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real-time kinematic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Elevation Water Stage Accuracy Analysis for Quality Improvement of Water Stage data (수위자료 품질향상을 위한 해발수위 정확도 분석)

  • Lee, Chung-Dae;Kim, Jeong-Yup;Chol, Hyuk-Joon;Kim, Chi-Young;Cho, Hyo-Seob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91-695
    • /
    • 2012
  • 수위표의 영점에서 수면까지의 높이로 정의되는 해발수위는 유량 및 유사량 등과 같은 관련 수문자료를 생산하는데 기본이 되는 자료이며, 하천 및 수공구조물의 설계 등에 기초자료로 이용될 뿐만 아니라 수자원의 효율적인 관리 및 수문순환 해석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국가 차원의 올바른 수자원 계획과 정책을 수립하는데 널리 활용된다. 이와 같이 해발수위자료의 이용 분야가 다양하고 그 자체로서도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점을 고려할 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자료의 품질이 확보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영점표고검정수준점 및 기준 수위표의 설치 이후 오랜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노후화와 수위관측소 주변의 환경변화가 발생하게 되어 자료의 정확도가 매우 낮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발수위 자료의 품질향상을 위해 수위관측소의 영점표고검정수준점 및 수위표 영점표고에 대하여 수준측량 및 RTK(Real Time Kinematic)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측량을 병행하여 수행하였으며, 조사측량된 값을 활용하여 기존에 측량된 영점표고검정수준점 및 수위표 영점표고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금강 및 삽교천 수계에 위치한 50개 수위관측소 대하여 기존 측량값과 비교 검토한 결과 영점표고검정수준점은 0.10m 이하(54.0%), 0.10m 초과 ~ 0.50m 이하(26.0%), 0.50m 초과 ~ 1.00m 이하(6.0%), 1.00m초과 ~ 1.50m 이하(2.0%), 1.50m 초과 ~ 2.00m 이하(2.0%), 2.00m 초과 ~ 3.00m 이하(4.0%), 3.00m 초과(6.0%)의 값을 나타냈으며, 수위표 영점표고는 0.10m 이하(50.0%), 0.10m 초과 ~ 0.50m 이하(32.0%), 0.50m 초과 ~ 1.00m 이하(10.0%), 1.00m초과 ~ 1.50m 이하(2.0%), 1.50m 초과 ~ 2.00m 이하(2.0%), 2.00m 초과 ~ 3.00m 이하(2.0%), 3.00m 초과(2.0%)의 값을 가졌다. 이와 같이 기존과 금회 측량자료를 비교 검토한 결과 대부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일부 수위관측소에서 변동량이 크게 발생한 원인은 영점표고검정수준점의 노후화, 기준 수위표의 교체 및 위치 변동, 인위적인 하천공사 등으로 인하여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ccuracy Analysis of GNSS-based Public Surveying and Proposal for Work Processes (GNSS관측 공공측량 정확도 분석 및 업무프로세스 제안)

  • Bae, Tae-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36 no.6
    • /
    • pp.457-467
    • /
    • 2018
  • Currently, the regulation and rules for public surveying and the UCPs (Unified Control Points) adapts those of the triangulated traverse surveying. In addition, such regulations do not take account of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GNS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surveying, thus there are difficulties in field work and data processing afterwards. A detailed procesure of GNSS processing has not yet been described either, and the verification of accuracy does not follow the generic standards. In order to propose an appropriate procedure for field surveys, we processed a short session (30 minutes) based on the scenarios similar to actual situations. The reference network in Seoul was used to process the same data span for 3 days. The temporal variation during the day was evaluated as well. We analyzed the accuracy of the estimated coordinates depending on the parameterization of tropospheric delay, which was compared with the 24-hr static processing results. Estimating the tropospheric delay is advantageous for the accuracy and stability of the coordinates, resulting in about 5 mm and 10 mm of RMSE (Root Mean Squared Error) for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respectively. Based on the test results, we propose a procedure to estimate the daily solution and then combine them to estimate the final solution by applying the minimum constraints (no-net-translation con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web-based processing system using a high-end softwares. Additionally, it is also required to standardize the ID of the public control points and the UCPs for the automatic GNSS proces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