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inery

검색결과 248건 처리시간 0.032초

1톤/일 분류층가스화기에서 석탄과 석유코크스 혼합 슬러리의 가스화특성 (Gasification of Coal-Petroleum Coke-Water Slurry in a 1 ton/d Entrained Flow Gasifier)

  • 윤상준;최영찬;홍재창;라호원;이재구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3호
    • /
    • pp.561-566
    • /
    • 2008
  • 석유코크스의 연료적 가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세계적으로 정유공정이나 발전용으로 석유코크스 가스화 플랜트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톤/일 규모의 석탄가스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석유코크스 가스화를 위한 요소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석유코크스는 반응성이 낮아 가스화를 위한 산소소모량이 석탄보다 많이 소요되었으며, 석유코크스와 석탄을 각각 50%로 혼합한 연료의 경우, 합성가스 발열량은 $6.7{\sim}7.2MJ/Nm^3$ 수준을 보였다. 가스화 성능 면에서 전환율은 산소량 증가에 따라 92%이상까지 도달할 수 있었지만, 냉가스효율은 석탄보다 낮은 수준의 결과를 보였다. 이는 반응성이 낮은 석유코크스의 경우 가스화 성능 향상을 위해 버너 노즐부위에 대한 미립화 설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직·간접 석탄액화 기술 동향 (Trends of Direct/Indirect Coal Liquefaction Technologies)

  • 박주원;박철환;김학주;정헌;한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48-257
    • /
    • 2008
  • 1920년대 독일에서 최초로 시도되어진 석탄액화(coal liquefaction, coal-to-liquid, CTL)는 액화 방법에 따라 직접석탄액화(direct coal liquefaction, DCL)와 간접석탄액화(indirect coal liquefaction, ICL)로 나누어진다. 석탄액화 기술은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다양한 연구개발을 통해 원유를 대체할 수 있는 자원으로 개발되고 최적화 되어왔다. 특히 최근에는 국제유가의 상승 및 원유수급의 불안정으로 인해 안정적이고 매장량이 풍부한 석탄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으며 여러 국가에서 석탄액화 프로젝트가 진행 중에 있다. 본고의 취지는 석탄액화기술의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을 검토하는데 있다. 따라서 직 간접 석탄액화공정 비교와 함께 각국의 석탄액화 사업 현황 및 동향을 소개하였다. 석탄액화 사업은 대규모의 국책사업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정부의 지원하에 해외 선진기술습득의 길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ier 3 방식에 의거한 지목별 온실가스 배출 실태평가 (Evaluating Carbon Dioxide Emission from Cadastral Category based on Tier 3 Approach)

  • 김대호;엄정섭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11-22
    • /
    • 2011
  •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산정하는 방식은 주로 제련소, 화력발전소 등 제조공정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통계에 의거하여 배출량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지목이 토지이용패턴에 따라 다르게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감시하기 위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그리하여 사례 연구지역에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측정하여 토지이용의 관점에서 지목별 변화 추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정부통계에만 의존하는 간접추계 방식과 달리 지목 기반의 평가는 광역적인 이산화탄소 농도의 분포실태를 단시간에 제시하였다. 특히 대지 등 비자연적인 지목에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반면, 임야 등 흡수원으로 특성을 지닌 지목은 전체적으로 배출원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지목별 이산화탄소 배출량 변화 실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각종 개발사업의 계획단계부터 배출원과 흡수원을 지정하고 관리함에 있어 지목에 의거 도로 건설 등 저탄소 도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개발사업을 규제하는 과정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표로서 설득력을 지닌 근거자료로 지목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가장 큰 성과는 "지목 기반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시"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였다는 데 있을 것이다.

고농도의 이산화질소($NO_2$)흡입으로 유발된 급성 폐손상 1례 (A Case of Pulmonary Injuny Induced by Accidental Exposure to High Level of Nitrogen Dioxide ($NO_2$))

  • 장진혁;김도연;김영;장윤수;김형중;안철민;김성규;김태훈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0-44
    • /
    • 2005
  • Nitrogen dioxide ($NO_2$), which produced during the process of silage, metal etching, explosives, rocket fuels, welding, and by-product of burning of fossil fuels, is one of major components of air pollutant. Accidental exposure of high level of $NO_2$ produces cough, dyspnea, pulmonary edema which may be delayed $4\~12$ hours and, in $2\~6$weeks, bronchiolitis obliterans. We experienced a case of acute pulmonary injuny induced by industrial exposure to high level of $NO_2$ during repair of $NO_2$ pipeline in a refinery. A 55-year-old man experienced nausea and severe dyspnea in 6 hours after $NO_2$ inhalation. Initial blood gas examination revealed severe hypoxemia accompanying increased alveolar-arterial O2 difference. Radiological examination showed diffuse ground glass opacities in both lung fields. Clinical symptoms and laboratory findings, including radiological study and pulmonary function test were improved with conservative treatment using inhaled oxygen and bronchodilator. and there was no evidence of bronchial fibrosis and bronchiolitis obliterance in chest high resolution computed tomography performed 6 weeks after exposure. Here, we report a case of $NO_2$ induced acute pulmonary injuny with a brief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 PDF

양산시 산업단지에서 측정한 악취물질의 농도 분포 특성 및 대기확산 모델링 (Characteristics of Malodor Pollutants and Their Dispersion Measured in Several Industrial Source Regions in Yangsan)

  • 송상근;손장호;김유근;박흥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0호
    • /
    • pp.1103-1114
    • /
    • 2009
  • In this study, the environmental behavior of malodor pollutants (MPs: $H_2S$, $CH_3SH$, DMS, and DMDS) was investigated around areas influenced by strong anthropogenic processes based on observations and modeling study (a CALPUFF dispersion model). The MP emissi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from 8 industrial source regions (tire plants (S1-S3), waste water disposal plant (S4), and oil refinery (S5) in an urban center area and paper mill/incineration plant (S6) and livestock feedlots (S7-S8) in Ungsang area) in Yangsan city during a fall period in 2008 (21 October 2008). Overall, the most MPs emitted from the urban center area were found to affect the malodor pollution in their downwind areas during early morning (06:00 LST) and nighttime (18:00 and 21:00 LST), compared with those in the Ungsang area. For malodor intensity, the most MPs in the urban center area (especially S1 and S2) were found to be a significant contributor, whereas $CH_3SH$ and $H_2S$ in the Ungsnag area (especially S6) were the dominant contributor. The model study showed agreement i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simulated MPs with those of the observations. The largest impact of MPs in the urban center area on the malodor pollution in its residential areas occurred at S1, S2, and S3 sites during nighttime, while that of MPs in the Ungsang area occurred at S6 and S8 sites. This may be caused mainly by the high MP emissions and in part by wind conditions (prevailing northeasterly winds with low wind speeds of 2-3 m/s).

석유제품 혼합판매 활성화 방안

  • 윤원철;손양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2호
    • /
    • pp.417-439
    • /
    • 2012
  • 최근 들어 고유가 상황이 지속되면서 정부는 연일 유가 안정 대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공정거래위원회는 혼합판매 허용을 골자로 하는 거래기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혼합판매 도입과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혼합판매와 관련된 국내 제도의 변천 과정을 기술한다. 또한 혼합판매 현황과 혼합판매 활성화를 위해 검토되어야 할 주요 사항들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혼합판매도입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급자별 구분저장 요건과 전량구매조건의 완화 내지 폐지가 선결될 필요가 있다. 이들 방안은 정유사 단계의 공급가격과 주유소 단계의 소비자가격 인하를 유도할 수 있는 긍정적인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현행 법률 개정이 수반되어야 한다는 현실적인 제약을 고려할 때 중장기적으로 시장에서 대형마트 주유소, 독립형 자가폴, 프랜차이즈 독립폴 주유소를 육성하는 방안을 동시에 검토할 필요가 있다.

  • PDF

중잔사유 가스화 복합발전 사이클의 성능 및 환경배출 해석 (Analysis on the Performance and the Emission of the Integrated Gasification Combined Cycle Using Heavy Oil)

  • 이찬;윤용승
    • 에너지공학
    • /
    • 제10권3호
    • /
    • pp.188-194
    • /
    • 2001
  • 정유공장으로부터 발생하는 중잔사유를 이용하는 가스화 복합발전 플랜트에 대한 공정모사를 수행하였다. 가스화 복합사이클의 발전계통을 모델링하기 위해 본 연구는 MS7001FA 가스터빈이 공기분리장치와 연계되어 있고, 공기분리장치를 위한 공기 추출과 공기분리장치로 부터의 질소희석이 이루어진다고 가정하였다 가스터빈의 폐열은 삼중압력의 페열회수 증기발생장치로부터 회수하였다. 가스터빈의 합성가스 연료는 중잔사유가 Shell 가스화 및 Sulfinol-SCOT-Claus 공정을 거쳐 발생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공정 최적화 결과로부터, 가스화 복합사이클의 효율이, 질소 희석이 없는 경우와 있는 경우에 대해, 공기추출비 20% 또는 40∼60%에서 가장 우수했다. 그리고, 연소지의 질소희석은 NOx 저감에 매우 바람직하고 현저한 효과를 가져오나, 반면에 가스터빈의 운전조건을 써지 조건에 가깝게 이동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Petroleum Cokes의 화학적 처리에 의한 황성분 및 회분제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ulfurization and Demineralization by Chemical Treatment of Petroleum Cokes)

  • 한웅;이시훈;박주식;양현수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115-1124
    • /
    • 1996
  • MCL(Molten Caustic Leaching) 처리는 알카리에 의해 황성분 및 회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유용하게 개발된 화학적 정제공정이며, Si, Fe, V, Ni 등과 같은 무기물을 수용성염으로 전환을 시켜 제거한다. 그리고 MCL은 다른 탈황 공정보다도 탄소손실을 최소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황성분 및 회분제거에 대한 반응변수로는 침출온도, 침출시간, NaOH/cokes 비율, 산세정 농도와 세정 시간 그리고 입자크기 등이었다. 최적의 조건에서 MCL 처리를 한 결과 황성분과 회분은 각각 99%와 90%가 제거되었으며, 이때 FT-IR과 SEM의 결과에서 petroleum cokes 입자의 구조 및 표면변화는 침출온도 및 황성분과 회분의 제거율에 밀접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 PDF

패류의 중금속 축적에 관한 연구 1. 녹색 굴의 동함유량에 관하여 (ACCUMULATION OF HEAVY METAL IN SHELLFISH 1. On the Copper Content in Green Oysters)

  • 조용계;김춘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1-65
    • /
    • 1971
  • 장항만 연안에 서식하는 굴과 대천지방에 서식하는 굴의 연체부의 동함량에 관하여 1970년 10월 부터 1971년 2월까지 4개월에 걸쳐 채집 분석했다. 이 양군간에 굴 연체부의 동함량에는 현저한 유의차가 인정되였다. 장항만 연안에 서식하는 굴은 장항제연소에서 흘러나오는 폐수와 광재에서 용출하는 동에 의하여 주로 오염되었다고 볼 수 있다. 장항만 연안에 서식하는 굴은 동함량이 $434.4{\pm}141.9mg$ Cu/kg wet base였으며, 대천지방에 서식하는 비오염된 굴은 평균 $19.0{\pm}4.9mg/kg$ wet base의 수치를 나타냈다. 끝으로, 본 실험을 도와준 최병선군과 전의식군에게 사의를 표하는 바이다.

  • PDF

도로운송부문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 설계 및 경제성평가 (Scenario-based Design and Life Cycle Cost Analysis of Energy Supply System for Transportation Sector)

  • 한슬기;김지용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2호
    • /
    • pp.164-17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도로운송부문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을 구축하고 각 시나리오의 최적 비용을 비교분석하였다.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구성요소로써 기존의 정유공정, 부생수소 시스템, 신재생 에너지 자원 기반의 전력 생산공정, 전력운송을 위한 전력망을 설정하였으며, 내연기관자동차, 전기자동차, 연료전지자동차 등 세 가지의 도로운송부문용 자동차를 포함하였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에너지 공급 시스템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최적 생애주기비용을 규명할 수 있는 에너지 시스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최적화 모델을 제주도 지역에 적용함으로써 모델의 성능을 검증하였고 또한 제주도 지역의 에너지 시스템 구축에 관한 다양한 시나리오의 경제성을 분석하였다. 제주도 도로운송부문용 에너지 공급 시스템의 생애주기비용 분석 결과, 전력망을 이용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전기자동차 시나리오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경제성을 보였으며, 신재생 에너지 자원을 이용하여 수소를 공급하는 연료전지자동차 시나리오가 가장 낮은 경제성을 보였다. 또한 연료비용, 차량비용, 인프라비용, 유지비용 등 주요 비용 관련 변수들에 관한 민감도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생애주기비용의 변화에 주요한 구성요소들을 규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