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aring density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3초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의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grated Recirculating Aquaculture System)

  • 서근학;김병진;전임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0-76
    • /
    • 2001
  •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하고 실용적인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을 개발하여 package 형태로 개발하기 위하여 $2.5 m^3$ 규모의double drain 형태의 사육조와 침강성 고형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침전조, 부유성 고형물의 제거를 위한 floating bead filter, 용존고 형물을 제거하기 위한 포말 분리기와 암모니아성 질소를 제거하기 위한 회전 원판 반응기를 조합한 순환 여과식 양식 시스템을 설계하고 제작하였다. 본 시스템에 평균 어체중 392.8g의 나일 틸라피아 173마리를 수용하여 일간 보충수를 사육조 용적의 $10\%$를 사용하여 14일간 어류사육을 실시한 걸과 사육조의 수질을 보충수와 거의 동일한 수질로 유지할 수 있었으며 사료계수 1.4, 일간 성장률 0.64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Characteristics of sawdust, wood shavings and their mixture from different pine species as bedding materials for Hanwoo cattle

  • Ahn, Gyu Chul;Jang, Sun Sik;Lee, Kang Yeon;Baek, Youl Chang;Oh, Young Kyoon;Park, Keun Ky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5호
    • /
    • pp.856-865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anges in moisture concentrations of bedding materials under the conditions of rearing Korean Hanwoo cows. Methods: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Exp. I) and usefulness as beddings for rearing cattle (Exp. II) by the type of beddings such as sawdust (SD), wood shavings (WS) and sawdust+wood shavings (S+W; 1:1 in volume), and the species of pine trees from different countries of origins (China, Pinus armandii, AR; Vietnam, Pinus kesiya, KE; USA, Pinus rigida, RI). Results: In Exp. I, SD-AR showed the largest proportion (78.3%) of fine particles (250 ㎛+below 250 ㎛) and the highest bulk density (208 kg/㎥) among treatments (p<0.05). The water absorption capacity at 24 h of both S+W-RI (713%) and -KE (701%) was the highest among treatments (p<0.05) and higher than those of SD or WS alone within each species of pine tree (p<0.05). Moisture evaporation rates (%) at 12 h were ranged from 52.3 to 60.8 for SD, 69.9 to 74.4 for WS, and 72.3 to 73.5 for S+W. Total amounts (mg/㎡) of ammonia emissions were the lowest (p<0.05) in KE species among the pine species within each type of bedding material, having higher ability of ammonia absorption. In Exp II, KE species in both side A and B had lower moisture concentrations (%) than other species. Regardless of types of beddings except SD-AR, moisture concentrations of beddings within a pen were higher (p<0.01) at side A than B. Conclusion: The KE species has better physical characteristics than other beddings and more useful for rearing Hanwoo cattle than other beddings, probably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method and degree of wood processing rather than the species.

비단가리비 종묘생산을 위한 연구 1. 산란, 발생 및 유생사육 (A Study on Seedling Production of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1. Spawning, Development and Rearing of Larvae)

  • 나기환;정우건;조창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07-316
    • /
    • 1995
  • 최근 비단가리비가 새로운 양식품종으로 관심이 높다. 자연에서의 치패는 절대 부족하므로 인공종묘 생산이 필수적이다. 1993년 7월부터 1994년 5월까지 거제군 장목면 실전리 지선과 통영해역에서 수집한 모패로 인공종묘 생산을 시도했다. 산란은 수온이 상승하는 3월부터 고수온기에 걸쳐 간헐적으로 일어났고 산란성기는 7월로 간주되었다 간출자극, 온도자극, 화학자극을 단독 또는 병행실시하여도 성숙상태만 좋으면 어느 경우에도 산란유발에는 어렵지 않았다. 그 중, serotonin 주사에 의한 화학자극에다 간출, 온도자극을 병행한 방법이 가장 효과가 있었다. 수정난의 수용밀도는 부화율에 많은 영향을 미쳤는데 정상적인 발생을 위 한 밀도는 1ml 당 $30\~40$개이었다. 부착기 유생의 평균각장은 $155{\mu}m$ 였으며, 수정에서 부착기유생까지는 수온 11.5\~13.0^{\circ}C$에서 27일이 소요되었다. 먹이생물은 Isochrysis galvana와 Chaetoceros calcitrans 이었다. 사육시의 유생의 적정밀도는 10 마리/ml이었다.

  • PDF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의 성장 및 양면착색 현상에 있어 잠입기질의 효과 (Effect of the Burrowing Substratum on the Growth and Ambicoloration of Juvenil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Cultured at High Density)

  • 강덕영;김효찬;명정인;민병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06-412
    • /
    • 2014
  •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burrowing substrate on the rearing performance and ambicoloration of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we compared the daily food intake (DFI), feed efficiency (FE), survival, growth, proportion of pigmented skin on the blind side, and proportion of ambicolored fish. We reared juvenile flounders [total length (TL) $4.46{\pm}0.06cm$, body weight (BW) $0.77{\pm}0.03g$] in dark-green fiberglass-reinforced plastic (FRP) aquariums without (control) or with gravel substrate at a density of 200 fishes/ton for 120 days.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 or growth, the DFI was lower and FE higher in the group raised with substrate than in the control. The proportions of pigmented area on the blind side and ambicolored fish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tank. Therefore, the supplement of substrate on the aquarium bottom positively affects the feeding efficiency, and inhibits abnormal pigmentation on the blind side in flounder farming at high density.

빵 이스트를 먹이로 이용한 부유성 코페포다 Apocyclops sp.(Copepod: Cyclopoida)의 배양 (The Culture of free-swiming Copepod Secies Apocyclops sp. (Copepod; Cyclopoida)by baking Yeast)

  • 정민민;김형신;노섬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07
    • /
    • 1999
  • Copepod is useful live food organism in the larval rearing. However of fin fish, culcures of copepod species (Specially calanoida and cyclopoida) were very difficult under artificial management conditions. In this study, we report successful culture of a free swimming cyclopodia copepod species (Apocyclops sp.) by easily baker's yeast as food. The maximum culture density of Apocyclops sp. was observed 11,200±2,660 ind/ℓ during the 30 days culture periods in the 1.5ℓ culture tanks. The nauplii were growth up maximum density 6,400±432 ind/ℓ on day 16th. The number of egg carring female was observed maximum density (666.7 ind./ℓ) of two times after 6days and 28 days of initial culture.

  • PDF

강도다리(Platichthys stellatus) 치어의 섭식, 성장 및 흑화 발현에 있어 온도와 밀도의 영향 (Influences of Temperature and Density on the Feeding Growth, and Blind-side Malpigmentation of Fry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강덕영;김원진;김효찬;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588-596
    • /
    • 2014
  •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water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on feeding, growth and blind-side hypermelanosis of th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we performed an experiment with fry at two densities: 2 and 8 fish/L. The fry had a total length of $3.2{\pm}0.1cm$, body weight $0.6{\pm}0.1g$, and pigmented patches (pigmented ratio $2.6{\pm}0.4%$) on the blind side. Duplicate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93.7 L glass tanks for 120 days, from July to November. We determined daily food intake (DFI), food efficiency (FE), growth, survival rate, ratio of hypermelanic fish, and pigmented area rate on the blind side at 60-day intervals. The DFI was less than 50 mg/fish/day, and growth was delayed from July to September (water temperature [WT]> $20^{\circ}C$). After October, when WT < $20^{\circ}C$, the DFI increased significantly and the growth was accelerated, suggesting that the rearing temperature of starry flounder in artificial facilities should be < $20^{\circ}C$. While the FE, and survival did no differ between the two density groups, DFI and growth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2 fish/L than at 8 fish/L.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igmented area ratio between the two density groups. Although the hypermelanosis was not correlated with body size, the malpigmentation increased with growth.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high stocking density is not the main cause of blind-side hypermelanosis, although it can accelerate hypermelanosis in the starry flounder.

광물미립자와 포말분리장치를 이용한 사육수 재사용시스템에서의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사육실험 (Rearing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a Water Reuse System with Mineral Particles and foam Fractionator)

  • 민병서;강필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23-230
    • /
    • 2000
  • 사육수에 광물미립자를 현탁시켜 노폐물을 흡착, 분해시킨 후 이를 분리, 배출시킴으로서 사육수를 정화시켜 재 사용할 수 있다는 가설 하에 사육수조와 포말분리장치로만 구성된 사육수 재사용 시스템에서 광물미립자를 현탁시켜 넙치를 실험사육 하였다. 두 종류의 가공황토 (processed residual reddish soil, 50 $\mu$ 이하)와 돌로마이트 (dolomite, 50 ${\mu}$이하) 미립자를 사육수에 현탁시키고 포말분리장치로 이를 분리, 배출시킴으로서 사육수를 정화하였다. 직경 4.8 m의 원형사육수조(사육수량 10 $m^2$), 사육수 순환을 시간당 2회전, 재사용을 90%, 수온 17${\pm}$1$^{\circ}C$에서 평균체중 23.1 g의 넙치 치어(5,555마리, 총중량 128 kg)를 75일간 사육하여 평균체중84.6 g (5,532마리, 총중량 468 kg)으로 육성하였다. 최종수용밀도는 26.0 kg/$m^2$였다. 실험기간 동안 어병은 관찰되지 않았다. 사육수에 광물입자를 현탁시켜 사육수 중의 노폐물을 흡착, 분해시킨 후 포말분리장치로 이를 배출시킴으로서 사육수를 정화하여 재사용하는 방법은 새로운 사육수 재사용 어류양식시스템으로서 가능성이 있다.

  • PDF

해만가리비, Argopecten irradians의 양성 수심에 따른 성장 (Growth of Bay Scallop, Argopeten irradians at Different Rearing Depths)

  • 오봉세;정춘구;김숙양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8
    • /
    • 2002
  • 사육기간 중 수온은 10.4∼25.5$^{circ}C$로 해역별, 표$.$저층간의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염분은 25.00∼31.17 $textperthousand$이었고, 용존산소는 최저 6.13 mg/L 이상으로 양호한 상태를 보였다. Chlorophyll-a는 1.23∼11.05 $\mu\textrm{g}$/L로 저층시험구는 월별 변화가 심하고, 2.00 $\mu\textrm{g}$/L 이하의 저농도를 보였다. 6∼8월 해만가리비 성장기에 Phytoplankton 우점종은 편모조류인 Ceratium sp.가 35.2% 출현하였다. 플랑크톤의 밀도는 대체적으로 8∼9월에 낮았고, 10월에 높았다. 수심에 따른 성장을 보면, 해만가리비의 치패 (평균각고 16.59∼16.69 mm)를 2 m와 5 m 수출에서 사육한 결과, 각고는 표층시험구가 0.19 mm$.$d$^{-1}$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16 mm$.$d$^{-1}$이었다. 전중량은 표층시험구가 0.16 g$.$d$^{-1}$ 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12 g$.$d$^{-1}$ 이었다. 각고의 일간성장률은 표층시험구는 0.606%이었고, 저층시험구는 0.549%이었다. 전중량의 일간성장률은 표층시험구가 1.972%이었고, 저층시험구는 1.781%이었다. von Bertalanffy 성장 모델에 의해 얻어진 각고의 최대 예상값은 52.62 mm (표층시험구) 및 46.73 mm (저층시험구)이었다. 생존율은 표층구가 80.0%로 저층구보다 높아 표층 (수심 2 m)이 저층 (수심 5 m)보다 해만가리비의 성장 및 생존에 적합한 수층이었다.

갈색거저리의 발육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mealworm Tenebrio molitor)

  • 김선영;박종빈;이영보;윤형주;이경용;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5
    • /
    • 2015
  • 갈색거저리의 산업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효율적인 실내 대량사육 시스템의 확립이 더욱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량사육을 위해 다양한 범위의 온도, 광주기, 사육밀도에서 갈색거저리의 생리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갈색거저리 알은 $17.5{\sim}27.5^{\circ}C$에서 70% 이상의 부화율을 나타냈고, 부화기간은 $25{\sim}35^{\circ}C$에서 5~7 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부화율과 산란 전 기간(egg periods)을 고려했을 때, 대량사육을 위해 적절한 실내온도는 $25{\sim}27.5^{\circ}C$였다. 다양한 온도 조건하에서 대량사육 시스템에서 유충의 발육기간은 개별사육 시스템에서 보다 더 짧았다. 번데기 무게는 $20^{\circ}C$$25^{\circ}C$를 제외한 대량사육 시스템에서 좀 더 높게 관찰되었다. 수요 탄력성과 생산중량을 고려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조건은 $25^{\circ}C$에서 대량사육한 실험군이었다. 14L : 10D의 광주기 조건에서 157.35일로 가장 짧은 유충기간을 나타냈다.

전복과 해삼 수하양식을 위한 복합사육기의 생산력 분석 (Analysis of Productivity of a Polyculture Container for Suspended Rearing of Abalones and Sea cucumbers)

  • 남명모;이주;문태석;김수경;황진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23-330
    • /
    • 2011
  • 동해안 일대의 양식자원 증식과 어업인의 소득증대를 위해 남해안 일대에서 주를 이루고 있는 전복양식을 동해안 일대로 넓히기 위해서 수심이 깊고 파고가 높은 동해안 지역에 맞는 전복과 해삼 복합사육기를 개발하고 복합사육기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양식 생산력을 조사하였다. 전복해삼복합사육기에 각장 5 cm 전복 500마리와 7-9 cm 해삼을 50, 75, 100마리로 각각 넣어 실험한 결과 해삼 적정수용능력은 13-18마리/$m^2$로서 사육기당 52-72마리가 적절하였다. 수용량에 따른 생화학적 건강도를 조사하기 위해서 복합사육기에 각장 5 cm 전복 300마리와 500마리를 각기 달리 수용하고, Reflotron kit를 이용하여 GOT (glutamate oxaloacetate transaminase) 와 GPT (glutamate pyruvate transaminase) 를 조사하였으며, 전복과 해삼을 함께 사육하여 RNA/DHA ratio와 DNA 및 RNA contents (ug/mg) 를 조사한 결과, 전복 단독구와 복합사육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P > 0.05) 전복과 해삼을 함께 양성하더라도 해삼이 전복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체 개발한 전복해삼 복합사육기와 남해안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전복 사육기의 생산능력을 비교하기 위해서 수하식으로 8개월 동안 실험한 결과, 자체 개발한 복합사육기에서 양식한 전복과 해삼이 성장이 빨라 전복해삼복합사육기가 동해안 일대의 양식사업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