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fection

검색결과 193건 처리시간 0.033초

만성육아종질환 환자에서 합병된 식도 폐쇄 사례 -만성육아종질환의 육아종성 식도 폐쇄 (A Case of Esophageal Obstruction Complicated in a Patient with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 Esophageal obstruction in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 김지수;황진솔;최영훈;김우선;김중곤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1권1호
    • /
    • pp.53-58
    • /
    • 2014
  • CGD 환자에서는 면역 체계의 결함으로 인한 반복적인 감염과 육아종 형성이 특징적이다. CGD 환자에서 육아종의 형성에 의한 식도 폐쇄는 매우 드문 합병증 중 하나로 CGD 환자의 육아종 형성에 의한 식도 폐쇄의 치료에 대해서는 불현성 감염이 동반될 가능성이 있어 스테로이드 치료와 항생제 치료에 대한 논란이 있어왔다. 저자들은 항생제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육아종 형성에 의한 식도 폐쇄 증상을 보인 8세 만성육아종질환 환자를 보고하는 바이다. 환자는 스테로이드 치료 이후에 임상적 증상과 영상 검사 상의 급격한 호전을 보였으나 스테로이드 치료를 중단한 지 한 달 뒤 환자의 식도 폐쇄 증상은 재발하였고, 이는 스테로이드를 재 투약 후 호전되었다. 스테로이드 중단 이후 한 차례 다시 재발하였으나, 항생제 치료 후 호전되었고 이후 추가적 재발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응급 유리 피판에 의한 사지 외상의 수복 - 증례 보고 - (Coverage of the Severely Traumatized Extremity by Emergency Free Flap - Case Report -)

  • 김태영;최수중;권봉철;이용범;김기복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9권1호
    • /
    • pp.61-67
    • /
    • 2010
  • Emergency free flap has been advocated to cover the severely injured extremity for more than two decades, due to its numerous advantages such as low incidence of flap failure and infection rate and early recovery of function. But there are very few reports about these. The authors report their experience in using the emergency free flap for reconstruction of extremities. For last 10 years, 4 patients ranging from 3 to 27 years old with severely traumatized extremities were treated with emergency free flap transfers. Three were males and the other was a female. Flap size ranged from $2{\times}5\;cm^2$ to $7{\times}22\;cm^2$. The locations of the recipient site were the dorsum of the foot, the cubital fossa, the popliteal fossa and the upper arm. The number of the donor sites used was as follows: one scapular flap, two parascapular flaps, and one radial forearm flap with the radial bone. All of the flaps survived without need of re-exploration. There was no infection or flap loss. Involved joints have recovered a normal range of motion. Therefore, we consider that the emergency free flap is a very safe and reliable method to cover the severely injured extremities.

  • PDF

Direct Stem Blot Immunoassay (DSBIA): A Rapid, Reliable and Economical Detection Technique Suitable for Testing Large Number of Barley Materials for Field Monitoring and Resistance Screening to Barley mild mosaic virus and Barley yellow mosaic virus

  • Jonson, Gilda;Park, Jong-Chul;Kim, Yang-Kil;Kim, Mi-Jung;Lee, Mi-Ja;Hyun, Jong-Nae;Kim, Jung-G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60-265
    • /
    • 2007
  • Testing a large number of samples from field monitoring and routine indexing is cumbersome and the available virus detection tools were labor intensive and expensive. To circumvent these problems we established tissue blot immunoassay (TBIA) method an alternative detection tool to detect Barley mild mosaic virus (BaMMV) and Barley yellow mosaic virus (BaYMV) infection in the field and greenhouse inoculated plants for monitoring and routine indexing applications, respectively. Initially, leaf and stem were tested to determine suitable plant tissue for direct blotting on nitrocellulose membrane. The dilutions of antibodies were optimized for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purposes. Results showed that stem tissue was more suitable for direct blotting for it had no background that interferes in the reaction. Therefore, this technique was referred as direct stem blot immunoassay or DSBIA, in this study. Re-used diluted (1:1000) antiserum and conjugate up to 3 times with the addition of half strength amount of concentrated antibodies was more effective in detecting the virus. The virus blotted on the nitrocellulose membrane from stem tissues kept at room temperature for 3 days were still detectable. The efficiency of DSBIA and RT-PCR in detecting BaMMV and BaYMV were relatively comparable. Results further proved that DSBIA is a rapid, reliable and economical detection method suitable for monitoring BaMMV and BaYMV infection in the field and practical method in indexing large scale of barley materials for virus resistance screening.

제 3 대구치의 치근단 농양으로 인한 측두하악장애 (Temporomandibular Disorder Caused by Periapical Abscess of Third Molar)

  • 조은애;권정승;안형준;김성택;최종훈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8권2호
    • /
    • pp.143-147
    • /
    • 2013
  • 측두하악장애 중 개구제한은 일반적으로 저작근, 측두하악관절의 통증, 비정복성 관절원판변위, 측두하악관절의 유착이나 강직, 저작근의 근경축 등에 의해 발생한다. 하지만 이비인후과적인 질환, 신경 및 혈관질환, 종양, 염증, 감염 등에 의해 측두하악장애와 유사한 통증 및 개구제한이 유발 될 수 있다. 따라서 병력 조사 및 임상 검사 시 이러한 이차적 질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초진 시 전형적인 측두하악장애의 소견을 보인다고 할지라도 적절한 치료 및 환자의 자기 관리에도 불구하고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지속적인 악화 소견을 보이는 경우에는 염증, 감염, 종양 등의 가능성에 관한 포괄적인 재평가가 필수적이다. 본 증례에서는 제 3 대구치의 치근단 농양이 익돌하악간극(pterygomandibular space)으로 확산되어 발생한 내익돌근(medial pterygoid muscle)의 통증 및 개구제한에 관하여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Subtotal calvarial vault reconstruction utilizing a customized polyetheretherketone (PEEK) implant with chimeric microvascular soft tissue coverage in a patient with syndrome of the trephined: A case report

  • Wang, Jessica S.;Louw, Ryan P. Ter;DeFazio, Michael V.;McGrail, Kevin M.;Evans, Karen K.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4호
    • /
    • pp.365-370
    • /
    • 2019
  • The syndrome of the trephined is a neurologic phenomenon that manifests as sudden decline in cognition, behavior, and sensorimotor function due to loss of intracranial domain. This scenario typically occurs in the setting of large craniectomy defects, resulting from trauma, infection, and/or oncologic extirpation. Cranioplasty has been shown to reverse these symptoms by normalizing cerebral hemodynamics and metabolism. However, successful reconstruction may be difficult in patients with complex and/or hostile calvarial defects. We present the case of a 48-year-old male with a large cranial bone defect, who failed autologous cranioplasty secondary to infection, and developed rapid neurologic deterioration leading to a near-vegetative state. Following debridement and antibiotic therapy, delayed cranioplasty was accomplished using a polyetheretherketone (PEEK) implant with free chimeric latissimus dorsi/serratus anterior myocutaneous flap transfer for vascularized resurfacing. Significant improvements in cognition and motor skill were noted in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At 6-month follow-up, the patient had regained the ability to speak, ambulate and self-feed-correlating with evidence of cerebral/ventricular re-expansion on computed tomography. Based on our findings, we advocate delayed alloplastic implantation with total vascularized soft tissue coverage as a viable alternative for reconstructing extensive, hostile calvarial defects in patients with the syndrome of the trephined.

Lessons Learnt from an 11-year Experience with Lymphatic Surgery and a Systematic Review of Reported Complications: Technical Considerations to Reduce Morbidity

  • Ciudad, Pedro;Escandon, Joseph M.;Manrique, Oscar J.;Bustos, Valeria P.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9권2호
    • /
    • pp.227-239
    • /
    • 2022
  • Complications experienced during lymphatic surgery have not been ubiquitously reported, and little has been described regarding how to prevent them. We present a review of complications reported during the surgical management of lymphedema and our experience with technical considerations to reduce morbidity from lymphatic surgery. A comprehensive search across different databases was conducted through November 2020. Based on the complications identified, we discussed the best approach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complications during lymphatic surgery based on our experience.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reported following lymphovenous anastomosis were re-exploration of the anastomosis, venous reflux, and surgical site infection. The most common complications using groin vascularized lymph node transfer (VLNT), submental VLNT, lateral thoracic VLNT, and supraclavicular VLNT included delayed wound healing, seroma and hematoma formation, lymphatic fluid leakage, iatrogenic lymphedema, soft-tissue infection, venous congestion, marginal nerve pseudoparalysis, and partial flap loss. Regarding intra-abdominal lymph node flaps, incisional hernia, hematoma, lymphatic fluid leakage, and postoperative ileus were commonly reported. Following suction-assisted lipectomy, significant blood loss and transient paresthesia were frequently reported. The reported complications of excisional procedures included soft-tissue infections, seroma and hematoma formation, skin-graft loss, significant blood loss, and minor skin flap necrosis. Evidently, lymphedema continues to represent a challenging condition; however, thorough patient selection, compliance with physiotherapy, and an experienced surgeon with adequate understanding of the lymphatic system can help maximize the safety of lymphatic surgery.

Abdominal-based adipocutaneous advancement flap for reconstructing inguinal defects with contraindications to standard reconstructive approaches: a simple and safe salvage reconstructive option

  • Schaffer, Clara;Haselbach, Daniel;Schiraldi, Luigi;Sorelius, Karl;Kalbermatten, Daniel F.;Raffoul, Wassim;di Summa, Pietro G.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8권4호
    • /
    • pp.395-403
    • /
    • 2021
  • Background Groin wounds occurring after vascular surgical site infection, oncologic resection, or occasionally orthopedic surgery and trauma may represent a surgical challenge. Reconstruction of these defects by the usual workhorse flaps may be contraindicated following previous surgery and in patients with lower limb lymphedema or extreme morbidit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5 consecutive patients presenting with inguinal wounds after vascular or general surgery that required debridement and soft tissue coverage. All cases had absolute or relative contraindications to conventional reconstructive techniques, including a compromised deep femoral artery network, limb lymphedema, scarring of potential flap harvesting sites, or poor overall condition. Abdominal adipocutaneous excess enabled the performance of adipocutaneous advancement flaps in an abdominoplasty-like fashion. Immediate and long-term outcomes were analyzed. Results Soft tissue coverage was effective in all cases. Two patients required re-intervention due to flap-related complications (venous congestion and partial flap necrosis). All patients fully recovered over a mean±standard deviation follow-up of 2.4±1.5 years. Conclusions Abdominal flaps can be an effective and simple alternative technique for inguinal coverage with reproducible outcomes. In our experience, the main indications are a compromised deep femoral artery network and poor thigh tissue quality. Relative contraindications, such as previous open abdominal surgery, should be considered.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를 생성하는 Klebsiella pneumoniae 집단 보균 발생의 분자 역학적 조사 및 추적관찰 (Molecular-epidemiologic study on outbreak of colonization by extended spectrum β-lactamase 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전누리;김미나;정재심;김양수;김애란;김기수;피수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2호
    • /
    • pp.150-156
    • /
    • 2006
  • 목 적 : 2000년 6월과 7월에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는 ESBL 생성 K. pneumoniae에 의한 패혈증이 집단 발생하여 전체 환아에 대한 보균 상태를 파악하고 감염관리를 위해 감시배양을 실시하였다. 당시 집단 보균 상태임을 발견하여 보균자에 대한 격리를 실시한 결과 집단보균을 해결할 수 있었으나 대부분의 환아가 보균 상태로 퇴원하였다. ESBL 생성 K. pneumoniae는 대변 내 균이 장착되어서 입원 환아들간에 집단 감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균주에 의한 집단감염은 치료와 예후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집단보균 발생시 분리된 ESBL 생성 K. pneumoniae의 분자 역학적 특징과 보균환아들의 추적관찰 결과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0년 7월 28일부터 12월 30일까지 입원환아를 대상으로 직장내 도말법으로 감시배양검사를 시행하였다. 감시배양검사는 재원환아들에서 1주 간격으로 시행하였고, 신환은 입원 당일에 시행하였다. 균주의 형별 검사를 위해서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PFGE)를 시행하였고, 보균 상태로 퇴원했던 환아들은 외래에서 대변 배양검사로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감시 배양기간 중 총 80명(28.5%)의 환아에서 보균이 확인되었고, 퇴원시 5명(6.3%)에서 음성이 확인되었다. PFGE를 시행한 65명의 타이핑 결과, 일회의 PFGE를 시행한 53명에서 분리된 균주의 염색체 유전자 분획양상은 집단클론 6가지, 단독클론 10가지형으로 분류되었고, 집단 클론 중 A형이 28명(52.8%)으로 가장 많았고, B형이 11명(20.8%), C, D, F, G형이 각각 1명(1.9%)이었다. 2회 이상 검사를 시행한 12명 중 초기검사에서는 A형이 10명(83.3%)으로 월등히 많았고 B형은 2명(16.7%)이었으며, 추적검사에서 분획 양상이 변화된 경우는 6명(50%)이었고, 이들은 A나 B로 변화된 경우가 각각 2명(33.3%)이었다. 변화되지 않은 6명(50%)은 모두 A형으로 남아 있었다. 월별 PFGE 양상은 처음 배양시 집단클론 A, B, C, D형 4가지와 단독클론 세 가지형이었으나 감염 관리를 하면서 11월부터 집단클론 A, B 두 가지형으로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고, A형이 더 우세하였다. 보균된 상태로 퇴원한 75명 중 외래 추적관찰이 가능했던 30명을 대상으로 대변 배양검사를 시행한 결과 모두 음성이 확인되었다. 결 론 : 다양한 클론의 균주에 의한 집단보균 상태는 감염 관리를 하면서 단일 클론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고, A형이 우세한 것으로 보아 집단 보균을 일으킨 유형 중 주 집단 클론은 A형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ESBL 생성 K. pneumoniae 보균 상태는 중환자실내에 입원기간 중에는 거의 지속되지만, 지역사회로 복귀하면 전부 해제되는 것으로 보인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에 노출된 소아 환자의 예방 조치 (Post-exposure Prophylaxis against Varicella Zoster Virus in Hospitalized Children after Inadvertent Exposure)

  • 양송이;임지희;김은진;박지영;윤기욱;이환종;최은화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3권3호
    • /
    • pp.180-187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병원 내에서 의도치 않게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 감염 환자에 노출된 의료진과 소아 입원 환자의 사례를 대상으로 노출 후 예방 조치와 그에 따른 2차 수두 감염 발생 여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에 입원한 수두 혹은 대상포진 환자중 초기에 적절한 격리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사례와 노출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노출자의 VZV에 대한 면역력과 면역 저하 상태의 유무에 따라 노출 후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다. 의무기록을 통하여 사례 환자와 노출자들의 임상 정보 및 2차 감염 발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2010년부터 2015년까지 147명의 VZV 감염 환자가 입원하였고 이 중 의도치 않게 노출되었던 환자는 13명이었다. 이 중 5명(38.5%)의 사례 환자는 수두 백신 접종력이 확인되었다. 총 86명의 환자가 다인용 병실에서 사례 환자에 노출되었고, 62.8% (54/86)에서 VZV에 대한 면역력이 있었다. 27명의 노출 환자에게 노출 후 예방 조치를 시행하였으며, VZIG를 투약받은 환자는 23명이었고 수두 백신을 접종받은 환자는 4명이었다. 2차 수두가 발병한 환자는 4명으로, 예방 조치를 받지 않은 소아 1명과 예방 조치를 받은 27명 중 3명에서 감염이 확인되었다. 이들은 모두 한 명의 사례 환자에게 노출되었다. 2차 수두 감염률은 4.7% (4/85)이었고, 노출 후 예방 조치를 받은 환자 중 2차 감염률은 11.1% (3/27)이었다. 면역 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 2차 수두 감염률은 1.9%, 면역 저하 환자에서는 9.7%이었다. 결론: 수두의 진단이 지연되면 병원에서 VZV에 노출되는 사례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감수성이 있는 소아나 면역 저하자에게 수두가 2차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VZV에 대한 면역력 여부를 기반으로 노출 후 예방 조치 여부를 결정하는 국내 기준의 적정성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

양식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에 대한 Vibrio tapetis의 병원성과 PCR법에 의한 진단 (Pathogenicity and PCR detection of Vibrio tapetis in Manila clams, Ruditapes philippinarum)

  • 박성우;이경희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39-48
    • /
    • 2005
  • 'Brown ring disease (BRD)'의 원인균인 Vibrio tapetis (NCIMB 13622)의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에서의 병원성을 조사하고, 바지락 조직 내의 균의 존재를 PCR법으로 진단하였다. 실온에 12시간 노출시킨 바지락 개체당 1.0$\time$$10^7 cells과 1.0$\time$$10^4 cells의 V. tapetis를 멸균주사기를 사용하여 인위감염 시켰을 때의 누적폐사율은 각각 67.5%와 7.5%로 나타났다. 폐사개체에서 BRD의 특징적인 증상인 패각내면의 chonchiolin 침착에 의해 형성되는 갈색반점은 관찰되지 않았으나, PCR법에 의해 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다.10종의 Vibrio균을 대상으로 PCR법의 검출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V. tapetis에 대해서만 414 bp의 특이밴드가 검출되었다. 또 V. tapetis를 개체당 1.0$\time$$10^4 cells과 1.0$\time$$10^8 cells 접종시킨 다음 사육하면서 경시적으로 균의 동태를 조사한 결과 개체당 1.0$\time$$10^4 cells을 접종하였을 때는 1일 후에는 아가미에서만 특이밴드가 검출되었고, 3일 후에는 모든 조직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개체당 1.0$\time$$10^8 cells을 접종하였을 때 1일 후에는 아가미와 소화관, 3일 후에는 모든 조직에서 검출되었으며, 5일과 7일 후에는 외투막과 발, 9일 후에는 아가미와 발에서 검출되어, 검출장기로는 아가미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PCR법으로 태안과 고창 지역의 바지락, 동죽, 굴 및 피뿔고둥의 조직내 V. tapetis의 존재를 검사한 결과 바지락과 피뿔고둥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은 반면 굴과 동죽에서 각각 23.1%, 와 9.4% 검출되어 바지락 이외의 다른 패류의 진단에도 유용한 방법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