폭주부족군은 정상군보다 조절 반응량의 값이 낮게 나타났으나 조절폭은 조금 크게 나타났다. 정상군에서는 저교정(+0.50 D) 상태와 폭주부족군의 완전교정의 조절 반응량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시교정 상태에 따른 주시거리와 조절 반응량의 상관관계는 저교정 정도가 클수록 상관계수가 작아지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결론: 근시와 정시안인 경우 장시간 근거리 작업 시 +0.50 D 정도의 저교정은 조절기능에 영향을 주어 안정피로 증상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된다.

막걸리 술덧의 발효성 당 분석방법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Assay Methods Used to Quantify Fermentable Sugar in Makgeolli Sul-dut)

  • 김병수;김계원;심재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48-5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막걸리 양조업체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발효제인 입국과 개량누룩을 이용한 막걸리 술덧 양조 시 발효성 당 함량의 분석방법간 결과 비교를 통하여 다수의 막걸리 양조업체에서 발효성 당 분석 시 적용하고 있는 굴절계 분석 방법의 정확도 검증 및 HPLC 분석결과를 기준으로 DNS법, 펠링법, 포도당 키트를 사용한 분석결과와의 유의성 검정을 통하여 분석방법간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영세 규모 막걸리 양조업체에서도 정밀 분석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발효성 당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분석방법 적용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DNS법과 펠링법은 발효성 당 분석 기준으로 설정한 HPLC 분석 결과와 가장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으나 포도당 키트와 굴절계를 사용한 분석결과는 HPLC 분석 결과와 큰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굴절계를 사용한 분석 결과의 경우 발효 전주기를 통하여 경시적 변화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발효성 당이 대부분 소비되는 발효 말기에도 매우 높은 당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 다수의 막걸리 양조업체에서 발효성 당 분석 시 적용하고 있는 굴절계를 이용한 당도 분석은 적합하지 않으며, 술덧 발효 관리 시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클 수 있으므로 분광광도계와 같은 별도의 분석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발효성 당 분석을 실시할 수 있는 펠링법의 적용이 양조업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가장 정확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시판(市販) 담즙(膽汁) 생약(生藥)중 주요(主要) 담즙산(膽汁酸)의 분리(分離)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paration of Major Bile Acids i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 박종대;유승조
    • 생약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39-146
    • /
    • 1984
  •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separation is described for the analysis of bile acids after hydrolysis in seve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and ox and pig galls. They are simultaneously separated with HPLC mobile phase of acetonitrile/0.5% ammonium carbonate (pH 6.7) (25.5 : 74.5) at a flow rate $(1.0{\rightarrow}1.5ml/min.)$ and differential refractometer. The linearity of calibration curve and recovery test are good by using the method. The analysis of major bile acids in seven commercial crude bile drugs using the described method is presented. Sample no. 1 of them is similar to separation pattern of ox gall. Sample no. 6 of them is supposed to be genuine bear gall on the basis of identification of ursodeoxycholic acid. Sample $no.\;2{\sim}5$ and 7 of them are supposed to be pig gall on the basis of identification of hyodeoxycholic acid which is a characteristic component of pig gall.

  • PDF

자동 시각 굴절력-곡률계의 전자 부문 소프트웨어 설계 (The Software Design of Automatic Refractometer-Keratometer)

  • 성원;박종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2)
    • /
    • pp.430-432
    • /
    • 2001
  • 일반적으로 안과 의사들과 안경사 등을 포함하는 시각 관련 전문가들은 시력 피검자에 대한 굴절력 측정시 약 30% 이상의 오류율을 가진다고 한다. 이는 검사를 행하는 전문가의 비 숙련도에 기인한다기보다는 그만큼 시각 관련 측정이 유동적이고 민감해서 정확한 측정값을 얻어내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말해주는 것이다. 만약 자동화된 시스템이 광학계로부터 나오는 영상을 이용하여 내부 처리를 거친 후 정확한 시각 측정치를 검사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면 잘못 측정되는 측정 횟수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형태학적 필터링(morphological filtering)과 그레이-레벨의 신호 강조(signal enhance) 기술들을 이용한 자동 시각 굴절력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에서는 광학계로부터 도출된 영상으로부터 첫째로 형태학적 필터링 처리를 행한다. 이 과정은 처리가 어려운 원 영상을 좀 더 다루기 쉬운 상태로 바꿔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는 일차 처리된 영상에 가해주는 그레이 수준 한계 기법을 통한 신호 강조 기법으로서 이는 영상의 그레이 값 분포가 다양함으로 인해서 발생되는 오차를 줄이기 위해서 사용된다. 그리하여 본 시스템은 정확한 측정값 도출이 어려운 시각 영상에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오차를 줄임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시각 측정을 가능하게 하였다.

  • PDF

한방조성물이 VDT 증후군의 안 증상 개선에 미치는 임상효능연구 (Clinical study on the effects of a composition containing oriental medicine for eye symptoms of VDT syndrome)

  • 최선미;김선형;안상기;성현제;윤유식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9-120
    • /
    • 2003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icacy of EC102, a composition containing oriental medicine, for relieving VDT syndrome, including eye symptoms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doub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40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placebo group or the EC102 group. The visual analogous scale (VAS) was used to evaluate various VDT symptoms, including eye pain, eye fatigue, back pain, shoulder pain and so on. Refractory indexes were measured using refractometer, and tear film break-up time (BUT) were measured using fluorescein strip. Blood circulation was measured using photo-plethysmography. Blood pressure and blood biochemistry were also measure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y a Mann-Whitney test using SPSS 9.0 software. Results: The EC102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eye symptoms including eye fatigue, eyelid fatigue, itching, pain, and photophobia when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P<0.05). The EC102 group also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of back pain compared with the placebo group (P<0.05). No side effects on liver function and blood biochemistry were observed. Conclusions: EC102 has significant clinical efficacy for relieving symptoms of VDT syndrome.

  • PDF

근용 도수와 원용 교정도수를 근거로 한 조절력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Accommodation Power on the Basis of Near Power and Correction Power for distance)

  • 이정영;박은규;서정익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07-110
    • /
    • 2007
  • 농촌지역 50대~80대 남녀 137명을 대상으로 자동 안굴절력계에 의한 원용 교정도수 측정, Trial frame와 Trial lens set을 사용한 근용 도수 측정, 최대조절력의 1/2과 2/3를 사용하였을 때의 유효조절력 산정 등을 통하여 조절력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50대에서는 1.84~2.46D, 60대에서는 1.55~2.06D, 70대에서는 1.43~1.90D, 80대에서는 1.22~1.62D로 조사되어 기존에 알려진 나이에 따른 조절력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 PDF

근적외선을 이용한 사과의 당도예측 (I) - 다중회귀모델 - (Predicting the Soluble Solids of Apples by Near Infrared Spectroscopy (I) - 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

  • 이강진;;;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3권6호
    • /
    • pp.561-570
    • /
    • 1998
  • The MLR(Multiple Linear Regression) models to estimate soluble solids content non-destructively were presented to make a selection of optimal photosensor utilized to measure the soluble solids content of apples. Visible and NIR absorbance in the 400 to 2498 nanometer(nm) wavelength region, soluble solids content(sugar content), hardness, and weight were measured for 400 apples(gala). Spectrophotometer with fiber optic probe was utilized for spectrum measurement and digital refractometer was used for soluble solids content. Correlation between absorbance spectrum and soluble solids content was analyzed to pick out the optimal wavelengths and to develop corresponding prediction model by means of MLR. For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to be over 0.92, the MLR models out of the original absorbance were built based on 7 wavelengths of 992, 904, 1096, 1032, 880, 824, 1048nm, and the ones of the second derivative absorbance based on 5 wavelengths of 784, 1056, 992, 808, 872nm. The best model of the second derivative absorbance spectrum had $R^2$=0.91, bias= -0.02bx, SEP=0.28bx for unknown sampl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