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wood

검색결과 350건 처리시간 0.021초

산불 피해목의 재질변화에 관한 연구(II) - 산불 피해 소나무의 경시적 재질변화 - (Variation of Material Properties of Fire-killed Timber - Impact of Time on Degradation of Mechanical Properties -)

  • 박정환;박병수;김광모;이도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30-35
    • /
    • 2008
  • 동해안 지역에서 산불로 고사된 소나무의 5년에 걸친 경시적 재질 변화를 역학성능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고사에 따른 재질열화로 가장 크게 영향 받는 역학성능은 충격 휨 흡수에너지였다. 따라서 고사 초기의 재질변화를 예측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밝혀졌다. 고사 경과에 따라 변재의 재질열화가 심재에 비해 두드러지게 진행되었다. 열화의 정도는 충격 휨 흡수에너지가 가장 컸으며 압축강도가 가장 작았다. 고사 이후의 외관 변화와 역학성능의 열화진행 정도로 볼 때 산불피해 소나무의 유효한 활용을 위한 적정 벌채 시기는 산불발생 1년 이내가 바람직한 것으로 밝혀졌다.

Natural Weathering of Wood Heat-Treated at $220^{\circ}C$

  • Kang, Ho-Yang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460-465
    • /
    • 2008
  • When wood is exposed to natural weathering and UV radiation discoloration progresses. The color variation of heat-treated wood was investigated. Four domestic species were selected and heat-treated at $220^{\circ}C$ and naturally weathered for 42 days. Their colors were measured with a portable colorimeter. The color variations were different between species. The Korean red pine specimens were highly discolored by the natural weathering even though they were heat-treated. In contrast to Korean red pine, Korean pine is less discolored. The maximum color difference of larch was lower than Korean red pine. All specimens of birch exceeded the color difference criterion of 15 after 25 hours with the maximum of 28.

  • PDF

Lacquer Techniqu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Junghae PARK;Jaewan CHOI;Uicheon LEE;Minji KANG;Soochul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2호
    • /
    • pp.69-80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scientific analyses on eight objects of wooden lacquerware to understand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wooden lacquerwa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results of lacquer layer analysis with a microscope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metry revealed that most samples were composed of 1-3 lacquer layers. Moreover, a red-colored layer was found to be red ocher and cinnabar, and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components of the lacquer layer. The detected components were mostly lacquer and partially cashew shell nut liquid.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 목부재의 수종 식별 (Species Identification of Wooden Elements Used for Daewungjeon Hall in the Bukjijangsa Temple, Daegu, Korea)

  • 연정아;박원규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3호
    • /
    • pp.201-210
    • /
    • 2013
  • 대구 북지장사 대웅전(보물 제 805호, 1659년 건축)에 쓰인 주요 목부재의 수종을 식별하기 위하여 기둥, 창방, 평방, 도리, 추녀 등 총 117점을 조사하였다. 수종 식별 결과, 기둥 부재의 경우, 소나무류(적송류) 5개, 상수리나무류 2개, 솔송나무속 3개 등의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활주는 4개 중 1개는 소나무류이고, 나머지 3개는 전나무속으로 식별되었다. 창방은 소나무류 8개, 상수리나무류 1개로, 평방은 소나무류 3개와 상수리나무류 6개로 식별되었다. 도리는 소나무류 17개, 상수리나무류 16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 등 세 수종으로 식별되었다. 추녀는 3개가 소나무류, 나머지 1개가 상수리나무류로, 그리고 사래는 소나무류 2개, 느티나무속 1개, 외래산 소나무류 1개로 식별되었다. 포부재(31개)와 장여(4개), 덧추녀(2개)는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전체적으로 보면 소나무류(70.1%)와 상수리나무류(22.2%)가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기둥, 도리, 사래 등의 일부에 사용된 솔송나무속과 외래산 소나무류 그리고 활주에 사용된 전나무속은 근래의 보수 시에 사용된 수입산 수종으로 추정된다.

소나무 고목재와 건전재의 물리, 기계, 화학적 특성 차이 (Differences of Physical, Mechan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Pinus densiflora) Between Old and New Wood)

  • 심국보;이도식;박병수;조성택;김광모;여환명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1-8
    • /
    • 2006
  • 안동 봉정사 대웅전의 지붕구조로 사용되었던 해체부재와 새로이 벌채된 소나무재의 물리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다. 고목재의 해부학적 분석에 의해 만재부위에서 수지의 응고현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열화에 의한 비중의 감소, 가도관의 미세할렬이 발생하였으며, 가도관 미세할렬은 S2층 마이크로휘브릴 경사각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고목재의 휨강도, 압축강도 및 전단강도는 모두 35-27% 가량 감소하였으며, 초음파 비파괴시험에 의한 동적탄성계수는 목재의 사용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목재의 열화는 비중과 동적탄성계수의 측정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길이방향 동적탄성계수의 측정으로부터 기계적 성능의 예측이 가능하였다. 목재의 부후를 판정할 수 있는 1% NaOH 추출 결과 고목재에서 부후가 많이 진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목재의 열화는 화학조성분의 분석에 의해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소나무의 물성 변화 분석으로부터 장기적으로 사용하는 목재의 물성 변화를 이해하고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자료의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국내산 침엽수 열압밀화재의 역학적 특성 (Mechanical Properties of Thermally Compressed Domestic Softwoods)

  • 황성욱;조범근;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66-674
    • /
    • 2014
  • 국산 침엽수재의 용도확장을 위해 열압밀화를 실시하여 압축세트량에 따른 역학적 성능을 조사하였다. 열압밀화 공정에 의해 시험편의 밀도가 크게 향상되었다. 50% 압축 시 대조군 대비 잣나무재가 약 71%, 소나무재가 약 74%, 낙엽송재가 약 76%의 밀도가 증가되었으며, 압축세트량 증가와 함께 시험편의 재질이 균일해진다는 것을 내부밀도분포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열압밀화에 따른 역학적 성능의 변화는 대조군 대비 50% 압축 시 잣나무재의 경우, 종압축강도가 76%, 휨강도가 83%, 표면경도가 55% 증가하였다. 소나무재는 종압축강도가 69%, 휨강도가 130%, 표면경도가 76% 증가되었다. 낙엽송재의 경우 종압축강도가 77%, 휨강도가 120%, 표면경도가 44% 증가되었다. 국산 침엽수 열압밀화재의 강도성능은 일반적으로 낙엽송재가 가장 높고 잣나무재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열압밀화에 의한 강도성능의 증가율은 소나무재가 가장 높았다.

리그닌분해(分解)와 리그닌분해효소(分解酵素) 생산(生産)을 위한 목재부후균(木材腐朽菌)의 선발(選拔)과 평가(評價)(I) - 고활성(高活性) 리그닌분해균(分解菌)의 선발(選拔) - (Screening and Evaluating of Wood-Rotting Fungi for Lignin Degradation and Ligninolytic Enzyme Production(I) - Screening of High Active Lignin-Degrading Fungi -)

  • 정현채;박서기;김병수;박종열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3권4호
    • /
    • pp.108-116
    • /
    • 1995
  • Guaiacol을 첨가한 potato-dextrose agar배지와 참나무 목분 배지를 이용하여 배지의 발색 정도를 정량함으로써 리그닌 분해와 리그닌 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우수 균주분리를 시도하였다. 배지의 발색정도와 리그닌 분해율과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어 미지균의 리그닌 분해력 추정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버섯의 자실체와 부후재로 부터 분리한 리그닌분해균 중에서 리그닌 분해력과 laccase활성이 우수한 LKY-12, LKY-7과 Coriolus versicolor-13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의 리그닌 분해율은 30~35% 범위이고, glucose-peptone broth에서 리그닌 분해효소 활성이 다른 균주에 비하여 매우 높아서 우수균주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생물학적인 펄프화 및 표백 그리고 리그닌분해효소 생산에 이용 가능한 균주로 생각되었다.

  • PDF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Geumgangsong, Pinus densiflora forma erecta Uyeki))

  • 김동우;황성욱;이원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58-67
    • /
    • 2014
  • 울진산 금강송의 재질특성 조사의 일환으로 기계적 성질을 조사하였다. 종압축강도는 $36.2N/mm^2$로 국산 소나무재와 잣나무재보다 다소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수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종압축강도는 수에서 60 mm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휨강도는 $76.5N/mm^2$로 나타났으며, 국산 소나무재와 잣나무재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로부터 60 mm 떨어진 지점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전단강도는 높은 비중을 나타내었던 수 부근에서 $10.4N/mm^2$로 최대값을 나타내었으며, 80 mm 지점에서 $9.1N/mm^2$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표면경도는 횡단면이 $43.7N/mm^2$, 방사단면이 $12.0N/mm^2$, 접선단면이 $13.7N/mm^2$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슷한 비중을 나타낸 소나무의 표면경도 값과 유사하다.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은 비슷한 비중을 가지는 소나무과 수종인 소나무 및 잣나무와 비슷하였다. 그리고 금강송의 기계적 성질은 평균연륜폭보다 비중에 의해 더욱 큰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II. 소나무 원목의 천연건조 중 함수율 변화 예측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During Air Drying: II. Prediction of Moisture Content Change of Korean Red Pine Logs under Different Air Drying Conditions)

  • HAN, Yeonjung;CHANG, Yoon-Seong;EOM, Chang-Deuk;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732-750
    • /
    • 2019
  • 천연건조 중 목재의 함수율 변화 예측모형을 제시하기 위하여 15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를 수행하였다. 초기함수율이 68.7%인 6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여름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88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7.4%이었다. 초기함수율이 35.8%인 9본의 소나무 원목에 대하여 겨울철에 천연건조를 시작한 후 약 760일이 경과한 후의 최종함수율은 16.0%이었다. 소나무 원목의 말구지름, 온도, 상대습도, 풍속을 독립변수로 결정하고, 천연건조 중 감소한 함수율을 종속변수로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결정계수 0.925의 회귀모형을 얻을 수 있었다. 소나무 원목의 특성인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이 기상조건인 온도, 상대습도, 풍속에 비하여 천연건조 중 함수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의 분포 및 함수율 변화를 예측하기 위하여 2차원 물질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건조일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수분확산계수 및 표면방사계수를 결정하는 기상조건을 다르게 적용한 2가지의 예측모형을 제시하였다. 2가지 적용 방법의 오차는 0.1 - 0.8%의 범위였으며, 측정값과의 차이는 2.2 - 3.6%의 범위였다. 다양한 초기함수율과 말구지름의 소나무 원목에 대한 천연건조 중 내부함수율을 측정하고, 각각의 기상조건에 대한 목재 내 수분이동계수를 산출하면 예측모형의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송재(赤松材)의 흡습(吸濕)과 팽창성(膨脹性)에 관(關)하여 (The hygroscopic and swelling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wood)

  • 이필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0-32
    • /
    • 1965
  • Many kind tree species are growing in Korea. However most of them are inferior in wood qualities and production for commercial utilization except several species. Among the useful several species Red Pine (Pinus densiflora S. et. Z.) is growing in main tree species and most generally utilizing wood in korean forest. It is used widely as mine timbers, cross ties, boxes, floorings, pulpwoods, constructions and engineerings. Although this species is most useful and economical in this country, the basical properties on relation between wood and relative humidities were not studied certainly. This study was performed by need of inspection the hygroscopic and swelling properties to be apllied for physical manufacturing.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s of each relative humidity conditions are as table (3), and the swelling values of sap and heartwood are as table (4) and (5) in text. In this study sapwood moisture contents are higher than heartwood in each relative humidities conditions. Tangential and radial ratios of average swelling values are 1:1.971 in sapwood and 1:2.178 in heartwo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