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d clay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1초

토양이화학성(土壤理化學性)을 이용(利用)한 인삼근(人蔘根) 수량예측(收量豫測)의 통계적(統計的) 모형(模型) (Statistic Model by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for Prediction of Ginseng Root Yield)

  • 이종철;이일호;한원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71-374
    • /
    • 1984
  • 인삼재배포장(人蔘栽培圃場) 선정(選定)의 통계적(統計的) 모형(模型)을 설정(設定)코자 홍삼포(紅蔘圃) 6년근(年根) 27개소(個所)에서 근수량(根收量)과 토양(土壤)의 주요(主要) 이(理), 화학성(化學性)을 조사(調査)하여 그들 상호간(相互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검토(檢討)하고 조사전(調査前) 이들 인자(因子)들로 근수량(根收量)의 여측(予測)이 가능(可能)한가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6년근포장(年根圃場)의 근수량(根收量)은 $1.85{\pm}0.54kg/3.3m^2$였고 근수량(根收量)과 공극(孔隙), 점토(粘土), 점토(粘土)와 미사함량(微砂含量), 유기물(有機物) 및 CEC와는 각각(各各) 정(正)의 상관(相關)이,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인정(認定)되었다. 2. 공극(孔隙)($X_1$), 점토(粘土)($X_2$), 입토(粒土)와 미사함량(微砂含量)($X_3$), 유효인산함량(有效燐酸含量)($X_4$), CEC($X_5$)를 조합(組合)한 회귀방정식(回歸方程式)으로 근수량여측(根收量予測)이 가능(可能)하였으며 그 이론식(理論式)은 $Y=-1.175+0.033X_1-0.04X_2+0.012X_3-0.001X_4+0.171X_5$였다. 3. 근수량(根收量)의 관여도(關與度) 지표(指標)인 표준편회귀계수(標準偏回歸係數)는 CEC 0.3799, 점토함량(粘土含量) 0.1550, 공극(孔隙) 0.0890 점토(粘土)와 미사함량(微砂含量) 0.0599, 유효인산(有效燐酸) -0.0138순(順)이었다.

  • PDF

산지토양(山地土壤)의 특성(特性)과 개량(改良) (Soil Characteristics and Improvement of Reclaimable Hillside Land)

  • 류인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47-262
    • /
    • 1979
  • Majority of reclaimable soils in hillside lands in Korea are red yellow soils, with exception in Jeju island, where most of reclaimable hillside lands are composed of volcanic ash soils. Songjeong, Yesan and Samgag series are the major soil series of red yellow soils which are available for the reclamation. When observed in the fields, they are distinguished as reddish brown clay loam, red yellow sand loam and yellowish brown sand loam. They have moderately good physical properties but their chemical properties are generally poor for crop cultivations. The chemical properties of red yellow soils, as compared to long time cultivated (matured) soils, are characterized by very low pH, high in exchangeable Al content and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Also extraodinary low available phosphoru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are generally observed. On the other, the chemical properties of volcanic ash soils are characterized by high armophous Fe and Al hydroxides and organic matter contents, which are the causative factors for the extremely high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of the soils. The phosphorus fixation capacity of volcanic acid soils are as high as 5-10 times of that of red yellow soils. Poor growth of crops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 are mainly caused by very low available P and pH and high exchangeable Al. Relatively high P fixation capacity renders the failure of effective use of applied P when the amount of application is not sufficient. Applications of lime to remove the exchangeable Al and relatively large quantity of P to lower the P fixation capacity and to increase the available P are the major recommendations for the increased crop production on red yellow hillside soils. Generally recommendable amounts of lime and P to meet the aforementioned requirements, are 200-250kg/10a of lime and $30-35kg\;P_2O_5/10a$. Over doses of lime. frequently induces the K, B, arid Zn deficiencies and lowers the uptake of P. In volcanic ash soils, it is difficult to alter the exchangeable Al and the P fixation capacity by liming and P application. This may be due to the peculiarity of volcanic ash soil in chemical properties. Because of this feature, the amelioration of volcanic ash soils is not as easy as in the case of red yellow soils. Application of P as high as $100kg\;P_2O_5/10a$ is needed to bring forth the significant yield response in barley. Combined applications of appropriate levels of P, lime, and organic matter, accompanied by deep plowing, results in around doubling of the yields of various crops on newly reclaimed red yellow soils.

  • PDF

우리나라 전토양(田土壤)의 특성(特性)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에 분포(分布)된 적황색토(赤黃色土)를 중심(中心)으로) (The Morphology,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Red-Yellow Soils in Korea)

  • 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35-52
    • /
    • 1973
  • 우리나라 전작물(田作物)의 저위생산성의 원인(原因)과 그 대책(對策)을 토양학적(土壤學的)인 면(面)에서 추궁(追窮)함에 있어 우선(于先) 현재경작(現在耕作)이 많이 되여 있고 또 앞으로 개발(開發)의 가능성(可能性)을 가진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의 적황색토(赤黃色土)에 대(對)하여 현재(現在)까지 밝혀진 조사(調査)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하였으며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적황색토(赤黃色土)는 우리나라 남부(南部)를 비롯하여 중부이북(中部以北)의 저구릉(低丘陵), 산록(山麓) 및 대지(臺地)에 분포(分布)하고 있으며 화강암(花崗岩), 화강편마암(花崗片麻岩)을 비롯한 석회암(石灰岩), 혈암(頁岩) 그리고 홍적층(洪積層) 등(等)을 모재(母材)로 하고 있다. 2. 적황색토(赤黃色土)는 A, Bt, C층(層)으로 되여 있다. A층(層)은 유기물(有機物)이 엷게 덮여서 암색(暗色)을 띄우는 양질(壤質), 식양질(埴壤質)이며 Bt층(層)은 진갈색(眞褐色), 적갈색(赤褐色), 황적색(黃赤色)의 식질(埴質) 혹은 식양질(埴壤質)로서 토괴표면(土塊表面)에 점토피막(粘土皮膜)이 형성(形成)되여 있다. C층(層)은 모재(母材)에 따라 다양다색(多樣多色)하며 Bt층(層)에 비(比)하여 토성(土性)이 거칠고 토양구조(土壤構造)의 발달(發達)이 없다. 토양(土壤)의 깊이는 지형(地形) 모재(母材)에 따라 다르나 대부분(大部分)이 100cm 이내(內外)이다. 3. 적황색토(赤黃色土)의 물리적성질(物理的性質)에 있어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에서 18~35% 심토(心土)에서 30~90%로서 심토(心土)의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에 비(比)하여 약(約) 2배(倍) 내외(內外)가 된다. 가비중(假比重)은 표토(表土)에서 1.2~1.3심토(心土)에서 1.3~1.5 그리고 삼상(三相)의 분포(分布)는 표토(表土)에서 고상(固相) 45~50 액상(液相) 30~45, 기상(氣相) 5~25, 심토(心土)에서 고상(固相) 50~60, 액상(液相) 35~45, 기상(氣相) 15미만(未滿)으로 대부분(大部分)이 치밀(緻密)하다, 유효수분범위(有効水分範圍)는 비교적(比較的) 좁아서 표토(表土)에서 10~23%, 심토(心土)에서 5~16% 범위(範圍)이다. 4. 적황색토(赤黃色土)의 화학적성질(化學的性質)에 있어 토양반응(土壤反應)은 모재(母材)에 따라 달라서 석회암(石灰岩) 및 구하해혼성퇴적(舊河海混成堆積)을 모재(母材)로한 토양(土壤)에서는 중성(中性) 급지(及至) 염기성(鹽基性) 그밖의 토양(土壤)에서는 산성(酸性) 급지(及至) 강산성(强酸性)을 띠운다. 표상(表上)의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식생(植生), 침식(侵蝕), 경종(耕種) 등(等)에 따라서 차(差)가 크며 1.0~5.0% 범위(範圍)에 있다.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5~40me/100gr이며 이는 유기물(有機物), 점토(粘土), 미사함량(微砂含量) 등(等)과 밀접(密接)한 관계(關係)를 가지고 있다. 치환침출염기(置換浸出鹽基)는 용탈(溶脫)되여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가 대체(大體)로 낮지만 석회암(石灰岩)에 기인(基因)된 토양(土壤)에서는 석회(石灰), 마구네슘함량(含量)이 높아서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도 높다. 5. 적황색토(赤黃色土)의 점토광물(粘土鑛物)은 대부분(大部分)이 Kaolin 광물중(鑛物中)의 하나인 Halloysite와 운모(雲母)의 풍화생성물(風化生成物)인 Vermiculite, Illite를 주광물(主鑛物)로 하고 있으며 소량(少量)의 Chlorite, Gibbisite, Hematite 혼층광물(混層鑛物)과 1차(次) 광물(鑛物)인 석영(石英) 및 장석(長石)이 존재(存在)한다. 6. 적황색토(赤黃色土)는 미국(美國)의 Red-yellow podzolic Soils 및 Reddish Brown Lateritic Soils의 일부(一部) 그리고 일본(日本)의 적황색토(赤黃色土)와 유사(類似)한 특성(特性)을 가진다. 미(美)7차(次) 시안(試案)에 의(依)하면 적황색토(赤黃色土)는 Udults 및 Udalfs 그리고 FAO 분류안(分類案)에 의(依)하면 Acrisols, Luvisols 그리고 Nitosols로 분류(分類)할 수 있다.

  • PDF

시판 단청용 천연안료의 내광성·내공해성 실험 연구 -한국, 일본, 중국 생산 안료를 중심으로- (Experimental study on Light and Gas Pollution Resistance of Commercial Natural Pigments for Dancheong - Focucing on Korea, Japan and China Products -)

  • 이경민;김순관;배수빈;김미정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43-455
    • /
    • 2015
  • 국내에서 구입 가능한 국내산, 일본산, 중국산 천연안료를 대상으로 단청 재료로서의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내광성 및 내공해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단청 기법이나 바탕재의 영향을 배제한 채, 안료의 고유한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안료 칠을 위한 교착제로는 천연재료인 아교와 현재 단청 공사 시 널리 사용되는 합성수지를 선택하였으며, 열화 실험용 인공 광원은 제논 아크 램프를, 오염 가스로는 이산화질소 가스를 선정하였다. 안료가 열화 된 정도는 색도를 측정하여 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내광성 실험 결과, 광물성 안료 중 청색, 녹색계열의 안료와 황토, 백토, 석간주 등 토양성 안료들이 내광성이 양호하게 나타났고, 자황, 웅황, 진사, 연단 등이 좋지 않게 확인됐다. 내공해성 실험 결과, 연단을 제외한 천연안료 대부분의 내공해성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칠했을 때 보다 아교로 칠 했을 경우 내공해성이 더 양호했다.

북동태평양 원양성 적점토의 지질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Geotechnical Properties of Pelagic Red Clay in Northeast Equatorial Pacific)

  • 지상범;이현복;형기성;주세종;이근창;함동진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3권3호
    • /
    • pp.286-294
    • /
    • 2008
  • 북동태평양 클라리온-클리퍼톤 균열대(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C-C지역) 사이의 북쪽지역에 위치한 연구지역 원양성 적점토 표층퇴적물의 특성파악을 위해 기계적 교란이 적은 다중주상시료채취기로 24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취하였다. 채집된 퇴적물 시료의 입도, 함수율, 밀도, 공극률 등 지표 특성과 전단강도, 컨시스턴시 한계 등의 지질공학적 특성 그리고 생물기원 오팔함량 및 광물조성을 분석하였다. 원양성 적점토가 분포하는 광범위한 연구지역($15^{\circ}45'{\sim}16^{\circ}55'N,\;125^{\circ}20'{\sim}134^{\circ}10'W$) 퇴적물의 지표 특성 및 광물학적 특성은 동일 경도 상에서 동측지역과 서측지역 사이의 큰 거리차이에도 불구하고 매우 균일한 특성을 보인다. 단지 표층퇴적물의 전단강도는 KR1 지역에 비해 KR2지역이 고화된 특성을 보이는데, 이것은 KR2 지역에서 나타나는 하부 Unit 3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석회암지역 소나무림에서 지렁이의 생태학적 역할 (Ecological Role of Earthworms in Red Pine Forest in the Limestone Areas)

  • Mun, Hyeong-Tae;Jeong-Ok 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6권2호
    • /
    • pp.229-238
    • /
    • 1993
  • Ecological role of earthworms in red pine forest was investigated with emphasis on the population size, cast production and changes of physicoKDICical properties of soil by earthworm's activities. The density of earthworms was 62.8/m2 in August, 1992. Average biomass of earthworms was 16.3 g/m2. N and P concentrations in the tissue of earthworms were 28.5 mgN/g and 0.5 mgP/g, respectively. Cast production continued from April to November, with a peak in August. Annual production of earthworm casts was 5,379 g/m2. Bulk density of surface soil decreased due to the earthworm's cast-forming activity. Clay fraction in surface soil increased by addition of casts. Soil KDICical proper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surface soil and the earthworm casts. The amounts of organic matter, N, P, K, Ca and Mg added to the soil via earthworm casts during one year were 9.3t/ha, 11.29 kg/ha, 0.78 kg/ha, 12.36 kg/ha, 140.29 kg/ha and 20.96 kg/ha, respectively. Earthworms can feed on waxy and resinous litter when it became palatable by decomposing processes.

  • PDF

가정에서 담그는 고추장의 제조방법에 관한 조사 연구 (Survey on preparation method of traditional home made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 신동화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427-434
    • /
    • 1995
  • The preparation method for traditional kochujang (fermented hot pepper-soybean paste) at home were surveyed by 1,436 housewives through the country by premade questionnaires. The kochujang meju (Korean style soybean Koji for kochujang) were made by solely soybean (45.3% of respondents) or soybean with rice (26.3%) from September to November (52.2%) or December to February (32.7%). The shape of meju was either doughnut (28.4%) or brick (25.6%) type. Kochujang making seasons were either from March to May (56.6%) or December to February (25.0%) and it was prepared in proportion of mostly $6{\sim}10%$ meju powder (32%) with over 20% of red pepper powder (57.2%) prepared by seed removed dry red pepper. Subsidiary ingredients for kochujang making were boiled waxy rice (73.5%), malt (33.3%), corn syrup (18.9%) or corn syrup with malt (21.9%). After mixing all ingredients, kochujang in clay pot were occasionally exposed to the sun for fermentation for $3{\sim}4$ months (35.0%) or $1{\sim}2$ months (34.7%).

  • PDF

디지털 미디어예술에서의 삼학 (The Trivium of the Digital Media Art)

  • 김의나;김태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45-749
    • /
    • 2014
  • 인간은 오랫동안 이미지를 만들어왔습니다. 황토, 숯, 적철광을 염료로 사용한 구석기 시대의 동굴벽화로부터 마야 같은 3D툴을 이용한 현 시대의 디지털 영상까지 오랜 역사만큼 다양한 방법으로 만들어졌습니다. 그리고 그 사회를 구분하는 것은 인간과 기술의 발달입니다. 기술, 인간, 예술 이 세 가지를 알아야 시대성을 가진 이미지를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세에 수도사들이 학생들에게 가르쳤던 트리비움(Trivium) 삼학을 가져와 디지털 시대의 삼학이라고 주제를 정했습니다. 본 논문은 기술, 인간, 예술을 실제 애니메이션에 적용해보면서 이론적 논의 가치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Spectral Characteristics of Hydrothermal Alteration in Zuru, NW Nigeria

  • Aisabokhae, Joseph;Tampul, Hamma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35-544
    • /
    • 2019
  • This study demonstrated the ability of a Landsat-8 OLI multispectral data to identify and delineate hydrothermal alteration zones around auriferous prospects within the crystalline basement, North-western Nigeria. Remote sensing techniques have been widely used in lithological, structural discrimination and alteration rock delineation, and in general geological studies. Several artisanal mining activities for gold deposit occur in the surrounding areas within the basement complex and the search for new possible mineralized zones have heightened in recent times. Systematic Landsat-8 OLI data processing methods such as colour composite, band ratio and minimum noise fraction were used in this study. Colour composite of band 4, 3 and 2 was displayed in Red-Green-Blue colour image to distinguish lithologies. Band ratio ${\frac{4}{2}}$ image displayed in red was used to highlight ferric-ion bearing minerals(hematite, goethite, jarosite) associated with hydrothermal alteration, band ratio ${\frac{5}{6}}$ image displayed in green was used to highlight ferrous-ion bearing minerals such as olivine, amphibole and pyroxenes, while ratio ${\frac{6}{7}}$ image displayed in blue was used to highlight clay minerals, micas, talc-carbonates, etc. Band rationing helped to reduce the topographic illumination effect within imag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e distribution of the lithological units and the hydrothermal alteration zone which can be further prospected for mineral reserves.

Porcelain의 표면코팅을 위한 Hematite 적색 안료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Hematite Red Pigment for Porcelain Surface Coating)

  • 김경남;박현;원일안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06-210
    • /
    • 2017
  • In this study, an ${\alpha}-Fe_2O_3$ (hematite) coated porcelain plate was sintered in a temperature range from $1100^{\circ}C$ to $1250^{\circ}C$ using ferrous sulfate. The specimens were investigated by X-ray diffractometer (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and UV-visible spectrophotometer. It was confirmed that ${\alpha}-Fe_2O_3$ (hematite) was densely fused to the surface at several tens of ${\mu}m$, the ${\alpha}-Fe_2O_3$ (hematite) was in the form of thin platelet and polyhedra, and no other compounds appeared in the sintering process. In the specimen coated with ${\alpha}-Fe_2O_3$ (hematite), the reflectance spectra show a red absorption band of 560-650 nm. The $L^*$ value decreased from 53.18 to 46.94 with the firing temperature. The values of $a^*$ and $b^*$ were at 19.03 and 15.25 at $1100^{\circ}C$ and gradu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temperature; these values decreased rapidly at $1250^{\circ}C$ to 11.54 and 7.98, respectively. It is considered that the new phases are formed by the phase transition of the porcelain plate (clay), and thus the $a^*$ and $b^*$ values are greatly influen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