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cord exhibition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19초

기록 콘텐츠 개발 모형에 관한 연구 - 건축 문화재 기록을 중심으로 - (A Study of the Developing Model of Record Contents: Focused on the Architecture Cultural Property Record)

  • 류한조;김익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21-248
    • /
    • 2009
  • 이 글은 기록을 이용한 재현 콘텐츠를 개발하는 절차모형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모든 기록은 본질적으로 대상을 재현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니므로, 이러한 속성을 활용하여 재현 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다. 재현대상을 건축문화재로 선정한다면 건축문화재 가치와 기록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일정한 틀을 적용하여야 한다. 이글은 이러한 과정을 하나의 프로세스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교육기록물관리기관 기록전시 방안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cords Exhibition Ways of Educational Archives: Focused on Gyeongsangnam-do)

  • 우지원;이용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185-208
    • /
    • 2016
  • 전시프로그램은 기록관에 생소한 이용자들과 소통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 중의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대부분의 기록관 전시프로그램은 기록물의 내용을 단순히 보여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렇기 때문에 관람객의 관심도가 극히 저조하거나 전시 행사의 취지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기록관은 내용 중심의 기록을 열거하는 기존의 전시 방식에서 벗어나서, 전시된 기록물에 대한 이용자의 관심과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록전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기록전시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국내외 기록 전시 사례를 분석하고, 교육기록물관리기관 전시를 위한 고려사항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 교육기록물관리기관의 기록전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복식유물의 보존을 위한 제안 - 밀창군 조복의 복제를 중심으로 - (Proposition for Conserv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 Mainly on the replication of Milchanggun's Jobok -)

  • 채옥자;박지선;박성실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4년도 제20회 발표논문집
    • /
    • pp.75-80
    • /
    • 2004
  • We proposed that the replicas be made as an alternative to achieve such reciprocal goals as the saf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ostume relics and socio-educational realizations through exhibitions, etc., A replication was categorized for its purpose into a restoral replication a work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color and shapes as they were originally made and a current state replication . a production based on a minute record of the relics as they are excavated Then, we reported the reproduction process from the excavation to the exhibition on the excavated traditional costumes of Milchanggun's Jobok The purpose of a replication of relics is to record the relics experiencing the change resulted from the inevitable degeneration over time as organic cultural assets together with the substitution exhibition of relics and academic researches and so on. Accordingly, the above two methods are to be preceded by a deep and through research and study on the relics of replication. This study on the relics having an important cultural property value presents the preservation of tile cultural assets of traditional costume through the two replication processes and results and a flew pattern of exhibition.

  • PDF

복식유물의 보존을 위한 제안 -밀창군 조복의 복제를 중심으로- (Proposition for Conservation of Traditional Costumes -Mainly on the Replication of Milchanggun's Jobok)

  • 채옥자;박지선;박성실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59-869
    • /
    • 2006
  • We proposed that the replicas be made as an alternative to achieve such reciprocal goals as the saf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costume relics and socio-educational realizations through exhibitions, etc., A replication was categorized for its purpose into a restoral replication: a work based on the historical research of color and shapes as they were originally made and a current state replication : a production based on a minute record of the relics as they are excavated. Then, we reported the reproduction process from the excavation to the exhibition on the excavated traditional costumes of Milchanggun's Jobok. The purpose of a replication of relics is to record the relics experiencing the change resulted from the inevitable degeneration over time as organic cultural assets together with the substitution exhibition of relics and academic researches and so on.

유아교육 박람회에서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전시 관람 행동 패턴 분석 (The Behavior Analysis of Exhibition Visitors using Data Mining Technique at the KIDS & EDU EXPO for Children)

  • 정민규;김혜경;최일영;이경전;김재경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2호
    • /
    • pp.77-96
    • /
    • 2011
  • 전시회는 전시업체가 새로운 상품이나 서비스를 관람객에게 알리기 위해 개최되는 것으로 효과적인 마케팅 수단으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전시회의 중요성이 점점 커짐에 따라, 국내 전시 산업은 많은 양적 성장을 이뤄왔다. 그러나, 양적 성장에 비해 전시 산업의 질적 성장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전시회의 질정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관람객의 행동 패턴을 이해하여 관람객들의 전시 관람 수준과 만족도를 높일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관람객들의 전시 관람 행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첫 번째 단계는 본 연구의 방법론을 적용하기 적합한 전시회를 선정하는 단계이다. 두 번째 단계는 관찰 조사 방법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마지막 세 번째 단계는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는 단계이다. 분석 단계에서는 부스들의 개별 특성을 파악하였고, 더 나아가 관람객들의 전시 관람 행동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시 기획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참관객들이 원하는 정보를 원하는 방식으로 제공하는 개인화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전시회 관람의 질과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한국산 곰치과(뱀장어목) 어류 1 미기록종, Echidna nebulosa (First Record of Echidna nebulosa (Anguilliformes, Muraenidae) from Korea)

  • 강충배;이유진;김진구;한송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78-483
    • /
    • 2022
  • A single specimen (522.0 mm in total length) of the family Muraenidae, collected from the waters off south-western Jeju-do Island in November 2021, was identified as Echidna nebulosa on the basis of morphological and molecular methods (DNA barcoding). This species is characterized by several morphological traits as follows: 10 rounded molar, median intermaxillary, and vomerine teeth; 4 predorsal vertebrae, 50 preanal vertebrae and 123 total vertebrae; and a pale background color with two rows of 17-20 blackish brown starry blotches along the head and body. As this is the first record of E. nebulosa in Korea, we propose the new Korean names, "Dung-Geun-Ni-Gom-Chi-Sog" for the genus Echidna, and "Beol-Kkok-Gom-Chi" for E. nebulosa.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의 기록관리: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기록의 공개와 활용방안 모색 (Record Management of Scientific Research Institutes: The Access and Use of Research Records at KARI)

  • 김슬기;연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01-205
    • /
    • 202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1989년 창립된 국책 연구기관으로, 연구분야의 특성 상 연구기록의 보안관리에 굉장히 민감한 기관이다. 때문에 기록의 보안이나 비공개에 대한 절차가 잘 운영되고 있는데, 반대로 기록의 공개나 활용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덜했다. 이 글에서는 그간 항공우주연구원에서 진행했던 연구기록물의 공개재분류, 연구성과물 전시와 같은 사례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기관에서 기록관리 업무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바뀌었는지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다.

당의의 3차원 시뮬레이션 활용을 위한 기초 연구 -마야 퀼로스(Qualoth)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통복식의 3차원 재현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Basic Research for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of Traditional Korean Dang'ui Costumes -A Focus on Issues Occurring in the Course of a 3D Virtual Presentation that Uses the Qualoth for Maya Program-)

  • 김민경;최영림;남윤자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11호
    • /
    • pp.1836-1843
    • /
    • 2010
  • This research examines the possibilities of a traditional costume revival and digital exhibition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3D virtual clothing modeling data in order to preserve and record a disappearing costume heritage to realize it as a social education tool through the newly emerging technology of 3D virtual clothing. A 3D revival of costumes worn by royal families and aristocrats was accomplished through the 3D animation and simulation technology of Maya 2011 (Autodesk, Inc.) and Qualoth (FX Gear, Inc.). The simulation shows the possibility of a 3D revival and digital exhibition of costume heritage. However, further technology support to analyze and realize the composition and design is still necessary to develop the digital contents of traditional garment culture that includes skirt pleats, petticoat silhouettes, that exaggerates the skirts and knots of traditional upper garments (Jeogori). Further studies on design attributes of historic costumes and the upgrading of 3D simulation software are required to realize 3D virtual clothing. Korean traditional costumes will be revived as a cultural content in the digital era as a result of outstanding issues detected by this study.

오픈소스를 이용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 (Digital Image Archiving Methodology on the Port of Busan: A Case Study Using an Open-Source Archiving Software)

  • 송정숙;허정숙;이예린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27-15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항구도시 부산'이라는 이미지를 형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한 부산항은 부산의 대표적인 로컬리티 공간이므로 부산항과 인근지역의 경관에 관한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을 중심으로 <부산항 사진 아카이브>를 구축하는 과정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기술함으로써 로컬리티의 재현방법론을 확산하고 공유하고자 한다. 사진, 엽서 등 이미지 기록, 즉 사진기록의 특성을 문자 위주의 텍스트 기록과 비교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고, 이미지 기록의 대중 친화적인 특성에 주목하여 부산항에 관한 사진, 엽서 등의 이미지 기록을 수집하여 오픈소스 기록관리 소프트웨어 가운데 사진의 전시에 적합한 오메카(Omeka)를 이용하여 사진 아카이브를 실험적으로 구축해 보았다. 그 과정과 방법을 보면, 먼저 아카이브 구축 목적에 따른 개발 원칙을 세우고, 기록 수집을 위한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항 관련 기록 소장기관과 개인소장가 등의 저작권 동의를 얻어서 원본 또는 파일을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기록은 더블린코어에 따라 기술하였으며, 시기에 따른 컬렉션을 구성하고 기록을 정리하였다. 부산항의 공간적 성격을 교통공간, 역사공간, 산업공간, 생활공간으로 구분하고, 11개 전시주제를 구상하였다. 전시의 보기로 교통공간의 부관연락선을 제시하였다.

한국 여수에서 채집된 매가오리과 (Myliobatidae) 어류 첫기록종, Mobula thurstoni (First Record of the Smoothtail Mobula, Mobula thurstoni (Myliobatiformes: Myliobatidae) in Southern Korea)

  • 명세훈;송영선;강충배;최홍인;김종관;윤문근;임재복;한동진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8-154
    • /
    • 2021
  • 매가오리목 매가오리과에 속하는 Mobula thurstoni 2개체(1770~1850 mm 체반폭)가 2018년 9월 전라남도 여수시 연도 연안에서 정치망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가슴지느러미의 앞부분이 이중 굴곡이고, 등지느러미 바로 뒤 꼬리 시작부분에 가시가 없으며, 등지느러미 끝부분에는 흰색이고, 그리고 등쪽의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 Mobula kuhlii와 가장 형태적으로 유사하였지만, 가슴지느러미 앞부분에 이중 굴곡을 가지고 있다는 점(vs. 직선이거나 약간의 굴곡을 가진다)과 등쪽 체색이 어두운 남색을 띤다는 점(vs. 회갈색)에서 잘 구분된다. 또한, 이 종은 M. kuhlii와 미토콘드리아 16S rRNA 영역에서 유전적 거리 0.030~0.069의 차이를 보여 구분되었다. 이 종의 새로운 국명으로 '매끈꼬리쥐가오리'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