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claimed slope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32초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에 대한 안정성 기준 제안 (Proposal of stability standards for slopes reclaimed by soils mixed with stone dust)

  • 송영석;김경수
    • 지질공학
    • /
    • 제17권3호
    • /
    • pp.425-43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석분슬러지 혼합토를 복구토로 활용할 경우 조성되는 매립사면의 안정성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석분슬러지와 원지반토의 혼합비율을 5가지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토질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석분슬러지의 혼합비율이 감소할수록 전단강도 및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성토사면에 대한 국내외의 사면안전율 기준에 대한 조사를 토대로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의 사면안정등급을 불안정, 주의 및 안정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에 대한 사면안정해석을 실시하여 안전한 사면높이, 사면경사 및 석분슬러지 혼합비율을 제안하였다. 매립사면에 대한 사면안정해석결과 석분슬러지 혼합토 성토사면의 사면높이를 10 m로 할 경우 사면경사는 1 : 1.8 이상 되도록 매립하여야 안정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사면높이를 15 m로 할 경우 석분슬러지 함유율이 50%이하로 하고 사면경사는 1 : 1.8 이상 되도록 매립하여야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사면경사, 사면높이 및 석분슬러지 함유율이 동일한 조건일 경우 채석현장 내부의 절취암반에 접하여 매립된 사면과 평지에 성토하여 매립된 사면의 사면안정해석결과는 유사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석분슬러지 혼합토 매립사면의 안정성 기준은 채석현장에서 실무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군장국가산단(장항지구) 호안 설계 (Design of Seawall at Jang-Hang Area)

  • 권오기;고장희;남세현;김성구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399-402
    • /
    • 2007
  • This project is the 1st. stage for the foreshore reclamation at Jang-Hang area and its scope is to construct a seawall as outer facilities, road adjacent to the seawall and drainage gate. for the safe protections of the facilities at the reclaimed land hereafter, we adopted the mild slope rubble mound type for the seawall structure which was excellent in interrupting the wave overtopping, as a result of numerical & hydraulic model test about alternative 4 sections. For the flooding prevention of the reclaimed land, we planned the drainage system that could make the flood water level lower than the reclaimed land level. Also, we planned the eco-friendly waterfront area with 8 nature themes through the whole seawall sections.

  • PDF

임해매립지의 식재지반별 토양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the Ground of Landscape Planting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 김도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12-18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the ground of landscape planting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on Kwangyang Bay, South Korea.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t each planting grounds were tested by ANOVA and were significantly(P<0.01) different. The difference came from the soil properties of the covered soil, the disturbance applied to the soil with land use and the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after landscape planting. Soil hardness, pH, ECe, Na and K level were in a stable condition at high then low of ground height for landscape planting. Organic matter accumulation was greater at lower planting grounds then top and slope ground of big mounding. The planting grounds of favorable growth for landscape trees were determined as following order : the slope ground and the top ground of big mounding>the ground of medium mounding>the coved ground of improve soil>the lower ground of big mounding>the filled ground of improve soil.

  • PDF

Textured 지오맴브레인을 적용한 폐기물 매립장의 사면 안정성 연구 (Slope Stability of Waste Landfill Using Textured Geomembrane)

  • 신은철;윤석호;심진섭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0년도 창립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41-144
    • /
    • 2000
  • The slope stability of waste landfill has been a problem in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Waste landfills are being constructed in a reclaimed land or mountainous area. But most of these places are consisted of steep slope and hence it is necessary to use the geosynthetic liners in there. The large size direct shear test(30cm x 30cm) equipment was used to determine the interface friction angles between CCLs and soil & geomembranes. The centrifuge model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slope stability with considering various geosynthetic liners conditions and degree of slope. The results of centrifuge model test indicate that the degree of saturation of GCL, roughness of geomembrane, and slope of landfill have greatly influenced on the slope stability of solid waste landfill.

  • PDF

월드컵공원 사면지구 식생현황 및 변화 특성 연구 (A Research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s in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pe District)

  • 한봉호;박석철;최한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15
    • /
    • 2023
  • 본 연구는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통해 매립지 사면지역의 식생구조 특성 및 변화 경향을 밝혀 쓰레기매립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변화 분석은 1999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2년, 2016년, 2021년 현장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주요 식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식물군집구조 조사는 자연발생림 내 1999년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총 6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2010년 태풍 곤파스(Kompasu)의 영향으로 사면지구의 아까시나무는 강풍으로 인해 도복되면서 분포면적과 세력 변화가 발생하였고, 특히 건조하고 불량한 식재기반 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던 습지성 목본인 버드나무는 세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아까시나무군락은 2010년 이후 목본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향후 아까시나무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죽나무-아까시나무-참오동나무군락은 종수 및 개체수가 아까시나무군락과 유사한 변화를 보였으며, 교목층의 참오동나무와 가죽나무는 도태된 상태로 아까시나무림으로 변화가 예측되었다. 능수버들군락은 아까시나무림으로 천이된 상태였으며, 일부 조사구에서만 교목층에 아까시나무와 함께 능수버들이 생육하고 있으나 대부분 능수버들이 쇠퇴된 상태이었다. 이들 식생군락은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대표식생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군락별 생태계 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생태계 복원 차원의 매립지 내 조경수식재지 조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CJM 그라우팅에 의한 호안구조물의 기초보강효과 (Reinforcement Effect of Marine Structure Foundation by Column Jet Method)

  • 천병식;양형칠
    • 한국해양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8-131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Column Jet Method(CJM) as countermeasure against settlement and slope sliding of existing marine structure due to embankment load behind reclaimed revetment. CJM is to make high-strengthened body by compacting and grouting cement mortar after forming artificial space in the ground with ground relaxition machine or high pressure water jetting. Before the ground was reinforced by CJM, the result of slope stability analysis was not satisfy the allowable safe ratio, but after the ground was reinforced by CJM, the stability of slope was over the allowable safe ratio and stable, Therefor, the application of CJM to restraint settlement and sliding of marine structure was very satisfactory.

  • PDF

개간지(開墾地) 토양(土壤)에 대(對)한 현황(現況) 조사(調査) (Status of soils in reclaimed land)

  • 신천수;이경수;김종덕;신용화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7-140
    • /
    • 1974
  • 개간지(開墾地)에 대(對)한 영농상태(營農狀態) 토양조건(土壤條件) 생산성등(生産性等)을 파악(把握)하기 위(爲)하여 전국(全國) 개간지(開墾地)를 대상(對象)으로 현황조사(現況調査)를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개간(開墾)에 참여(參與)한 농가(農家)는 1ha미만(未滿)의 기경지(旣耕地)를 소유(所有)하고 있는 영세농(零細農)이 42.6%중농(中農)이 46.3%, 그리고 대농(大農)(3ha이상)이 11.1%였다. 2. 개간지(開墾地)의 토지이용(土地利用)은 개간년차(開墾年次) 따라 차이(差異)가 심(甚)하나 전작(田作) 28.6%, 과수(果樹) 11.7%, 상전(桑田) 33.8 그리고 초지(草地)가 25.9%였으며 최근(最近)에 와서 상전(桑田)은 점차(漸次) 감소(減少)하는데 반(反)하여 초지(草地)는 급진적(急進的)으로 증가(增加)하고 있다. 3. 개간지(開墾地)의 토양경사(土壤傾斜)는 15% 미만(未滿)이 68.7%이었으며 경사(傾斜)가 심(甚)한 곳에서는 계단식(階段式) 개간(開墾)을 경사(傾斜)가 낮은 곳에서는 원지형개간(原地形開墾)을 실시(實施)하고 있었다. 4. 개간지(開墾地)의 화학적성분(化學的成分) 함량(含量)을 극(極)히 낮으며 인산(燐酸)을 제외(除外)하고는 개간후(開墾後) 10년(年)이 경과(經過)되어도 숙전(熟田)에 비(比)하여 매우 미달(未達)하고 있었다. 5. 개간지(開墾地)에 시용(施用)하는 삼요소(三要素) 시비량(施肥量)은 추천시(推薦施) 비량(肥量)에 비(比)하여 매우 적다. 6. 개간지(開墾地)의 수량(收量)은 콩을 제외(除外)하고는 개간후(開墾後) 10년(年)이 경과(經過)하여도 전국(全國) 평균수량(平均收量)에 비(比)하여 30~86%에 지나지 않았다.

  • PDF

USE OF FIBREDRAIN IN DREDGED CLAY RECLAMATION PROJECT

  • Lee, S.L.;Yong, K.Y.;Soehoed A R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지반환경 및 준설매립에관한 학술세미나
    • /
    • pp.96-109
    • /
    • 2001
  • Land was reclaimed at the waterfront in the Pluit area of Jakarta for a 90ha residential-cum-recreational development. The reclamation works involve construction of permanent and temporary dykes, fill placement, soil improvement, dredging of internal canals and marina, and construction of canal revetment. The site lies on 16m to 18m thick soft seabed deposits. Settlement of the reclaimed areas will result as a consequence of consolidation of the soft underlying sediments. In order to reduce post-construction settlement to within acceptable levels, a system of vertical drains and preloading was adopted. This paper describes the use of Fibredrain, a prefabricated vertical drain made of jute and coir fibres developed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in the soil improvement works and a secondary use in the construction of perimeter dykes for the reclamation works. The construction of the perimeter dyke must be carried out in such a way that slope stability is on ensured. Bamboo rafts and bamboo clusters with Fibredrain inserted, and stage construction were employed to improve stability during the dyke formation for the Pantai Mutiara project.

  • PDF

임해준설매립지 식물분포와 표층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Plant Distribution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opsoil on the Reclaimed Dredging Area)

  • 남웅;곽영세;정인호;이덕범;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52-62
    • /
    • 2008
  • 본 연구는 광양제철소 임해준설매립지에 자생하는 식물분포와 토양환경요인의 특성을 규명하고, 식물분포와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써 향후 생태적 조경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지는 해수변으로부터 시작하여 표고 15m에 이르는 지역으로 임해준설매립지내 조사지역 1,2,3 및 4는 전형적인 염습지의 특정을 나타내었다. 조사지역의 총 출현종수는 1, 2, 3, 4, 5지역별로 각각 13, 15, 22, 27, 35종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염생식물은 감소하고 중성식물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조사지역별 표층토양(O ~2Ocm)의 물리, 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조사지역 1 에 서 조사지역 4로 이동함에 따라 탈염이 진행되면서 토양산도 및 전기전도도는 낮아지고, 영분, 유효인산, 칼륨, 염소, 칼숨, 마그네숨 등은 함량이 감소된 반면, 전 질소, 미사, 점토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이는 임해준설매립지에서 자연강우에 토양이 장기간 노출되면서 염분과 관련된 토양환경인자들이 변화하는 것을 잘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분석 결과, 염분과 관련된 인자들이 연구대상지의 식물분포의 변화를 유도한 주요한 영향요인으로 밝혀졌다.

북한의 산림복원계획과 기준 경사도 고찰 (Review of Slope Criteria and Forestland Restoration Plan in North Korea)

  • 유재심;박현;이상혁;김경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9-28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the slope criteria and analyze the forest land restoration plan in North Korea. Reviewing the literature of the countries, the relationships among the climate, erosion controls, and slope criteria with forest restoration programmes, implemented were analyzed. Comparison of forest land management policies was conducted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The soil erosion controls using biological barriers were at $15{\sim}20^{\circ}$slopes in arid climate regions and $25{\sim}30^{\circ}$ in humid climate regions. In the case of South Korea, an afforestation policy from the "Act on Clearance Project of Slash-and Burn Agriculture" of 1966 was enforced on mountains with slope greater than $20^{\circ}$, however, at present, the "Marginal Cropping Land Policy" recommends cropping lands with slope bigger than $8.5^{\circ}$ to forest land. In 1961, in "Land Reclamation of One Million Hectare", North Korea reclaimed additional cropping lands with slope bigger than $8.5^{\circ}$, and currently, the "Act on Forestry" states to enforce reforestation with slope bigger than $20^{\circ}$. This study recommends that South Korea aids for forest land restoration in North Korea based on the different stages of their development o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