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ntry tachycardi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7초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of atrioventricular nodal reentry tachycard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 single center experience

  • Hyun, Myung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2호
    • /
    • pp.390-394
    • /
    • 2017
  • Purpose: Atrioventricular nodal reentry tachycardia (AVNRT) is less common in pediatric patients than in adult patients. Thus, data for pediatric AVNRT patients are insufficient. Hence, we aimed to analyze the patient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any recurrences in pediatric AVNRT patients. Methods: We reviewed the records of 50 pediatric AVNRT patients who had undergone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2016 at a single regional center. The patients were aged ${\leq}18years$. Results: Among 190 pediatric patients who underwent RFCA for tachyarrhythmia, 50 (26.3%; mean age, $13.4{\pm}2.6years$) were diagnosed as having AVNRT by electrophysiological study. Twenty-five patients (25 of 50, 50%) were male. Twenty patients (20 of 50, 40%) used beta-blockers before RFCA. All patients had no structural heart disease except 1 patient with valvular aortic stenosis and coarctation of the aorta. RFCA was performed using the anatomic approach under fluoroscopic guidance. The most common successfully ablated region was the midseptal region (25 of 50, 50%). Slow pathway (SP) ablation and SP modulation were performed in 43 and 6 patients, respectively. Complication occurred in 1 patient with complete atrioventricular block. During follow-up, 6 patients had recurrence of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as confirmed by electrocardiography. Among them, 5 underwent successful ablation at the first procedure. In 1 patient, induction failed during the first procedure. Conclusion: RFCA is safe and effective in pediatric AVNRT patients.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for establishing the endpoints of ablation in pediatric AVNRT patients and for identifying risk factors by evaluating data on AVNRT recurrence after RFCA.

불현성 우회로에 의한 방실회기성빈맥의 수술치험 -1례 보고- (Surgical Correction of Atrioventricular Reentry Tachycardia Secondary to Concealed Accessory Atrioventriculr Connetion)

  • 최세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7권3호
    • /
    • pp.230-233
    • /
    • 1994
  • A 21-year-old man with atrioventricular[AV] reentry tachycardia secondary to concealed accessory AV connection underwent surgical division of two accessory pathways following failure of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pathways were located in the left free wall area.Before cardiopulmonary bypass, the epicardial mapping confirmed the existence and localization of two accessory pathways. The patient was approached through a left atriotomy with a dissection of the left free wall area beginning with an internal mapping was carried out after separation from cardiopulmonary bypass to confirm the absence of retrograde conduction of accessory pathway. Five weeks after surgery, the electrophysiololgic study demonstrated no retrograde conduction through two accessory pathways.

  • PDF

Amiodarone으로 치료한 postoperative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Postoperative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treated with Amiodarone)

  • 이택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5권9호
    • /
    • pp.905-911
    • /
    • 1992
  •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is one of common atrial arrhythmia after open heart surgery which is often refractory to antiarrhythmic agents. We have experienced refractory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in two patients. In the first, it occured after cryosurgery for AV nodal reentry tachycardia and simultaneous dissection of a posterior septal bypass tract. In the second, it complicated the postoperative course of a patient who received intracardiac repair for double outlet right ventricle, ventricular septal defect, and pulmonary stenosis. Conventional therapy with atrial pacing, verapamil, digoxin, and electrical cardioversion were ineffective. Therefore, amiodarone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nd it controlled automatic junctional tachycardia. The need for accurate and rapid diagnosis of this condition along with results of treatment are discussed.

  • PDF

심계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경식도 심전도 검사의 유용성 (Role of Transesophageal Pacing in Evaluation of Palpitation in Infants and Children)

  • 류수정;고재곤;김영휘;박인숙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51-55
    • /
    • 2003
  • 목 적 : 심전도상 빈맥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로 심계 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빈맥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히는데 있어서 경식도 심전도 검사의 유용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7년 1월 1일부터 2001년 12월 31일까지 심계 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심실 조기 흥분 증후군이 없고 심장이 정상이면서 경식도 심전도 검사 전까지 심전도상 빈맥이 기록되지 않았던 67명을 대상으로 경식도 심전도 기록을 후향적으로 다시 검토하여 경식도 심방 조율을 통해서 빈맥이 유발되는 정도와 유발된 경우에는 그 기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결 과 : 심계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의 70.1%에서 경식도 심방조율을 통해서 빈맥을 유도할 수 있어서 빈맥이 심계항진의 원인임을 알 수 있었다. 빈맥은 대부분 빠른 심방 조율로 유도되었으며 21.3%에서는 isoproterenol을 사용한 후에 빈맥이 유발되었다. 6세 이상에서 보다 6세 미만의 소아에서 빈맥이 유도되는 경우가 유의하게 많았다(P<0.05). 빈맥이 유발된 경우에는 그 기전을 검토해 보았고 빈맥의 기전은 부전도로로 인한 방실 회귀성 빈맥이 53.2%, 방실결절 회귀성 빈맥은 34.0%이었고, 나머지는 특발성 좌심실 빈맥이 12.8%이었다. 이들 중 10명에서 전기 생리 검사가 시행되었는데 빈맥의 기전은 1명을 제외하고 경식도 심전도 검사와 그 기전이 일치하였다. 결 론 : 경식도 심전도 검사는 심계항진을 호소하는 소아에서 빈맥의 유무를 확인하고 그 기전을 밝혀 치료에 대한 방침을 정할 수 있는 침습적이지 않고 간편하고 유용한 검사이다.

TOF 완전교정술후 발생한 심실빈맥의 외과적 절제술 -치험1례보고- (Surgical Treatment of Ventricular Tachycardia After Total Correction of Tetralogy of Fallot- Report of a case)

  • 장병철;김정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6호
    • /
    • pp.639-645
    • /
    • 1996
  • 14세 남자환자로 최근 3년간 반복된 심계항진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8년전에 TOF로 진단받고 완전교정수술을 받았다. 수술 전 심도자 검사에서 우폐동맥폐쇄와 그에 따른 우심실압력상승을 보였고 전기 생 리학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중격부위 에서 기 원하는 회귀성 심실빈맥으로 진단되 었다 한 개의 양극성 전극을 이용한 심실외막전기도검사에서 심실빈맥의 회귀성회로는 첩포 원위부 좌측 의 심실중격쪽 심근에서 가장 빨리 나타나 시계방향으로 청포주위를 돌아 우심실유출로 우측 심근을 활 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64채널 심장전기도시스템을 이용한 심실심외막전기도 검사에서는 우심실유출로의 첩 포주위를 )20 msec 주기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귀하는 심실빈맥을 관찰할 수도 있었 다. 수술은 우심실유출로의 첩포와 섬유화된 조직을 제거하고 우심실유출로 상연에서 폐동맥 판막륜까지 절개를 하여 회귀성 회로가 차단되도록 하였다. 폐동맥 판막륜과 심실중격사이 에는 회귀성 회로가 완전히 차단되도록 냉동병소를 만들었다. 우폐동맥이 발달되지 않아 우폐동맥재건술은 하지 못하였다. 수술후 전기생리학 검사에서는 더 이상심 퓟窄팀\ulcorner유발되지 않았다. 본 증례에서는 TOF완전교정수술후 우심실유출로 첩포와 일부 우심실 심근주위에 slow conduction지 대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한 macro-reentry심실빈맥이 발생한 것으로 생각된다. 약물로서 치료되지 않을 때는 catheter ablation이나 외과적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외과적 절제를 할 때에는 우심실유출로와 폐동 맥 판막륜사이의 심근조직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우심실유출로재건을 하는것이 중요하다.성 거부반응 1례, 크기불일치 에 의한 만성 이식부전증이 1례, 천식 발작에 의한 호흡부전이 1례, 지주막하출혈 1례, 체액 성 거부반응이 의심되는 경우가 1례 였다. 이상의 단기간성적을 통해 심장이식분야에서 더욱 발전을 요하며, 특히 이식공여자 및 수혜자의 선택 이나 술후 감염관리 및 체 액성거부반응치료 등에서 더욱 진전이 있어야 하겠다.07m', 동맥 혈 산소포화도는 83.0$\pm$3.8 % 이었다. 우폐동맥의 지름은 9.0$\pm$ 1.5 mm, 좌폐동맥의 지름은 7.7 $\pm$2.Omm, 폐동맥 지수는 197.3$\pm$57.1 mm2/m2, McGoon 비는 1.76$\pm$0.32 였다 수술후 전 환자에서 폐동맥 압력을 측정하였으며 평균 폐동맥 압은 12.8 $\pm$3.6mmHg이 었다. 환자의 성장에 따라 폐동맥의 지름도 증가하였으나 폐동맥 지수나 McGoon비는 증가하지 않았다. 또한 환자의 나이, 술후 동맥혈내 산소포화도의 증가 정도, 혈관 성형술 여부, 수술후 심도자 및 혈큰조 영술까지의 기간 등은 수술후의 폐동맥 지수의 증가에 영향을미치지 못하였으며 단지 수술전의 폐동맥 의 크기가 매우 작을 경우(McGoon 비 1.2 미만)에는 폐동맥 지수가 유의한 증가를 보였는데 이는 수술 \ulcorner 동반된 폐동맥 성형술등의 영향이 있었음을 감안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한편 수술전 폐동맥 크기에 대한 지표로서 폐동맥 지수(PAI)와 McGoon 비(MGR)와는 다음과 같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 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스퀴드 심자도 장치를 이용한 심방성 부정맥의 측정 (Detection of Rapid Atrial Arrhythmias in SQUID Magnetocardiography)

  • 김기웅;권혁찬;김기담;이용호;김진목;김인선;임현균;박용기;김두상;임승평
    • Progress in Superconductivity
    • /
    • 제7권1호
    • /
    • pp.28-35
    • /
    • 2005
  • We propose a method to measure atrial arrhythmias (AA) such as atrial fibrillation (Afb) and atrial flutter (Afl) with a SQUID magnetocardiograph (MCG) system. To detect AA is one of challenging topics in MCG. As the AA generally have irregular rhythm and atrio-ventricular conduction, the MCG signal cannot be improved by QRS averaging; therefore a SQUID MCG system having a high SNR is required to measure informative atrial excitation with a single scan. In the case of Afb, diminished f waves are much smaller than normal P waves because the sources are usually located on the posterior wall of the heart. In this study, we utilize an MCG system measuring tangential field components, which is known to be more sensitive to a deeper current source. The average noise spectral density of the whole system in a magnetic shielded room was $10\;fT/{\surd}Hz(a)\;1\;Hz\;and\;5\;fT/{\surd}Hz\;(a)\;100\;Hz$. We measured the MCG signals of patients with chronic Afb and Afl. Before the AA measurement, the comparison between the measurements in supine and prone positions for P waves has been conducted and the experiment gave a result that the supine position is more suitable to measure the atrial excitation. Therefore, the AA was measured in subject's supine position. Clinical potential of AA measurement in MCG is to find an aspect of a reentry circuit and to localize the abnormal stimulation noninvasively. To give useful information about the abnormal excitation, we have developed a method, separative synthetic aperture magnetometry (sSAM). The basic idea of sSAM is to visualize current source distribution corresponding to the atrial excitation, which are separated from the ventricular excitation and the Gaussian sensor noises. By using sSAM, we localized the source of an Afl successfully.

  • PDF

HMM을 이용한 심장 전도 시스템의 모델화와 추정 (Modeling and Estimation of Cardiac Conduction System using Hidden Markov Model)

  • 함지훈;박광석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2-227
    • /
    • 1997
  • 회귀에 기인하는 부정맥의 발생 기전 분석을 위해 심장 전도 계통의 변경된 Hidden Markov Model을 세우고 모의 실험을 하였다. 먼저, 심근의 탈분극 시간과 전도 속도, 탈분극의 자율성(autonomicity)을 매개 변수로 한 모의 실험을 통해 시간적인 심장 진도와 피에 따른 심전도 결과를 얻었다. 결과는 연속된 심전도 파형과 그 발생 시간이었다. 매개변수는 율동의 속도, 각 파형간의 간격, 이상 파형의 발생 빈도등을 결정한다. 정상 동율격 및 심실상성/심실성 정맥, 심방/심실 조기 박동등을 모의 실험할 수 있는 매개변수의 세트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Hidden Markov Model의 확률적 추정 방법을 응용하여 심전도 결과를 가지고 최적 확률의 심장 전도 경로를 추정하였다. 변경된 추정 방법을 이용하여, 모의 실험한 전도경로와 추정한 경로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