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soning skill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3초

과학 추론능력과 과학 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 분석$^{1)}$ (The Analysis of Learner탐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Reasoning and Science Process Skills)

  • 김영신;정완호;이진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0권1호
    • /
    • pp.1-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thinking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To study this purpose, through the procedure study, the learner's variables were divided into cognitive variable, ego variable, and affective variable, then the questionaire survey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standardization instrument was made over 120 elementary school fifth grade student in Seoul, Anyang, and Pajoo.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tific thinking were cognitive variable and for female students, also affect affective variable. The subordinated catagorie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explanation were achievement motivation, cognitive level, and cognitive style and an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meta-cognition, self regulated learning, self efficacy, and muliple intelligence. 2) The learner's variables affecting on science process skills were cognitive variable and affective variable. And the subordinated catagorie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of explanation were achievement motivation, and cognitive level. And another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meta-cognition, self regulated loaming, self efficacy, multiple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 PDF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의 전두엽연합령의 기능과 보존논리 형성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ervation Reasoning and Functional Prefrontal Lob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영신;권용주;배윤주;정진수;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17-428
    • /
    • 2004
  • 보존 논리는 조작적 사고를 가능케 하는 도구적 역할로서 과학, 수학, 물리학 등의 분야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필수적인 개념이다. 보존 논리의 형성 여하에 따라 수리문제의 해결 능력과 과학적 유추 능력, 추상적 사고능력이 결정되며, 인지 발달 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개념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보존 논리 형성과 전두엽연합령 기능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사고력 향상과 과학개념 시기를 앞당기는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1, 2, 3학년 학생의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는 약 50% 정도였으며, 수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가 가장 높았고, 부피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가 가장 낮았다. 보존 논리의 형성은 비선형적으로 일어났으며, 보존 논리의 형성 정도에 따라서, 추론 능력과 설계능력, 보속적 오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존 논리와 전두엽연합령 기능과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보존 논리 형성에 대한 예측 변인으로는 추론 능력과 설계 능력이였으며, 이들 변인이 보존 논리에 대한 설명력은 약 20% 정도이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에서 보존 논리가 미형성 단계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많이 있지만, 이들 학생들의 보존 논리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보존 논리 형성에 전두엽연합령이 깊은 관계가 있어 전두엽연합령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수학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핵심역량의 국제적 동향 탐색 (An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Trends about the Core Competencies in Mathematics Curriculum)

  • 김선희;박경미;이환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4권1호
    • /
    • pp.65-8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tional trends of how the core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um of the 9 countries including the U.S., Canada(Ontario), England, Australia, Poland, Singapore, China, Taiwan, and Hong Kong were thoroughly reviewed. It was found that a variety of core competencies were reflected in mathematics curricula in the 9 countries such as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mathematical knowledge and skills, selection and use of tools, critical thinking, connection, modelling, application of strategies, mathematical thinking, representation, creativity,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reflection etc. Especially the four most common core competencies (problem solving, reasoning, communication, and creativity) were further analyzed to identify their sub components. Consequently, it was recommended that new mathematics curriculum should consider reflecting various core competencies beyond problem solving, reasoning, and communication, and these core competencies are supposed to combine with mathematics contents to increase their feasibility. Finally considering the fact that software education is getting greater attention in the new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incorporate computational thinking into mathematics curriculum.

Job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in Korea: An Expansion of Core Competence Theory

  • Park, Cheol Kyu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4권1호
    • /
    • pp.55-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competence determines the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using data from the K-CESA (Korea Collegiate Essential Skills Assessment) of a Korean university during 2009-2014. This test comprises of 6 categories of competence: self-management, global readi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ource/information/technology handling, communication and comprehensive reasoning. In addition to these competences, we add the comprehensive variable, grade point average. In order to identify the qualities of employment, employment was classified into 3 types: all employment, employment in decent jobs and employment in the top 500 companies. Results are as follows: For all employment and decent jobs, GPA and comprehensive reasoning were the meaningful variables. However in case of the top 500 compani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added.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s the fundamental concepts of college students' job competence: job specific competence, job basic competence, and basic competence.

Geometry: Do High School Mathematics Teachers really Need it?

  • Cox, Wesley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5권3호
    • /
    • pp.189-199
    • /
    • 2022
  • A debate about the importance of geometry courses has existed for years. The questions have revolved around its significance to students and teachers alike. This study looks to determine whether a teacher taking a college-level geometry course ha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ir students' algebraic reasoning skills. Using data from the High School Longitudinal Study 2009 (HSLS09: Ingels et al., 2011, 2014), it was determined that 9th-grade teachers who took a college-level geometry course had a significant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ir students' 11th-grade algebraic reasoning scores.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who take geometry during college have a lasting effect on their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how they may affect higher education are discussed.

탐구 기능의 직접적 수업을 위한 탐구 기능 하위 요소 추출 (Sub-Component Extraction of Inquiry Skills for Direct Teaching of Inquiry Skills)

  • 이은주;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6-264
    • /
    • 2012
  •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에게 탐구 기능의 구체적인 하위 요소들을 제시하여 학생들에게 탐구 기능을 직접적으로 가르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많은 과학 교사들은 탐구 기능이나 전략은 직접적으로 가르치지 않아도 과학 수업 또는 탐구 수업 과정을 통해 부수적으로 습득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많은 선행 연구들에서 학생들은 탐구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탐구 기능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직접적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탐구 기능을 직접적으로 가르치고자 하여도 각각의 탐구 기능의 하위 요소들에 대한 구체적인 안내가 충분하지 않아 과학교사들조차 탐구 기능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교사가 안내하지 않은 탐구 유형이 학생들에게서 나타나는 경우는 없다는 선행 연구들을 볼 때, 과학교사들에게 탐구 기능이나 전략에 대한 직접적인 교육의 필요성을 알리고 학생들에게 가르쳐야 할 탐구기능의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여 안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탐구 기능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초적 탐구 기능(관찰, 분류, 측정, 예상, 추리)과 통합적 탐구 기능(문제인식, 가설설정, 변인통제, 자료변환, 자료해석, 결론도출, 일반화)의 하위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학습환경 변인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Influences of Learning Environment Variabl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s)

  • 김영신;조은숙;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1
    • /
    • 2002
  • 이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환경 변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 결과 지역에 따라서 학습환경 변인의 획득 점수에 차이가 있었으며, 학교와 관련된 범주의 수준에 따라서 과학 탐구능력에 차이가 존재하였다. 또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과 교사와 학교에 관련된 범주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며, 전체 학습전략과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볼 때, 학습환경 변인이 과학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와 초등학교 5학년에서 나타나는 학습환경 변인의 점수 차이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 어떠한 영향을 줄 것인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 House Design Method of Normative Modules adopting Hanok and Traditional Building Framing Skills

  • Park, Soo-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423-431
    • /
    • 2018
  • In this paper, we try to verify a normative module based house design procedure consisted of several sequential steps. The first step is to suggest formalization of designing so that we could clarify each phase and operation we are adopting in our design process. The second step is the clearing up the conceptual schema of traditional skills that we adopt and utilize from traditional Hanok framing techniques. The third step is to formulate adequate modular kits for the assembly of house design solutions for the schematic, conceptual and preliminary phases of designing. The fourth step is to implementing our ideas and methods to a proper computational platform such as Unity3D. The final step is to verify our symbolic descriptions of design formalization with the output of our experiments so that we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design reasoning characteristics such as in house design.

수증기 응결에 관한 초등학생들의 가설 생성에서 귀추의 역할과 과정 (Role and Process of Ab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Generation of Hypotheses concerning Vapor Condensation)

  • 심해숙;정진수;박국태;권용주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0-257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수증기 응결 과제에서 초등학생들이 가설을 생성할 때 귀추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가설과 가설 생성 과정의 하위 요소인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되어 있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검증을 위해 수증기 응결에 관한 가설 생성 검사지, 사전 지식 검사지, 유사경험상황 검사지 등을 개발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투입하였다. 연구 결과, 수증기 응결에 관한 사전 지식을 가지고 있는 89명의 학생 중 72명의 학생들이 이 지식을사용하여 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가설 생성에 귀추가 매우 중요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 가설을 지지한다. 그리고 수증기 응결 현상에 관한 유시경험상황을 가지고 있는 56명의 학생들 중 54명의 학생들이 가설 검사에서가설을 생성하지 못하였는데, 이것은 경험상황과 원인적설명자가 독립적으로 분리되어 있다는 두 번째 연구가설을 지지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로부터 이 연구에서는 과학 교육의 실제에서 지식을 가르치는 것뿐만 아니라 가설 생성 능력향상을 위한 교수 ${\cdot}$ 학습도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한다.

변인 통제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수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Program for Enhancing the Skills of Control Variables and the Effects of Its Applications)

  • 이윤하;강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519-5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변인 통제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했을 때 과학적 사고력, 변인 통제 유형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변인 통제 강화 모형은 변인 통제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1단계, 학생들이 스스로 실험을 설계하여 진행하는 2단계, 자신들이 설계한 실험 과정을 되돌아보는 3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모형에 기초하여 변인 통제 강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주제는 모두 9가지이며, 후반부로 갈수록 난이도가 높아진다.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점수(로슨 SRT)는 다소 상승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사전에 실시한 변인 통제 유형 검사에서는 유형A~유형F까지 고루 분포하였는데 사후에는 변인 통제를 잘하는 유형인 유형A와 유형B가 많았다. 프로그램을 마친 후 실시한 설문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변인을 통제하는 실험을 하면서 과학적이고 비판적으로 생각해야 하는 점을 어렵고 힘들어했지만 자신감을 얻었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