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radish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2초

혼합 싹채소의 MAP를 위한 포장재 비교 (Comparison Packing Materials for Proper MAP of Mixed Sprout Vegetables)

  • 강호민;최인이;김일섭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26-230
    • /
    • 2008
  • 혼합 싹채소의 MAP에 적합한 포장재를 선발하기 위해 알팔파, 브로콜리, 양배추, 무, 그리고 적무의 혼합 싹채소를 $50{\mu}m$ 두께의 low-density polyethylene 필름(PE 50), $50{\mu}m$ 두께의 polypropylene 필름(PP 50), $50{\mu}m$ 두께의 ceramic 필름(CE 50), $25{\mu}m$ 두께 ceramic 필름(CE 25), $10\sim13{\mu}m$ 두께의 polyethylene film(wrap), 그리고 통기구가 있는 polyethylene terephthalate 박스(box)로 포장하여 $8^{\circ}C$에서 저장 비교하였다. 저장 중 혼합 싹채소의 생체중은 7%의 감소를 보인 box처리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2% 미만의 감소만을 보였다. 포장재 내부 대기는 필름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CE 25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모두 5% 수준이었으나, PE 50과 CE 50은 이보다 높은 이산화탄소와 낮은 산소 농도를 보였는데, 이러한 대기 조성 변화가 이들 처리구에서 가장 이취가 가장 심했던 원인이라 생각된다. 저장 10일째 포장재 내 에틸렌 농도는 box가 가장 낮았고, 다음으로 PP 50, wrap, CE 25의 순서로 높았으며 외관상 품질이 저하가 가장 심하였던 PE 50과 CE 50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1% 미만의 생체중 감소와 5% 수준의 이산화탄소와 산소 농도, 그리고 4ppm 이하의 에틸렌 농도를 보인 CE 25가 혼합 싹채소에 가장 적합한 포장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오염(汚染)에 관(關)한 연구(硏究) - 김치 재료(材料)의 농약오염(農藥汚染) - (Studies on the Contamination of Kimchi Material - Pesticide Residues in Vegitables -)

  • 윤숙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3권1호
    • /
    • pp.51-58
    • /
    • 1980
  • 계절별(繫節別)로 안동지방(安東地方)에서 생산(生産)되는 김치재료(材料) 채소의 농약오염도(農藥汚染度)를 보기 위하여 배추, 무우. 마늘, 고추, 오이등(等)을 수집하여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와 유기린계(有機燐系) 농약(農藥)을 분석(分析)해 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초여름김치 재료(材料)채소에는 유기염소계(有機鹽素系) 농약오염(農藥汚染)이 많은 편이었고 때로는 잔류허용량(殘留許容陽)을 넘는 경우가 있었으며 토양살충제(土壤殺蟲劑)인 Heptachlor의 오염빈도(汚染頻度)는 가장 높았다. 2) 유기린계농약(有機燐系農藥)은 유기염소계농약(有機鹽素系農藥)에 비(比)하여 검출(檢出)되는 빈도(頻度)도 낮고 잔류허용량(殘留許容陽)에도 미치는 일이 없었다. 3) 늦여름 채소에 오염(汚染)된 유기염소농약(有機鹽素農藥)은 초여름 보다 높은 농도(濃度)로 검출(檢出)되는 경우가 많았고 반면에 유기린계농약(有機燐系農藥)의 검출(檢出)은 훨씬 그 빈도(頻度)가 낮았다. 4) 늦가을 김장용 채소의 오염농약농도(汚染農藥濃度)는 매우 낮았으며 검출빈도(檢出頻度)도 낮았다. 5) 늦가을 김장채소에는 잔류성(殘留性)이 약한 유기린계농약(有機燐系農藥)의 오염(汚染)은 거의 볼 수 없었다. 6)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로 농약사용량(農藥使用量)이 많은 여름철 채소를 많이 섭취하는 것은 그 잔류성(殘留性)으로 보아 위생적(衛生的)으로 불안(不安)한 일이라 하겠다.

  • PDF

나물 조리시 양념사용에 관한 연구 -염분농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Use of Seasoning for NAMUL Preparation -in salt concentration-")

  • 양경임;우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7-27
    • /
    • 1987
  • 조리서를 통하여 염류를 제외한 나물 양념의 분량을 조사하여 사용하고, 염류배합에만 변동을 주어 관능검사로 최적 염분농도 및 최적의 배합조건을 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료 300g에 대하여 숙채는 파 15.5g, 마늘 7.9g, 참기름 9.0g, 깨소금 5.0g을, 생채는 파 11.5g, 마늘 7.0g, 참기름 6.0g, 깨소금 3.3g, 설탕 13.9g, 식초 10.6g, 고추가루 5.6g을 사용하였다. 2. 나물의 최적 염분농도는 숙채가 1.412%, 생채가 1.368%였다. 3. 소금과 새우젓으로 간을 한 나물에서는 염분농도 0.84%∼l.89%사이에서 염분농도가 질감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4. 색의 기호성은 간장의 양을 증가시켜 첨가할수록 낮아졌으며, 색의 기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간장의 양은 오이나물과 도라지나물같이 색이 옅은 경우는 중량의 0.8%∼l.0%였고, 시금치나물같이 색이 진한 경우는 중량의 4.8%였다. 5. 전체적인 맛이 좋은 염분농도는 숙채가 1.223%∼l.513%, 생채가 1.183%∼l.373%로 짠맛의 결과와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염농도 및 발효 온도가 물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aCl Concentration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of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421-426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물김치에 대한 pH, 산도, 총 비타민C 함량, 텍스쳐 및 관능적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 국물의 pH 및 산도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고, 염 농도 1.0%의 김치가 pH는 가장 높고, 산도는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는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발효 기간의 경과와 더불어 증가했으며 최대치에 달한 후 감소했는데, 그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변화가 빠르게 나타났다. 무 물김치의 숙성적기 이후에는 염 농도가 높은 3.0% 김치에서 총 비타민 C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배추 물김치의 경우 염 농도 3.0>2.0>1.0>0.5>0.2% 순으로 염 농도가 높을수록 총 비타민 C함량이 높게 나타나 무 물김치와 차이를 보였다. 무 조직의 견고성은 $4^{\circ}C$ 숙성 김치의 경우 초기 값과 큰 차이가 없었고, $15,\;25^{\circ}C$ 숙성 김치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되었고, 무와 배추 조직의 염 농도에 따른 변화는 염 농도가 높을수록 견고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무 물김치의 염 농도에 따른 관능적 특성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는 염 농도 1.0% 김치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배추 물김치도 역시 염 농도 1.0% 김치가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답후작(沓後作)의 Quinclorac 내성(耐性) 및 감수성(感受性) 비교연구(比較硏究) (Comparison in Tolerance to Quinclorac among Followed-by Crops of Paddy Rice)

  • 국용인;노상언;구자옥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0-386
    • /
    • 1992
  • 19종(種) 답후작물(畓後作物)을 서로 다른 처리농도(處理濃度)의 Quinclorac agar 배지 및 수경재배(水耕栽培) 영양액(營養液)에 공시(供試)하여 Quinclorac에 대한 감수성(感受性) 차이(差異)를 비교한 결과, 토마토, 가지, 오이, 상추는 급진적(急進的) 감수성(感受性), 수박, 당근, 완두, 강남콩, 담배는 완만적 감수성(感受性), 기타의 고추, 양파. 마늘, 시금치, 배추, 양배추, 무우, 쑥갓, 보리는 비교적 내성(耐性)으로 분류(分類)되었다. 급진적(急進的) 감수성(感受性) 작물(作物)이라도 토마토는 생육(生育) 단계(段階)가 진전된 유묘(幼苗)의 내성(耐性)이 컸던 반면 상추는 오히려 감수성(感受性)이 컸으며 오이는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른 영향(影響)이 적었다. Quinclorac을 포함한 7종 답제초제(畓除草劑)를 토양(土壤)에 공시(供試)한 후 120-180 일 후의 토양(土壤)에 9종 답후작물(畓後作物)을 40 일간 생육(生育)시킨 결과, 대부분의 경우에는 약제(藥劑)가 소멸된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Quinclorac에 대한 토마토 반응(反應)은 유의적으로 발생되었다. 또한 마늘, 라이그라스, 오이 등에 대하여 처리후(處理後) 120-150일 된 토양(土壤)에서 약해증세(藥害症勢)를 발생시키는 제초제(除草劑)도 있었다.

  • PD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geochemical behaviour of heavy metals around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Korea

  • Lim Hye-sook;Lee Jin-Soo;Chon Hyo-Teak;Sager Manfred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he fusion technology
    • /
    • pp.544-547
    • /
    • 200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tamination levels and dispersion patterns of arsenic and heavy metals and to estimate the bioaccessible fraction of the metals in soil and plant samples in the vicinity of the abandoned Songcheon Au-Ag mine. Tailings, soils, plants (Chinese cabbage, red pepper, soybean, radish, sesame leaves, green onion, lettuce, potato leaves, angelica and groundsel) and waters were collected around the mine site. After appropriate preparation, all samples were analyzed for As, Cd, Cu, Pb and Zn by ICP-AES and ICP-MS. Elevated levels of As and heavy metals were found in tailings. Mean concentrations of As in agricultural soils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 Especially, maximum level of As in farmland soil was 513 mg/kg.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As and Zn were found in Chinese cabbage (6.7 mg/kg and 359 mg/kg, respectively). Concentrations of As, Cd, and Zn in most stream waters which are used for drinking water around this mine area were higher than the permissible levels regulated in Korea. Maximum levels of As, Cd and Zn in stream waters were 0.78 mg/L, 0.19 mg/L and 5.4 mg/L,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mine tailings can be the main contamination sources of As and heavy metals in the soil-water system in the mine area. The average of estimated bioaccessible fraction of As in farmland soils were $3.7\%$ (in simulated stomach) and $10.8\%$ (in simulated small intestine). The highest value of bioaccessible fraction of metal in farmland soils was $46.5\%$ for Cd.

  • PDF

Educational attainment and differences in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mong middle-aged adults i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

  • Hong, Seo-Ah;Kim, Ki-Rang;Kim, Mi-Kyu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6권3호
    • /
    • pp.263-269
    • /
    • 2012
  • We investigated whether socioeconomic differences affect fruit and vegetable (FV) consumption with respect to total intake and intake of various FV subgroups. Our study included 6667 adults aged 40-64 years who completed a dietary survey in the fourth Korean NHANES (2007-2009). FV intake was estimated from 24-hour recall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Differences in FV consumption related to educational attain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different nutritional categories of FV. Both men and women in the low-education group had the lowest intake of total FV and total fruits, and women also had the lowest intake of total vegetables. Also lowest in this group was consumption of mushrooms and vegetables (excluding kimchi) among men, and cruciferous and allium vegetables (excluding Chinese cabbage and radish) among women, while kimchi consumption was the highest in this group. Additionally, an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level and intake of citrus fruits was evident among men. Adults in the low-education group consumed less carotene-rich FV, red fruit and/or vegetables, and dark-green leafy vegetables, fewer total vegetable dishes, and fewer types of fruit than in other groups. Men in this group had the lowest intake of yellow/orange fruit and/or vegetables, and women consumed the least folate-rich FV. There is a clear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al attainment and FV intake with regard to total intake, and to specific nutrients, bioactive compounds, colors, and variety.

한국(韓國)의 Pythium spp. 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분류(分類) 및 생화학적(生理學的) 기초연구(基礎硏究)- (Studies on Pythium spp. in Korea -(I) Preliminary taxonomic and physiological studies-)

  • 이응권;이영희;유재당
    • 한국균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12
    • /
    • 1975
  • 지금(只今)까지 한국(韓國)에는 담배, 오이, 참외, 인삼(人參) 등(等)에서 입고병(立枯病)을 일으키는 Pythium debaryanum을 보고(報告)한 것 뿐이였으나 1975년(年) 저자(著者)들은 3종(種)의 미기록(未記錄) Pythium 균(菌)을 동정(同定)할 수 있었다. P. spinosum Sawada는 양배추에서 P. myriotylum Drechl은 강낭콩에서 그리고 P. butleri Subr는 오이, 시금치, 팥, 무우등(等)의 기주(寄主)에서 분리(分離)하였다. P. myriotylum과 P. butleri는 병원성(病原性)이 인정(認定)되었으나 P. spinosum는 병원성(病原性)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nmeal agar 배지(培地)에서는 대부분(大部分)의 분리균(分離菌)이 완전(完全)한 자실체형성(字實體形成)이 되지 않았으며 몇 개의 분리균(分離菌)은 같은 배지(培地)에서 계대배양(繼代培養)함에 따라 퇴화(退化)된 자실체(字實體)를 형성(形成)하였다. 그러나 해바라기 종자(種子)를 이용(利用)한 배지(培地)에서는 모든 분리균(分離菌)이 만족(滿足)할만한 자실체(字實體)를 형성(形成)하였다.

  • PDF

새싹채소의 생리활성 특성 및 그 가공품의 제조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anufacturing of the Processing Products of Sprout Vegetables)

  • 김덕숙;이근보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8-245
    • /
    • 2010
  • 무, 적양배추, 청경채, 메밀 및 브로콜리 씨앗을 이용하여 새싹채소 및 성장이 완료된 일반채소를 재배하였다. 이들에 대한 비타민 함량을 측정한 결과 각 시료에 따라 큰 편차를 나타내었으며, 비타민 $B_1$은 싹이 트면서 그 함량이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았다. 이는 비타민 $B_1$이 성장에 사용되는 영양소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새싹채소의 무기물 함량은 일반채소 보다 2~10배 높게 나타났다. 새싹의 성장에 다량 이용되는 무기물은 칼륨이었고, 나트륨은 가장 적게 소비되었다. 일반채소에 비하여 새싹채소가 그 $\alpha$-amylase 활성 및 종합당화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경향은 이들을 이용하여 가공한 동결건조분말에서도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싹 틔움에 따라 효소활성도가 비례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새싹채소의 장점은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고, 가정에서 직접 재배가 가능하여 농약이나 화학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심하고 먹을 수 있다는 점인 것으로 판단된다.

Origin of lactic acid bacteria in mulkimchi fermentation

  • Hwang, Chung Eun;Haque, Md. Azizul;Hong, Su Young;Kim, Su Cheol;Cho, Kye M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2권4호
    • /
    • pp.441-446
    • /
    • 2019
  • The assortment of endophytic lactic acid bacteria (LAB) in kimchi derives from its raw vegetables, which include Chinese cabbage, radish, welsh onion, onion, garlic, red pepper, and ginger. These vegetables were examined during mulkimchi fermentation using gene-specific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16S ribosomal RNA sequence analysis. Sixteen species from five LAB genera (Leuconostoc, Lactobacillus, Lactococcus, Pediococcus, and Weissella) appeared in the raw kimchi materials. Interestingly, nine LAB species were identified in mulkimchi on fermentation day 0 as follows: Leuconostoc carnosum, Leuconostoc citreum, Leuconostoc gelidum, Leuconostoc inhae, Leuconostoc mesenteroides, Lactobacillus plantarum, Lactobacillus sakei, Lactococcus lactis, and Weissella confusa. Seven additional LAB species were present in mulkimchi at fermentation day 9 as follows: Leuconostoc gasicomitatum, Leuconostoc kimchii, Lactobacillus brevis, Lactobacillus curvatus, Lactobacillus pentosus, Pediococcus pentosaceus, and Weissella koreensis. These species corresponded completely with the LAB in kimchi vegetables. Wei. confusa was the predominant LAB during early fermentation (pH 6.20 to 4.98 and acidity 0.20 to 0.64%), while Lac. sakei, Lac. plantarum, and Wei. koreensis became dominant later in fermentation (pH 4.98 to 3.88 and acidity 0.64 to 1.26%). These results collectively demonstrate that the LAB involved in mulkimchi fermentation originates from the raw vegetables exa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