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duced fat

검색결과 1,345건 처리시간 0.023초

Blanching에 따른 갯기름 나물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after blanching)

  • 손희경;강수태;정해옥;이재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28-635
    • /
    • 2013
  • 본 연구는 주로 blanching하여 나물로 섭취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을 데침 과정에 의한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 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Blanching에 의해 조지방, 조회분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조단백질의 함량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갯기름나물의 검출된 모든 유리당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어, 총 유리당 함량은 14.8% 감소되었다. 생 갯기름나물에 비하여 데친 갯기름나물의 총 구성 아미노산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의 함량은 각각 10.75%와 15.22% 감소되었고, 검출된 모든 구성 아미노산의 함량 모두 blanching에 의해 감소되었다. 총 지방산 함량은 blanching 전후 유의차가 없었다. 총 유기산 함량은 blanching에 의해 37.03% 감소되었고, 유기산 중 acetic acid의 감소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Blanching에 의해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20.20%, 8.23% 및 35.59% 감소되었다. 총 무기질 함량은 21.84% 감소되었고, 무기질 중 K 함량의 손실이 가장 컸다. 본 연구 결과 갯기름 나물은 필수 아미노산, 비타민 C, 무기질 등 유용한 영양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어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생각되므로, blanching에 의해 대부분의 영양성분들이 감소되어 향후 이러한 성분들을 유지할 수 있는 blanching 조건 설정이 필요하다.

발아기간에 따른 유채종자의 일반성분 조성, 항산화능 및 멜라토닌 함량의 변화 (Changes in approximate composition, antioxidant activity and melatonin content of rapeseed during germination)

  • 김석중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839-84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기능성을 지닌 최적의 유채싹 선발을 위해 종자를 10일 동안 발아시키면서 일반성분, 항산화능 및 멜라토닌함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종자의 수분함량(3.23%)은 발아동안 점차 증가하여 10일에 17.50%에 도달하였으나 조회분함량은 4.03~4.91%로 큰 변화가 없었다. 조지방함량은 종자의 38.18%로부터 감소하여 10일에 22.65%가 되었으며 조단백질함량은 21.43%에서 10일에 26.72%에 이르렀다. 탄수화물함량은 8일까지 35.84%로 증가한 후 10일에 28.55%로 감소하였다. 환원당함량은 6일에 최고값(10.47%)에 도달하였고 조섬유함량도 15.12%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gallic acid equivalent)은 발아에 따라 증가하다가 8일에 최고값인 16.8 g/kg에 도달하였다. 항산화능(trolox equivalent, mmol/kg)은 발아에 따라 증가하여 4~10일에 좀 더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분석법에 따라 최고값을 보이는 시기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DPPH 라디칼 소거능은 6일(55.9), ABTS 라디칼 소거능(46.3)과 Fe(III)이온 환원능(125.3)은 10일, 퍼록시 라디칼 소거능은 4일(116.7)에서 최고값을 보였다. 종자에서 $0.85{\mu}g/kg$이던 멜라토닌함량도 발아에 따라 증가하여 6일에 최고값($14.93{\mu}g/kg$)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항산화소재로서는 4~10일까지의 발아싹들을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멜라토닌 함량, 환원당, 조섬유와 같은 추가적인 기능성분을 함께 고려하면 6일 발아싹이 기능성 싹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방사선 조사된 재구성 돈육포의 단백질 품질 (Nutritional Quality of Restructured Pork Jerky with Electron Beam and Gamma Ray Irradiation)

  • 오종숙;한인준;이주운;전순실;김윤희;류홍수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1056-1062
    • /
    • 2008
  • To evaluate the effect of irradiation on restructured pork jerky containing paprika and Japanese apricot extracts, the quality of protein was determined in vitro based on the formation of trypsin indigestible substrate inhibitor (TIS) and the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C-PER) as determined based on the protein digestibility and amino acid analysis. In addition, we compared the effects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to those of gamma irradiation. Approximately 3% of the moisture content of pork jerky was reduced in response to irradiation with 3kGy administered using an electron beam however, no additional reduction was observed in samples that were subjected to higher doses of irradiation. In addition, there were no notable differences in the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of pork jerky samples that were subjected to irradiation, regardless of dose. Furthermore, the total amino acids profiles did not change in response to electron beam irradiation. However, the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increased by 7% in response to 3kGy of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5kGy of gamma irradiation, but no significant changes in digestibility were not observed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higher doses. TIS quantified as trypsin inhibitors were formed in response to irradiation using the electron beam (3kGy) and gamma rays (5kGy), although there was a slight reduction in the production of TIS inhibitors in samples irradiated with higher doses. Moreover, only samples irradiated with 10kGy (electron beam and gamma ray) showed higher TBA values than those of the control samples. Finally, the C-PERs $(2.50{\sim}2.60)$ were greater in all of the irradiated pork jerky samples than in the control samples (2.22).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ctron beam irradiation and the incorporation of extracts (paprika and Japanese apricot) may be useful methods of improving the nutritional quality of pork jerky.

  • PDF

탄산가스 주입에 의한 유제품 강화 옥수수 압출성형물의 성질과 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의 분석 (Analysis of Physical Properties and Mechanical Energy Input of Cornmeal Extrudates Fortified with Dairy Products by Carbon Dioxide Injection)

  • 류기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47-954
    • /
    • 1997
  • 옥수수가루에 건조유제품을 첨가하여 탄산가스의 주입에 의해 반죽의 온도 $100^{\circ}C$ 이하에서 팽화시킨 몇 가지 제품의 물리적 성질과 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을 분석하였다. 첨가된 유제품은 전지분유, 유청단백질 농축물, 탈지분유, 카제인 나트륨이며, 첨가량은 옥수수가루의 무게비로 10%와 20%를 각각 첨가시켰다. 압출성형기 바렐로 주입되는 가스압력을 0.7 MPa과 1.4 MPa로 조절하여 옥수수가루를 팽화시켰다. 시스템변수인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지방의 함량이 높은 전지분유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카제인 나트륨의 첨가에 의한 비기계적 에너지의 투입량의 감소도 적었다. 압출성형물의 밀도는 주입압력 0.7 MPa까지는 점차적으로 감소하다가 그 이상의 압력에서는 증가하였다. 가스주입압력 0.7 MPa에서 유제품의 함량이 0, 10, 20%로 증가할수록 밀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카제인 나트륨을 첨가했을 때 밀도가 증가하는 정도가 가장 낮았다. 가스주입압력이 0.7 MPa까지 팽화율은 증가하다가 그 이상의 주입압력에서는 감소했지만, 비길이는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수분흡착지수는 유제품의 첨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면에 수분용해지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압출성형시스템을 이용한 유제품을 첨가한 옥수수가루 압출성형물 제조시 최적 가스주입압력은 0.7 MPa이였으며, 전지분유의 첨가는 제한인자가 되었으나, 카제인 나트륨의 첨가에 의하여 유제품의 첨가량을 높일 수 있었다.

  • PDF

식품의 근적외선 반사분광분석법에서 균질의 정도가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 및 수학적 처리방법에 관한 연구 (Influence of the homogenizing grade and meathematical treatment on the determination of ground beef components with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오은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13
    • /
    • 1992
  • 신속간편법으로서 식품의 성분함량 측정에 이용되는 근적외 반사분광분석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시료의 균질도의 차이가 흡광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흡광도로 나타난 수치를 수학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예측의 오차는 다음과 같이 감소하였다. 1. 세절도가 일정한 시료의 흡광도를 무변형, 1차 미분 및 2차 미분하여 calibration한 후 세절도가 다양한 시료의 성분을 예측한 결과 예측오차(standard error of prediction)는 수분함량에 있어서 1.478%, 0.658% 및 0.580%, 지방함량의 예측오차 0.949%, 0.637%, 및 0.527%이었으며 단백질 측정시 각각 0.514%, 0.493% 및 0.394%로 2차 미분의 예측오차가 모든 성분측정에서 가장 낮음을 알 수 있었다. 2. 세절도가 다양한 시료의 무변형, 1차 미분 및 2차 미분처리한 calibration을 이용하여 세절도가 다양한 시료의 성분을 예측한 결과 수분함량 예측오차는 각각 1.026%, 0.589% 및 0.568%, 지방함량 예측오차는 각각 0.828%, 0.639% 및 0.602% 이었으며 단백질함량 예측오차는 0.860%, 0.557% 및 0.399%로서 역시 2차 미분, 1차 미분, 무변형의 순으로 정확성이 높았다. 결과를 종합할 때 흡광도를 수학적으로 처리하여 calibration에 이용하므로서 calibration시료의 세절도에 관계없이 측정결과의 정확성은 높아졌다.

  • PDF

남은음식물 사료와 생균제 첨가에 따른 육계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ood Waste Feed and Probiotics on Growth perfe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Broiler)

  • 양철주;;신영환;박일철;정일병;조영무;김원호;남병섭
    • 유기물자원화
    • /
    • 제11권1호
    • /
    • pp.113-121
    • /
    • 2003
  • 본 실험은 육계에서 남은 음식물 사료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실시하였으며, 생산성을 좀더 큰 효과를 기대하기위해 남은 음식물에 생균제를 수준별로 첨가하여 급여할 경우 육계의 성장 및 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위하여 실시하였으며, 육계사료에 남은음식물 사료 15%에 첨가한 생균제 0.5%, 1.0%, 1.5% 첨가구 및 항생제 0.1%첨가구로 총 6처리 4반복 반복당 7수씩 총 196수로 6주간 사양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조성은 대조구가 17.52% 비해 생균제 1.0%첨가구가 15.57%로 단백질 함량 수치가 낮게 나타났다 (P>0.05). 조지방은 대조구가 3.30%인 반면 남은음식물 사료는 6.44%로 음식물에 지방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P<0.05). 조회분은 대조구가 1.41%로서 항생제 1.53% 비해 첨가구들이 1.75%. 1.72% 및 2.13%로 높았다 (P<0.05). Stearic acid, linoleic acid 지방산이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mystic asid, palmitoleic acid 지방산은 대조구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P<0.05). 복강내 지방 함량은 장기무게 비율은 대조구 1.05 g로 남은음식물 생균제 1.5%첨가구가 2.30 g로 두배의 차이로 높은 비율을 나타났다 (P<0.05).

  • PDF

Effects of Low and High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s on Peridural Fibrosis and Inflammation in Lumbar Laminectomized Rats

  • Lee, Jun-Geol;Lee, Sang-Chul;Kim, Yong-Chul;Lim, Young-Jin;Shin, Jae-Hyuck;Kim, Jae-Hun;Park, Sang-Hyun;Choi, Yun-Ra;Sim, Woo-Seog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4권4호
    • /
    • pp.191-198
    • /
    • 2011
  • Background: Postlaminectomy peridural fibrosis is inevitable. Some studies have compared and identified the effects of high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s (HMWHA) and low molecular weight hyaluronic acids (LMWHA) on peridural fibrosis in postlaminectomy animal models.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found that compare pain behaviors between hyaluronic acids or among hyaluronic acids and other solid materi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ain-related behaviors and histopathologic changes in laminectomized rats using various peridurally administered materials. Methods: Forty male Sprague-Dawley rats, laminectomized at the L5 and L6 levels,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group C, laminectomy only; group L, laminectomy and LMWHA application; group H, laminectomy and HMWHA application; group F, laminectomy and fat interposition. Pain behaviors were checked before, 3 days, 1 week, and 3 weeks after surgery. Histopathological changes were checked at the L5 level 3 weeks after the surgery. Results: The 50% withdrawal thresholds in groups L and H were higher than that in groups C and F three days after laminectomy (P < 0.05). The paw withdrawal time did not change among the groups and in each group during the study period. Peridural fibrosis in group F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the other groups (P < 0.05). Conclusions: Hyaluronic acids significantly reduced mechanical allodynia but not thermal hyperalgesia. Peridural fibrosis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with pain behaviors. There have been limited stud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idural fibrosis and pain behavioral change, which should be verified by further studies.

볶음온도가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와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oasting Temperature on the Antinutrients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esame Protein Isolates)

  • 김진;박정륭;전정례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35-441
    • /
    • 1999
  • 본 실험에서는 5$0^{\circ}C$, 10$0^{\circ}C$. 15$0^{\circ}C$. 20$0^{\circ}C$ 온도에서 20분간 가열하여 전처리한 참깨를 압착해서 참기름을 제거한 후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의 항영양인자인 phytate와 phenolic acid의 함량의 변화와 식품학적인 기능적 특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참깨 분리단백질의 함량은 볶음 온도를 15$0^{\circ}C$로 상승시켰을 때 68.9%, 5$0^{\circ}C$에서의 65.5%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20$0^{\circ}C$에서는 64.1%로 오히려 감소하였고, 총페놀. 축합형 탄닌함량과 phytate함량 5$0^{\circ}C$에서 20$0^{\circ}C$로 볶음온도를 상승시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색도는 고온 처리한 참깨박 분리단백질은 L값과 b값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a값은 20$0^{\circ}C$에서 처리한 경우에 증가하였다. 전반적으로 고온처리시에 짙은 갈색을 띄었으며, 겉보기 밀도와 지방 흡수력 그리고 수분 흡수력은 볶음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유화성은 5$0^{\circ}C$에서 15$0^{\circ}C$로 온도가 상승시에 증가하였지만 20$0^{\circ}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기포성은 볶음온도에 따라 5$0^{\circ}C$와 10$0^{\circ}C$에서는 기포성의 감소가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15$0^{\circ}C$와 20$0^{\circ}C$에서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기포안정성은 10$0^{\circ}C$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circ}C$에서 볶아서 제조한 참깨 분리단백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Pleurotus ostreatus을 배양한 밀 분말 첨가가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Bread made with Flour of Wheat Cultured with Pleurotus ostreatus)

  • 김한섭;정현채;배종호;한기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79-885
    • /
    • 2012
  • 밀에 대한 느타리버섯 균사체 배양 특성 및 균사체 배양밀가루를 첨가한 제빵 적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느타리버섯 균사체를 접종하기 위해서는 온수를 이용한 침지가 냉수보다 유용하였으며, 균사체가 배양된 밀은 통밀보다 수분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반 성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균사체배양 밀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식빵을 제조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식빵의 무게, 부피 및 반죽의 발효 팽창력은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Crust와 crumb의 색도는 균사체 배양 밀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관능 평가결과, 향과 맛 그리고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균사체 배양 밀가루 5% 첨가군이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균사체 배양 밀가루를 실제 제빵에 이용할 경우 5% 미만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는 기능성 소재를 이용한 제빵 제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며 또한 균사체 배양 밀가루의 식품소재로의 이용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지방종을 동반한 척추관협착증 환자의 복합한방치료 치험 1예 (A Case Report of Combined Korean Medicine Treatment of Spinal Stenosis with Lipomatosis)

  • 김미혜;한수빈;박병학;손재민;이남우;한정훈;강도현;민태운;안재서;이한솔;이현준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95-201
    • /
    • 2020
  • Spinal epidural lipomatosis is a rare disorder characterized by overgrowth of fat in the extradural space, causing spinal stenosis with compression of the neural elements. This study reports on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who was diagnosed on lumbar stenosis with lipomatosis.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Korean traditional medicine including pharmacopucture, acupuncture, Chuna manual treatment, and Korean herbal medicine, cupping. Numerical rating scale (NRS),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Euroqol five dimension (EQ-5D) index, lumbar range of motion were used as objective tools for evaluating the patient's progress. Back NRS decreased from 6 to 3. In the case of lower limbl radiation NRS, 5 was reduced to 3 upon discharge. EQ-5D index also increased from 0.751 to 0.766. For ODI, the score dropped from 26.67 to 24.44 on hospitalization. As a result, clinical improvements were found in a pati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considered as effective conservative care for spinal stenosis with lipomat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