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s training

검색결과 259건 처리시간 0.184초

2급 응급구조사 양성과정 개선방안 연구 : 양성기관 현황 및 지정기준 검토 (Improvement in emergency medical technician-basic training program : a review of the status of training institutions and designation criteria)

  • 이남종;신동민;김병우;박시은;유은지;윤병길;윤성우;윤형완;이경열;최재웅;황성훈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9-151
    • /
    • 2019
  • Purpose: To discuss the records and legal standard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abroad, to identify the problems, and to provide the basic resources for improving the EMT-basic training institutions. Methods: We received advice through an advisory meeting of experts (professors of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interested parties (Korean Association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officials of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and referred to various reports published by governments, official institutions, and other trustworthy organizations. Also, we communicated with the related experts abroad (3 countries) on the phone or by email for surveys. Results: Compared to the abroad, it is necessary to categorize the standards and procedures of designating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training institutions in Korea and improve the management of training institutions to train competent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and manage continuously th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basic training programs for the systematic primary healthcare service.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 연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licy of Improving Archival Professionals' Education System: Focusing on the Accreditation System)

  • 김유승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59-175
    • /
    • 2020
  • 본 연구는 기록전문직 교육의 개선을 위한 정책 대안을 논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론 연구로서, Greenwood, Goode 등의 고전적 전문직 이론을 정리하고, 우리나라의 기록전문직이 Perk가 주장한 전문직의 6가지 기준을 형식적으로 충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전문성이란 어느 시점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추구해야 할 지향이라는 관점에서,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획득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기록전문가 교육 및 양성제도와 이를 뒷받침하는 법제도를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전문직은 스스로 권위를 지키기 위해 교육과 훈련에 대한 자신의 기준을 정하고, 전문직 공동체의 규범을 가져야 한다는 맥락에서 기록전문직 주도의 인증제도를 실시하고 있는 영국 ARA와 미국 ACA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론에 갈음하여, 인증제도를 중심으로 하는 기록전문직 교육제도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대학 행정기록물 관리현황과 개선방안 - K 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anagem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Plan of Administrative Documents of University: Focusing on the case of K University)

  • 서주은;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1-197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록관을 운영 중인 대학의 단과대학 및 학과 수준의 실질적인 기록관리 현황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단과대학 및 학과의 체계적인 기록물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K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학과에서부터 단과대학까지 업무 흐름에 따라 발생하는 행정기록물들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생산, 관리되고 있는지를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면담 조사와 대학기록관의 기록관리 현황 조사를 통해 파악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부 중심의 기록물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처리과 직원의 인식이 부족하였다. 셋째, 대학기록관이 공공기록물 관리에 수반되는 기록업무를 포함하여 대학사 기록관리 업무 및 아카이브 기능을 수행하고 있어 기록연구사 한명이 감당하기에는 업무가 과중하였으며, 이는 대학기록관의 운영상의 한계로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업무분장에 기록관리를 명시하여 부수적인 업무가 아님을 처리과 직원에게 인식시킬 필요가 있으며, 처리과 직원도 기록물관리 업무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등 업무담당자의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둘째, 단과대학 기록물과 학과 기록물에 대한 지침을 마련하고, 업무담당자의 의견을 통해 대학의 특성에 맞는 교육을 개발하여 시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K 대학기록관은 공공기록물 관리에 수반되는 업무 이외에 대학사 기록물관리에 수반되는 업무, 아카이브 기능까지 하고 있어 현재의 인력으로는 분명 한계가 있으므로, 인력 충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대학사 기록물, 공공기록물을 관리하는 기록연구사가 각각 배치될 필요가 있으며 전자기록물 관리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전산센터와의 협업이 아닌 전산요원이 기록관에 배치되어야 한다.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담당 공무원 대상 교육훈련 현황 및 문제점 (Overview and Issues of Disaster Management Training and Exercise Program for Local Government Officials)

  • 박지환;김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702-712
    • /
    • 2014
  • 본 논문은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안전분야 담당공무원에게 실시하고 있는 재난안전 교육훈련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국의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서 재난안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현재 재난안전 분야 교육훈련분야 종사자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재난안전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 주요한 문제점으로는 실무와의 연계성 미흡, 교육훈련 수강 후 평가방법의 문제 등 재난안전관리 교육훈련 자체의 문제와 관리자의 인식부족, 과중한 업무로 인한 교육훈련 기회 미흡 등의 조직 환경적 요인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난안전 분야 담당공무원의 교육훈련 수강 이수 강제조항 및 최소 이수시간 제정, 재난안전 분야 교육훈련의 이력 관리 체계 및 관리자의 인식제고 등의 개선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yroid Nodules with Atypia or Follicular Lesion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US/FLUS): Analysis of Variables Associated with Outcome

  • Kayilioglu, Selami Ilgaz;Dinc, Tolga;Sozen, Isa;Senol, Kazim;Katar, Kagan;Karabeyoglu, Melih;Tez, Mesut;Coskun, Faruk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307-10311
    • /
    • 2015
  • Background: The Bethesda System for Reporting Thyroid Cytopathology is one of the main classification systems for thyroid nodules. It expects that 7% of all fine needle aspiration biopsies will be reported as atypia or follicular lesions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nd 5-15% of these undetermined nodules are malignant. Our study i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variables that may be associated with outcome in patients with indeterminate thyroid nodule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hyroidectomy in our institution between 2010 and 2014 were retrieved from the institutional records database. Patient demographics and medical histories were recorded. All ultrasonography reports were examined for nodule features and biochemical blood levels, hormone levels and complete blood counts were recorded. Results: A total of 103 patient cytopathology reports were regarded as belonging to the undetermined category. Some 35% of patients had malignant nodules. Median preoperative red cell distribution width (RDW) level was 13.6 inthe benign group, while it was 14.3 in patients with malignancy, demonstrat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p=0.003). Only calcification pres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benign and malignant groups on ultrasonography (p=0.034). Conclusions: Ultrasonography is one of the primary tools for this matter. RDW levels may become another promising tool to predict malignancy.

Results of Endoscopic Surgery in Patients with Pituitary Adenomas : Association of Tumor Classification Grades with Resection, Remission, and Complication Rates

  • Erkan, Buruc;Barut, Ozan;Akbas, Ahmet;Akpinar, Ebubekir;Akdeniz, Yasemin Sefika;Tanriverdi, Osman;Gunaldi, Omur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4권4호
    • /
    • pp.608-618
    • /
    • 2021
  • Objective : The endoscopic endonasal transsphenoidal approach is a widely-used method for the surgical treatment of pituitary adenomas. We aimed to evaluate the results of endoscopic surgery by comparing preoperative classification methods and investigating their relationship with postoperative resection and remission rates and complications.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36 patients (118 males) who underwent surgery for pituitary adenomas. Preoperative Knosp classification, tumor size (TS), suprasellar extension (SSE), postoperative resection and remission rates, and complications were evaluated. Results : The follow-up period was 3 months to 6 years. The patients' ages ranged between 16 and 84 years. Endocrinologically, 114 patients (48.3%) had functional adenoma (FA), and 122 patients (51.7%) had non-functional adenoma (NFA). Among the FA group, 92 (80.7%) showed remiss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remission in terms of the Knosp, TS, and SSE classifications (p<0.01). Knosp, TS, and SSE classification grades were found to be correlated with the resection rates (p<0.01). Meningitis was seen in seven patients (3.0%), diabetes insipidus in 16 (6.9%; permanently in two [0.9%]), and rhinorrhea in 19 (8.1%). Thirty-six patients (15.3%) developed pituitary insufficiency and received hormone replacement therapy. Conclusion : The resection categories and remission rates of FAs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adenoma sizes and Knosp grades, while the degree of suprasellar growth further complicated resection and remission rates. Adenoma sizes less than 2 cm and SSEs less than 1 cm are associated with favorable remission and resection rates.

세종대 의원 활동 연구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ctivities of Doctors in King Sejong Period - Based o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

  • 송지청;엄동명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5-63
    • /
    • 2016
  • Objectives : Doctors are obviously one of the most interesting subject in medical history. Doctors are who treat patients and disease and the authors for medical records or books. Especially doctors in traditional medicine mostly tried to write medical books for new idea or their esperiences or leave their medical records for treatments, medication, prescription and so on. Therefore, many researchers have explained Korean or Chinese medical history of traditional society through those books or documents rather than doctors themselves.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as massive records for history, politics, society, culture, etc. Relating to medical history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here are ceveral researches about disease of King, disease itself, the methods of treatment and so on, through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re are few on activities of many doctor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Methods : I tried to find out the names who had some roles of medicine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out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 could get 35 doctors and browsed 35 doctor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gain. Finally, I could have lots of articles from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related to 33 doctors(2 dontors had no records about medicine even they were doctors). Results : I categorized 2 ways of those articles; medical activities, non-medical activities. For medical activities, I got subcategories for medical activities; medical maltreatment, treatment for King, royal family, bureaucrat, ambassador. I also got subcategories for non-medical activities; publishing medical books, ambassador as a doctor, medical training, things related to hot spring, food therapist, veterinarian. Conclusions : Medical history of Joseon Dynasty in Korean medical history has somehow been recorded by medical books such as Hyangyakjipseongbang, Euibangyuchwi, Euilimchwalyo, Dongeuibogam, Jejungsinpyeon, Dongeuisusebowon, etc. So I have concerned that there are massive records on doctors activiti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and tried to focus on their various activities through this research.

기록과 정보의 상관관계 (Interrelationship between Records and Information)

  • 송병호
    • 기록학연구
    • /
    • 제20호
    • /
    • pp.3-32
    • /
    • 2009
  • 기록관리 분야가 정보화 환경을 맞게 되면서 자체기준에 의하여 제반업무를 수행하던 방식은 좀 더 종합적인 사고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록을 정보로 활용하고 정보를 기록으로 보려는 상호연동적인 시각이 나타나며, 나아가서 기록을 생산할 때부터 정보환경에서 활용하게 될 것을 고려하고 정보시스템에서는 관리중인 정보자료의 기록가치를 고려하게 될 것이다. 현재까지는 기록을 잘 생산시켜 잘 이관시키고 잘 보존시키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기 때문에 관련 법령이나 업무지침, 연구교육이 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앞으로는 보존 이후의 단계, 즉 공개, 공유, 사본제작, 정보보호, 시스템 연계, 기록컬렉션 사후보충 등 일반인에 대한 정보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보도사건을 통하여 기록과 정보간의 혼란을 살펴보고 이들의 융합이 필요함을 설명하며, 기록관리 시스템과 정보시스템 상호간의 환류체계를 제안한다.

기관평가 제도의 문제점과 해결을 위한 고찰 2017년도 교육(지원)청 지표를 대상으로 (A Study on the Issue and Resolving the Institutional Evaluation System : Targets of the 2017 Education Department Indicator)

  • 권도균
    • 기록학연구
    • /
    • 제49호
    • /
    • pp.51-75
    • /
    • 2016
  • 기록관리 기관평가는 실제 기록관리를 하는 현장의 상황조건과 실현 가능성을 반영해야 한다. 기관평가 제도와 지표는 기록관리를 잘 하기 위한 도구이지만 기관의 자원과 노력으로 수행이 어렵다면 현실성이 없다. 2016년 3월 국가기록원이 발표한 2017년 평가제도와 지표는 일선기관에서 1년동안 1명의 기록물관리전문요원이 수행하기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 전체직원 10% 이상 3회 교육, 전체학교 문서고 사진 제출, 모든 문서의 색인목록 제출, 전자문서 이관이 몇 년 동안 안되는 표준기록관리시스템의 활용도 높이기, 모든 기관의 비전자기록물 이관, 비공개기록물 재분류 실시 등 현장에서 실현하기 힘들고 실제 효과가 있을지 의문스러운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다. 국가기록원이 운영하는 기록관리 평가제도와 2017년 지표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인정하고, 수년간 일선현장의 경험을 반영하여 더 나은 기록관리를 위한 지혜를 모을 때다.

2차 기록 계산 시스템을 활용한 학생 야구부 훈련 지도 방안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s of Students' Baseball Team Using the Secondary Record Calculation System)

  • 김세민;이규정;이정원;전병일;홍기천;유강수;이충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12-61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아마추어 야구부 지도자들이 기록 관리를 통하여 학생 야구부 선수들을 훈련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각종 2차기록이나 세이버메트릭스 데이터를 구하는 공식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학생 야구부 지도자 3명에게 배포한 후 표적집단면접법을 통하여 훈련 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기록을 통하여 학생들의 동기부여를 높일 수 있었고, 모든 선수들이 자신의 역할에 충실할 수 있게 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