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ining effect on stability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5초

정제공정이 참기름의 유지특성과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il refining processes on oil characteristics and oxidation stability of sesame oil)

  • 한진숙;안승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284-289
    • /
    • 1993
  • 탈검, 탈산, 탈색과 탈취 등의 정제과정이 $70^{\circ}C$에 저장하는 동안 참기름의 유지 특성과 산화안정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정제과정을 거친 후 참기름의 색도(L, a, b)는 크게 변하여 엷어졌다. 지방산 조성, 굴절율, 요오드가와 conjugated dienoic acid의 변화는 없었고, 산가와 과산화물가는 감소하였다. $70^{\circ}C$에서 저장동안 탈산, 탈색과 탈취기름은 갈변화 반응이 급격히 이루어져 L값이 크게 감소하고 a값은 크게 증가하였다. 조유와 탈검시료는 색도가 안정하고, 과산화물가, 유리지방산과 conjugated dienoic acid 함량은 서서히 증가한 반면, 탈산, 탈색 및 탈취등의 정제과정을 거친 시료들은 저장초기에 이들의 값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저장 중 산화가 진행되면서 산패취에 관여하는 몇 개의 peak가 생성되고 양이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는데 탈색과 탈취시료는 이들 peak의 증가가 저장초기에 매우 현저하였으나 조유와 탈검시료는 이들 peak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PDF

잣 지방질의 산화 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Pinenut Oil)

  • 김명;이숙희;유정희;최홍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868-872
    • /
    • 1988
  • 잣을 저장조건을 달리하여 산화양상을 살펴보고 이어 정제단계별로 산화양상에 따른 변화를 살펴보았다. 잣을 $35^{\circ}C$에서 10주간 저장하면서 함유지방질의 산화양상을 살펴본 결과 잣 알갱이 상태는 조직을 마쇄하더라도 지방질로 추출한 상태보다 대단히 높은 산화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지방질은 정제단계를 거칠수록 그 산화안정성이 감소되었으며 정제지방질, 탈검 및 탈산된 지방질, 탈검 탈산 및 탈색된 지방질, 탈검된 지방질, 조지방질 순으로 산화 안정성이 높아졌다. 이것은 정제단계에서 제거된 물질들이 산화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PDF

FeO-MnO-CaO-SiO2-MgOsatd. 슬래그에서의 P의 열역학적 거동 (Thermodynamic of Phosphorus in FeO-MnO-CaO-SiO2-MgOsatd. Slag Systems)

  • 조문경;박경호;민동준
    • 대한금속재료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88-194
    • /
    • 2009
  • Recently, new extraction technology for manganese nodule has been developed as alternative noble metallic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rmodynamic behaviors of phosphorus in low basic slag system from the viewpoint of the refining processing optimization. Thermodynamic behaviors of phosphorus in the $FeO-MnO-CaO-SiO_2-MgO_{satd.}$ slag system were investigated at 1723 K with various oxygen potential and slag composition of low basicity. The experimental results for dependence of phosphorus on oxygen potential and slag basicity indicated that the dissolution mechanism of phosphorus into slag of low basicity could be derived as follows; $[P]+5/4O_2+(O^{2-})=({PO_{3.5}}^{2-})$ Present experimental results implied that stability of phosphorus in slag would be depended on both of $O^{2-}$ (basicity) and content of $Ca^{2+}$ in molten slag. The thermodynamic effect of FeO, MnO and $Na_2O$ on low basicity on phosphate capacity was discussed.

열간사상압연 통판안정성 개선을 위한 속도설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Rolling Speed Set-up Model for the Travelling Stability in Hot Strip Finishing Mill)

  • 문영훈;김영환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1999년도 제3회 압연심포지엄 논문집 압연기술의 미래개척 (Exploitation of Future Rolling Technologies)
    • /
    • pp.47-56
    • /
    • 1999
  • New rolling speed prediction model has been developed for the precise presetting rolling speed of each finishing mill stand in the tandem hot strip mill. Those factors such as neutral point, work roll diameter, rolling torque, friction coefficient, bite angle and the thickness at each side of entry and deliver of the rolls were taken into account. To consider width effect on forward slip, calibration factors obtained from rolling torque has been added to new prediction model and refining method has also been developed to reduce the speed unbalance between adjacent stands. The application of the new model showed a good agreement in rolling speeds between the predictions and the actual measurements,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prediction error has also been significantly reduced.

  • PDF

플라이애시의 정제가 모르타르의 공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finement of Fly Ash on Engineering Properties of Cement Mortar)

  • 한민철;문병룡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권3호
    • /
    • pp.275-28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플라이애시(FA)의 정제가 시멘트 모르타르의 제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플라이애시는 원분플라이애시, 정제플라이애시, 리젝트애시 및 이들의 조합으로 5수준으로 선정하였고, 모르타르 배합비는 1: 1, 1 : 3 및 1 : 5의 3수준으로 계획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로 먼저 플로는 모든 배합비에서 원분인 Ra 사용시 Rf 보다 낮은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j의 경우는 낮은 유동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Rf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유동성을 나타내었다. 공기량의 경우 Rf와 Rj를 제외한 모든 배합이 목표 범위에 만족하지 못하였다. Ra를 사용한 배합의 경우 정제과정을 거친 Rf보다 약 41% 낮은 공기량을 나타내었으며, Rj의 경우 모르타르 내부 다공질의 이물질 등으로 인해 Rf 보다 약 19% 높은 공기량을 나타내었다. 압축강도의 경우 초기 3, 7일에서는 Plain인 OPC에 비해 낮은 압축강도를 나타내었으나, 28일 이후에는 양호한 품질인 Rf의 포졸란 반응으로 인해 여타의 FA 보다 높은 강도를 발휘하였으며, 배합비 1 : 1 및 1 : 3에서는 OPC보다 높은 강도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내동해성으로 정제되지 않은 FA를 사용한 경우 공기량 감소로 인해 내동해성에 취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정제과정을 거친 양질의 FA 사용은 콘크리트의 경제적인 배합과 구조물의 안정성에도 긍정적인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