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urrence time

검색결과 732건 처리시간 0.03초

Utility of Serum Peptidome Patterns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for Comprehensive Treatment

  • Wan, Qing-Lian;Hou, Xiang-Sheng;Zhao, Gua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5호
    • /
    • pp.2919-2923
    • /
    • 2013
  • Esophageal cancer (EC) is one of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s, and the incidence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ESCC) is highest in China. Early diagnosis and effective monitoring are keys to comprehensive treatment and discovering tumor metastases and recurrence in tim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serum peptidome pattern utility for diagnosis of ESCC, and assessment of operation success, postoperative chemotherapy results, tumor metastasis and recurrence. Serum samples were collected from 61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nd chemotherapy and 20 healthy individuals. Spectral data generated with weak cationic-exchanger magnetic beads (WCX-MB) and MALDI-TOF MS by a support vector machine (SVM), were used to construct diagnostic models and system training as potential biomarkers. A pattern consisting of 11 protein peaks, separated ESCC (m/z 650.75), operated (m/z 676.61, 786.1, 786.58), postoperative chemotherapy (m/z 622.77, 650.66, 676.46) and tumor metastasis and recurrence (m/z 622.63, 650.56, 690.77, 676.12) from the healthy individuals with a sensitivity of 100.0% and a specificity of 100.0%.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ALDITOF MS combined with MB separation yields significantly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for the detection of serum protein in patients with EC patients treated with surgery and chemotherapy.

Recurrent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 Lee, Chang-Ju;Koh, Hyeon-Song;Choi, Seung-Won;Kim, Seon-Hwan;Yeom, Jin-Young;Kim, You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8권6호
    • /
    • pp.425-430
    • /
    • 2005
  • Objective : Recently, the survival rate and prognosis of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S-ICH] has improved, and their enhanced survival has become associated with a consequent rise in the recurrence of S-ICH.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evention of recurrent S-ICH. Methods : Between January 1999 and March 2004, we experienced 48 cases of recurrence. We classified the patients into the two groups; a double ICH group and a triple ICH group. We investigated their brain CTs, MRIs, cerebral angiographies, and medical records, retrospectively. Results : Majority of patients had the intervals at least 12 months, and most of patients underwent conservative treatment. The most common hemorrhage pattern of recurrence was ganglionic-ganglionic [basal ganglia - basal ganglia], and the second attack was contralateral side of the first attack in a large percentage of all patients. Prognosis of patients was worsened in recurrent attack. Nearly all patients had medical history of hypertension, and most patients have taken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t the arrival of emergency room. Conclusion : In treating hypertension for S-ICH patients, we stress that blood pressure must be thoroughly controll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2기 대장암 환자에서의 수술 후 보조 항암화학요법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Stage II Colon Cancer)

  • 박재준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89-94
    • /
    • 2015
  • The role of adjuvant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stage II colon cancer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Adjuvant chemotherapy aims to eliminate any micrometastatic disease that may have been missed, at the time of surgery. Although one prospective study showed a smal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nefit with respect to the overall survival for those who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multiple pooled data did not demonstrate any benefit of this therapy in patients with stage II colon cancer. Current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for the adjuvant treatment of stage II colon dose not advise routine implementation of adjuvant chemotherapy, but rather recommend selective use of this therapy for patients with high risk of recurrence. High risk features for recurrence include T4 disease, poorly differentiated histology, presence of lymphovascular invasion, presence of perineural invasion, inadequate retrieval of lymph nodes, bowel obstruction, localized perforation, or positive margins. More recently, prediction tools using gene expression cancer profiles are proposed to identify patients who are most likely to have recurrence and therefore may benefit from postoperative chemotherapy in stage II colon cancer. These novel methods together with conventional prognosticators, will allow us to implement more optimized personalizing adjuvant therapy in these patients.

  • PDF

후두전적출술 후 기공주변의 재발 (Stomal Recurrence after Total Laryngectomy - A Critical Analysis of Etiology and Therapeutic Problems­)

  • 최종욱;정광윤;오재훈;김용환;김병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2-156
    • /
    • 1994
  • 최근 10년간 후두전적출술을 시행하였던 159례 중 기공주변 재발이 발생하였던 12례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기공주변의 재발은 1차 치료종결후 평균 8.23개월에 발견되었으며, 발생빈도는 7.55%이었다. 2) 추정 원인은 광범위한 원발병소로 인한 부적절한 절재연, 기관절개술후 근치수술의 지연, 불완전한 림프전이절의 처리 순이었다. 3) 7례는 항암화학요법(국소 또는 전신적)과 고식적 방사선요법을 시행하였으며, 5례는 구제수술을 시행한 후 고식적 방사선요법 및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나 구제수술을 받은 제 1형 1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사망하였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7.32{\pm}5.61$개월 이었다. 이상의 성적에서 기공주변의 재발 가능성이 높은 고위험군에 대하여는 광범위한 절제 후 적극적인 추적관찰과 더불어 과감한 구제수술로 생존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 분석 (Analysis of Local Recurrence of Giant Cell Tumor)

  • 천상호;박일형;조환성;김도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51-54
    • /
    • 2010
  • 목적: 골 거대세포종 환자들의 치료결과 및 재발률을 평가하여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0년 3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 받은 거대세포종 환자 중 최소 12개월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54예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54예 중 남자 27예, 여자 27예로 평균 나이는 33.1세(13-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7개월(12-104개월)이었다. 결과: 54예 중 21예(38.9%)에서 국소재발이 발생하였으며 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21.5개월이었다. 국소재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진 인자로는 해부학적 위치와 임상적 병기로 하지에서 상지보다 낮은 재발률을 보였으며(p=0.032), Campanacci 분류 grade I이 grade II와 grade III보다 재발률이 낮았다. 소파술 후 골시멘트 충진을 시행한 군(28예)과 동종골 이식을 시행한 군(18예) 사이에도 국소 재발률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소파술 후 국소 보조요법으로 냉동을 시행한 군과 시행하지 않은 군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골 거대세포종의 국소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종양세포의 철저한 제거가 여러 부가적인 처치보다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시간이 연속인 마르코프 체인하에서 개체수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dividual Number Process Under Continuous-Time Markov Chains)

  • 박춘일;김명철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4-97
    • /
    • 1992
  • In this paper, the individual number of the future has depended not only upon the present individual number but upon the present individual age, considering the stochastic process model of individual number when the life span of each individual number and the individual age as a set, this becomes a Markovia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individual is treated as invariable, without depending upon the whole record of each individual since its birth. As a result, suppose {N(t), t>0} be a counting process and also suppose $Z_n$ denote the life span between the (n-1)st and the nth event of this process, (n{$geq}1$) : that is, when the first individual is established at n=1(time, 0), the Z$Z_n$ at time nth individual breaks, down. Random walk $Z_n$ is $Z_n=X_1+X_2+{\cdots}{\cdots}+X_A, Z_0=0$ So, fixed time t, the stochastic model is made up as follows ; A) Recurrence (Regeneration)number between(0.t) $N_t=max{n ; Z_n{\leq}t}$ B) Forwardrecurrence time(Excess life) $T^-I_t=Z_{Nt+1}-t$ C) Backward recurrence time(Current life) $T^-_t=t-Z_{Nt}$

  • PDF

Drainage Alone or Combined with Anti-tumor Therapy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Recurrence and Metastasis after Primary Tumor Resection

  • Xu, Chuan;Huang, Xin-En;Wang, Shu-Xiang;Lv, Peng-Hua;Sun, Ling;Wang, Fu-An;Wang, Li-F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6호
    • /
    • pp.2681-2684
    • /
    • 2014
  • Aim: To compare drainage alone or combined with anti-tumor therapy for treatment of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recurrence and metastasis after primary tumor resection. Materials and Methods: We collect 42 patients with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recurrence and metastasis after tumor resection from January 2008 - August 2012, for which percutaneous transhepatic catheter drainage (pTCD)/percutaneous transhepatic biliary stenting (pTBS) were performed. In 25 patients drainage was combined with anti-tumor treatment, antineoplastic therapy including intra/postprodure local treatment and postoperative systemic chemotherapy, the other 17 undergoing drainage only. We assessed the two kinds of treatment with regard to patient prognosis. Results: Both treatments demonstrated good effects in reducing bilirubin levels in the short term and promoting liver function. The time to reobstruction was 125 days in the combined group and 89 days in the drainage only group; the mean survival times were 185 and 128 days, the differences being significant. Conclusions: Interventional drainage in the treatment of the obstructive jaundice caused by recurrence and metastasis after tumor resection can decrease bilirubin level quickly in a short term and promote the liver function recovery. Combined treatment prolongs the survival time and period before reobstruction as compared to drainage only.

Prognostic Role of Circulating Tumor Cells in the Pulmonary Vein, Peripheral Blood, and Bone Marrow in Resectable Non-Small Cell Lung Cancer

  • Lee, Jeong Moon;Jung, Woohyun;Yum, Sungwon;Lee, Jeong Hoon;Cho, Sukki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5권3호
    • /
    • pp.214-224
    • /
    • 2022
  • Background: Studies of the prognostic role of circulating tumor cells (CTCs) in early-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re still limite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ognostic power of CTCs from the pulmonary vein (PV), peripheral blood (PB), and bone marrow (BM) for postoperative recurrence in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NSCLC. Methods: Forty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NSCLC were enrolled. Before resection, 10-mL samples were obtained of PB from the radial artery, blood from the PV of the lobe containing the tumor, and BM aspirates from the rib. A microfabricated filter was used for CTC enrichment, and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used to identify CTCs. Results: The pathologic stage was stage I in 8 patients (20%), II in 15 (38%), III in 14 (35%), and IV in 3 (8%). The median number of PB-, PV-, and BM-CTCs was 4, 4, and 5, respectively. A time-depend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showed that PB-CTCs had excellent predictive value for recurrence-free survival (RFS), with the highest area under the curve at each time point (first, second, and third quartiles of RFS). In a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PB-CTCs were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recurrence (hazard ratio, 10.580; 95% confidence interval, 1.637-68.388; p<0.013). Conclusion: The presence of ≥4 PB-CTCs was an independent poor prognostic factor for RFS, and PV-CTCs and PB-CTCs had a positive linear correlation in patients with recurrence.

자궁경부암으로 수술 후 재발암의 방사선치료 (Radiation Therapy in Recurrence of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after Primary Surgery)

  • 김진희;김옥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2호
    • /
    • pp.143-148
    • /
    • 2003
  • 목적: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단독 치료만 시행 받은 후 재발암에서 방사선치료를 시행하고 생존율 및 실패양상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계명대학교 동산의료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선 초기(I, IIa) 자궁경부암으로 진단을 받고 수술 후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분포는 31세에서 70세로 평균 48세이며 수술 당시 병기 1기가 20명, 2기가 7명이었고 23명이 편평상피암이었고 4명은 선암이었다.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2개월에서 90개월로 평균 29개월이었다. 재발부위로는 질 부위가 14명, 골반강이 9명, 복합재발이 4명이었다. 수술은 25명에서 전자궁적출술과 골반내림프절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2명은 전자궁적출술만을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13명에서는 외부방사선치료만을 받았고 13명에서는 외부방사선치료와 질강내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며 1명은 질강내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방사선치료 후 추적관찰기간은 6개월에서 128개월로 중앙값 55개월이었다. 결과: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과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71.9$\%$, 68.2$\%$이었다. 재발부위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으나 질 부위에만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에서 가장 높은 5년 무병생존율을 나타내었다(5년 무병생존율, 질 부위에만 재발한 환자는 85.7$\%$, 질 부위를 제외한 골반부위에 재발한 환자 53.3$\%$, p=0.09). 재발시기에 따른 생존율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실패양상으로는 질 부위에만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7$\%$의 국소재발만 있었고 골반강내에 재발하여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국소재발이 주된 실패이었고 골반과 복벽, 복막 등에 같이 재발되었던 환자들은 방사선치료 후 원격전이가 주된 실패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3도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이상으로 볼 때, 초기 자궁경부암에서 수술단독치료 후 재발암에서는 방사선치료는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라고 생각되며 특히 수술 후 질 부위에만 재발한 경우에는 외부방사선치료와 질강내방사선치료로 좋은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겠다.

거대 세포종에서 골 소파술 및 시멘트 충전술 후의 재발 분석 (Recurrence Analysis of Giant Cell Tumor after Curettage and Cementation)

  • 한수봉;이원준;신규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71-78
    • /
    • 2004
  • 목적: 최근 체험한 59례의 거대 세포종 중 골 소파술 및 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한 37례의 재발의 특성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5년 1월부터 2000년 3월까지 본원 정형외과에 입원하여 진단적 생검 또는 수술적 치료에 의하여 병리학적으로 거대 세포종으로 확진되고, 그 치료로 골 소파술과 Burring 후 시멘트 충전술을 시행했던 3 7례의 재발의 위치, 특성, 시기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총 37례 환자 중 일차 치료(Curettage & Cementation) 후 13례에서 재발하여 35%의 재발율을 보였다. 일차 치료 후 재발까지의 기간은 평균 16 개월로 분석되었으며, 최단 5개월에서 최장 3년 7개월이었다. 2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2년 내에 재발하였다. 재발 부위는 수술적 접근 후 창(Window)을 만든 부위의 인접한 피질골에서 대부분 관찰되었으며(11례), 2례는 수술적 접근을 한 골 시멘트의 심부(골수강측)에 발생하였다. 골 소파 술 후의 시멘트 충전술은 즉각적 안정성과 빠른 재활, 재발의 조기 발견의 유용성이 있다. 또한 이론적으로 주변의 남아있는 종양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수술을 시행한 실제 임상 례에서 재발의 부위가 수술시 충분한 소파가 안된 부위(Window를 작게 내어 불충분한 소파가 된 부위, 주위 해부학적 구조상 건, 인대의 기시부나 종지부로 소파가 안된 부위)에서 대부분(85%)이 재발하였다. 결론: 거대 세포종의 치료에 있어서 골 소파술과 Burring 후 시멘트 충전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소파술 후 보조적인 치료로서 페놀, $H_2O_2$를 이용한 화학적 소작, 냉동요법, 무수 알코올 등이 소개 되었지만, 아직 그 효과가 입증된 것이 없다. 많은 경우 주위의 인대나 건의 기시부나 종지부 또는 다른 해부학적 구조로 불충분한 창(Window)으로 인해, 수술적 접근을 한 부위의 골 소파술 및 Burring 이 불완전하게 되는 경향이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재발의 부위는 대부분(85%)에서 불충분한 개창술이 된 부위에서 발생하였다. 즉, 중요한 해부학적 구조가 있더라도 충분한 개창술과 광범위한 소파와 Burring이 재발을 방지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가 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거대세포종의 재발은 대부분 2년 이내에 발생하였다. 특히 이 기간에는 철저한 추적검사를 통하여 재발에 유의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