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te constant(k)

검색결과 3,147건 처리시간 0.033초

태양(太陽) 열(熱 )집열기(集熱機)를 이용(利用)한 벼의 건조(乾燥)에 관(關)한 연구(硏究) (Drying of Rough Rice by Solar Collectors)

  • 장규섭;김만수;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64-272
    • /
    • 1979
  • 곡물(穀物)의 천일(天日) 건조(乾燥)와 연료(燃料)를 열원(熱源)으로 하는 열풍(熱風) 건조(乾燥)의 문제점(問題點)을 보완(補完)하기 위(爲)한 시도(試圖)로서 구조(構造)가 간단(簡單)하고 제작비(製作費)가 저렴(低廉)한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와 튜브형(型) 집열기(集熱機)를 설계(設計) 제작(製作)하여 활용(活用)에 필요(必要)한 기초적(基礎的)인 것을 연구(硏究) 검토(檢討) 하였으며, 실제(實際) 곡물(穀物)을 grain bin에 넣고 집열기(集熱機)를 부착(附着)하였을 때 건조(乾燥)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1978년도(年度) 대전(大田) 지방(地方)의 일조(日照) 시수(時數)에 의(依)한 수평면(水平面) 일사량(日射量)은 5월(月)이 $16,814\;KJ/m^2{\cdot}day$로 가장 높았고 12월(月) $4,254\;KJ/m^2{\cdot}day$로 가장 낮았으며 기록치(記錄値)와 계산치(計算値)에 의(依)한 유의성(有意性)은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2. 곡물(穀物) 건조(乾燥) 기간(期間)(10월(月) 21일(日)${\sim}$28일(日))동안 오전(午前) 오후(午後) 두차례에 걸쳐 집열기(集熱機)의 효율(效率)을 산출(算出) 하였던 바, 일사량(日射量)이 클수록 효율(效率)도 높았으며 11${\sim}$12시(時)사이의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의 평균(平均) 효율(效率)은 28.12 로서 튜브형(型)의 16.75 보다 11.37 %가 높았다. 3. 건조(乾燥) 기간중(期間中) 12시(時)를 기준(基準)으로 한 grain bin 입구(入口)의 온도(溫度)는 대비구(對比區)가 20.02, 튜브형(型) 집열기(集熱機)에 연결(連結)된 grain bin이 40.5,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의 grain bin이 $55.1^{\circ}C$로서 큰 차이(差異)를 나타냈으며 grain bin내(內) 곡물(穀物) 추적(推積) 두께에 따른 온도(溫度) 변화(變化)에서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와 튜브형(型) 집열기(集熱機)의 grain bin은 곡물층(穀物層)이 두꺼울 수록 낮았으나 대비구(對比區)는 별차이(別差異)가 없었다. 4. 초기(初期) 수분(水分) 함량(含量)이 27.4%인 곡물(穀物)을 17.0%(생체중(生體中) 14.5%)까지 떨어 뜨리는데 25 cm 곡물(穀物) 두께에서 대비구(對比區)가 32, 튜브형(型)의 grain bin이 18, 평판(平板) 집열기(集熱機)의 grain bin이 11시간(時間)이 걸렸으며, 곡물(穀物) 추적(推積) 두께는 건조(乾燥) 속도(速度)에 커다란 영향(影響)을 미쳤고, 건조(乾燥) 특성(特性)은 초기(初期) 감률(減率) 건조기(乾燥期)를 걸쳐 항률(恒率) 건조기(乾燥期)로 되었다.

  • PDF

상수리나무와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 함량 변화 (Decay Rate and Nutrient Dynamics during Litter Decomposition of Quercus acutissima and Quercus mysinaefolia)

  • 원호연;오경환;표재훈;문형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4-81
    • /
    • 2012
  • 상록활엽수인 가시나무와 낙엽활엽수인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율 및 분해과정에 따른 영양염류의 함량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 12월 공주의 상수리나무군락에 낙엽주머니를 설치하고 2009년 3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3개월 간격으로 낙엽주머니를 수거하여 분해율, 분해상수(k), 그리고 분해과정에 따른 C/N비, C/P비의 변화와 영양염류의 동태를 조사하였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잔존률은 각각 $46.3{\pm}5.4%$$37.8{\pm}2.5%$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가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보다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개월경과 후 상수리나무 낙엽과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k)는 각각 0.38과 0.49로 가시나무 낙엽의 분해상수가 높게 나타났다. 상수리나무 낙엽의 분해과정에 따른 C/N. C/P 비율은 초기에 각각 46.8, 270.9 이었으나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22.5와 104.2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가시나무 낙엽의 경우 초기 C/N, C/P 비율은 각각 22.4와 41.7로 나타났고, 24개월경과 후에는 각각 16.7와 89.9로 나타났다. 낙엽의 초기 N, P, K, Ca, Mg 함량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8.31, 0.44, 4.18, 9.38, 1.37 mg/g,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19.88, 2.73, 7.06, 8.24, 2.61 mg/g으로 가시나무 낙엽의 질소와 인의 함량이 상수리나무 낙엽에 비해 현저히 높았다. 24개월경과 후 N, P, K, Ca, Mg의 잔존률은 상수리나무 낙엽에서 각각 100.91, 114.75, 32.99, 50.63, 15.51% 이었고, 가시나무 낙엽에서 각각 43.22, 11.35, 12.98, 82.22, 44.23% 로 조사기간 동안에 상수리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부동화가, 가시나무 낙엽에서는 질소와 인의 무기화가 진행되었다.

용융탄산염 연료전지 스택 온도 조절을 위한 분리판에 관한 수치 해석 연구 (Numerical Studies of a Separator for Stack Temperature Control in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 김도형;김범주;임희천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05-312
    • /
    • 2011
  • The use of a separator to control stack temperature in a molten carbonate fuel cell was studied by numerical simulation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ode. The stack model assumed steady-state and constant-load operation of a co-flow stack with an external reformer at atmospheric pressure. Representing a conventional cell type, separators with two flow paths, one each for the anode and cathode gas, were simulated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cathode gas was composed of either air and carbon dioxide (case I) or oxygen and carbon dioxide (case II).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cell potential in case II was higher than that in case I due to the higher partial pressures of oxygen and carbon dioxide in the cathode gas.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amount of heat released during the electrochemical reactions was less for case II than for case I under the same load. However, simulated results showed that the maximum stack temperature in case I was lower than that in case II due to a reduction in the total flow rate of the cathode gas. To control the stack temperature and retain a high cell potential, we proposed the use of a separator with three flow paths (case III); two flow paths for the electrodes and a path in the center of the separator for the flow of nitrogen for cooling. The simulated results for case III showed that the average cell potential was similar to that in case II, indicating that the amount of heat released in the stack was similar to that in case II, and that the maximum stack temperature was the lowest of the three cases due to the nitrogen gas flow in the center of the separator. In summary, the simulated results showed that the use of a separator with three flow paths enabled temperature control in a co-flow stack with an external reformer at atmospheric pressure.

High Quality Nano Structured Single Gas Barrier Layer by Neutral Beam Assisted Sputtering (NBAS) Process

  • Jang, Yun-Sung;Lee, You-Jong;Hong, Mun-Pyo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2년도 제43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251-252
    • /
    • 2012
  • Recently, the growing interest in organic microelectronic devices including OLEDs has led to an increasing amount of research into their many potential applications in the area of flexible electronic devices based on plastic substrates. However, these organic devices require a gas barrier coating to prevent the permeation of water and oxygen because organic materials are highly susceptible to water and oxygen. In particular, high efficiency OLEDs require an extremely low Water Vapor Transition Rate (WVTR) of $1{\times}10^{-6}g/m^2$/day. The Key factor in high quality inorganic gas barrier formation for achieving the very low WVTR required ($1{\times}10^{-6}g/m^2$/day) is the suppression of defect sites and gas diffusion pathways between grain boundaries.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Al_2O_3$ nano-crystal structure single gas barrier layer using a Neutral Beam Assisted Sputtering (NBAS) process. The NBAS system is based on the conventional RF magnetron sputtering and neutral beam source. The neutral beam source consists of an electron cyclotron Resonance (ECR) plasma source and metal reflector. The Ar+ ions in the ECR plasma are accelerated in the plasma sheath between the plasma and reflector, which are then neutralized by Auger neutralization. The neutral beam energies were possible to estimate indirectly through previous experiments and binary collision model. The accelerating potential is the sum of the plasma potential and reflector bias. In previous experiments, while adjusting the reflector bias, changes in the plasma density and the plasma potential were not observed. The neutral beam energy is controlled by the metal reflector bias. The NBAS process can continuously change crystalline structures from an amorphous phase to nano-crystal phase of various grain sizes within a single inorganic thin film. These NBAS process effects can lead to the formation of a nano-crystal structure barrier layer which effectively limits gas diffusion through the pathways between grain boundaries. Our results verify the nano-crystal structure of the NBAS processed $Al_2O_3$ single gas barrier layer through dielectric constant measurement, break down field measurement, and TEM analysis. Finally, the WVTR of $Al_2O_3$ nano-crystal structure single gas barrier layer was measured to be under $5{\times}10^{-6}g/m^2$/day therefore we can confirm that NBAS processed $Al_2O_3$ nano-crystal structure single gas barrier layer is suitable for OLED application.

  • PDF

알루미늄 식각폐액의 응집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g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Aluminium Etching Waste)

  • 김준호;이창환;이철호
    • 청정기술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04
  • 본 연구는 알루미늄 식각액(PWF100)이 응집제로서의 성능을 가지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응집제(PAC17)와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PWF100을 이용하여 제조된 BKN-100, BKR-110, 그리고 BKR-120의 농도에 따른 침전층의 높이를 측정하였는데 농도가 낮은 범위에서는 첨가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침전층의 높이가 감소하지만 일정농도 이상에서는 침전층의 높이가 일정해졌다. BKN-100의 농도에 따른 침전층의 밀도를 조사하였는데 BKN-100의 농도가 증가에 따라 침전층의 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BKN-100, BKR-110, 그리고 BKR-120 응집제의 첨가량에 따른 침강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는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침강속도가 빨라지지만 일정한 농도 이상에서는 침강속도가 둔화되었다. BKN-100, BKR-110, 그리고 BKR-120의 농도에 따른 침전층 형성시간의 변화를 측정하였는데, 저농도 영역에서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침전층 형성시간이 감소하지만 일정농도 이상에서는 침전층 형성시간이 증가하였다. 위의 실험결과로부터 PWF100은 응집제로서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다.

  • PDF

물리화학적 공정에 의한 용존성 Humic Acid의 제거 (Removal of Dissolved Humic Acid with Physicochemical Treatment Process)

  • 김종식;최준호
    • 공업화학
    • /
    • 제10권5호
    • /
    • pp.737-742
    • /
    • 1999
  • THMs의 전구물질로 잘 알려진 humic acid를 대상으로 오존처리, 응집처리 및 활성탄 흡착처리와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공정 도입에 따른 humic acid의 제거특성을 조사하고, 염소주입시 생성 가능한 부산물을 정성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Humic acid에 오존을 주입한 결과 pH가 급격히 감소하였는데, 이는 분자량이 큰 humic acid가 오존에 의하여 $H_2O$$CO_2$로 완전히 산화되지 못하고 중간생성물인 저급 지방산으로 분해된 결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용존성 humic acid의 응집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AC 160 mg/L로 응집을 실시한 결과 TOC는 약 25%, $COD_{Cr}$는 24%가 제거되었으나, 색도는 단지 5%만이 제거되어, humic acid에 의해 유발되는 색도는 응집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오존처리에서는 95% 이상의 색도가 제거되었으며, 이때 색도는 오존 접촉시간에 대해 1차반응으로 제거되었고, 반응속도상수값 k는 $0.067min^{-1}$로 조사되었다. 활성탄 흡착 실험에서는 오존 전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활성탄 흡착 효율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umic acid에 염소를 주입한 결과 THMs만 검출되었을 뿐 다른 휘발성 미량 유기화합물은 검출되지 않았고, 오존처리를 실시한 오존처리수에서도 알데히드류 및 케톤류와 같은 부산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 PDF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한 건강보험 재정추계 (Financial Projection for National Health Insurance using NHIS Sample Cohort Data Base)

  • 박유성;박혜민;권태연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4호
    • /
    • pp.663-683
    • /
    • 2015
  • 저출산과 고령화 등의 인구구조의 변화는 미래 건강보험 재정의 안전성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2002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보험 표본코호트 DB를 이용하여 유병율 및 진료비에 대한 통계적 모형을 추정하고 인구구조와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다양한 미래 가정들을 반영하여 건강보험 재정의 연도별 수입과 지출을 2060년까지 추계하였다. 지출 추계에는 건강보험공단 표본 코호트 DB를 이용하여 유병율 및 진료비를 추계하였다. 유병율 모형은 VECM-LC모형을 그리고 1인당 공단 부담 진료비에 대한 추계는 이중지수평활법에 근거 하였다. 두 모형 모두를 의료기관별, 질병별, 성별, 연령별로 적합하고 경제상황의 변화에 대한 국회와 정부의 여러 가정들을 반영하여 최종 추계치를 산출하였다. 수입 추계는 고령화 속도에 대한 두 개의 다른 가정에 근거한 두 개의 미래 인구구조를 반영한 두 개의 피부양률 가정에 근거하고, 지출 추계에서와 마찬가지로 경제 상황의 변화에 대한 여러 가지 가정을 반영하여 최종 추계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건강보험 재정적자는 2015년 불변가격으로 2030년에는 2030조 원, 2060년에는 4070조 원이 될 것으로 추계되었다.

Model System 하에서 MSG 열분해 중 pH 변화의 속도론적 연구 (Kinetics of pH Changes during Thermal Degradation of MSG under Model System)

  • 차보숙;한민수;김우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2-235
    • /
    • 1992
  • 2%의 MSG 용액 가열 중 pH변화에 가열온도와 초기 pH가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고져, 가열온도 $100{\sim}120^{\circ}C$$pH2{\sim}9$의 범위에서 가열하였다. 그 결과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초기 pH가 낮아지면서 MSG의 용액은 pH감소가 빨라졌으며, pH의 감소는 MSG 분해에 따른 pyroglutamic acid의 생성에 기인됨이 확인되었다. pH 감소와 가열시간의 대수값 간에는 직선관계가 있었으며 직선의 기울기에서 pH 감소속도상수를 계산하였다. pH의 감소정도(pH)는 3시간 가열 후, 초기 pH가 4일 때는 $120^{\circ}C$에서 1.2 그리고 초기 pH5와 $120^{\circ}C$에서는 0.33으로 큰 차이가 있었으며 초기 $pH6{\sim}9$에서는 감소됨이 거의 없었다. 가열 중 pH의 감소 활성화에너지는 초기 pH4에선 11.77 그리고 pH5에선 22.26kcal/mo1e 계산되었다.

  • PDF

방사성동위원소(放射性同位元素) $^{51}Cr$을 이용(利用)한 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 측정(測定)에 관(關)한 고찰(考察) -$^{51}Cr$-적혈구수명(赤血球壽命) 측정법(測定法)의 재평가(再評價)와 실혈(失血)이 수명측정(壽命測定)에 미치는 영향(影響)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Measurement of $^{51}Cr-tagged$ Red Cell Survival - Reevaluation of its method & the effect of Blood loss on red cell suruival with $^{51}Cr$ -)

  • 최학용;고창순;이문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5-66
    • /
    • 1970
  • Reappraisal measurements of apparent half survival time of red cell by $^{51}Cr$ method was made and effects of blood-letting over red cell survival were observed. The study was performed on 53 normal male subjects under three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1. Group 1 Mean $^{51}Cr$ red cell half survival by ACD wash method was 29.7 days. $T\frac{1}{2}$ of Ascorbic acid method was 29.0 days in group with 100 mg dose and 29.1 days in group with 50 mg dose respectively.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se two methods in regards to red cell half survival. No difference were noted in amount of ascorbic acid administered. 2. Group 2 As daily amount of blood loss is increased the shortening of red cell half survival was noted. Rapid phase was seen when blood loss ranged 10 to 25 ml per day, while slow phase noted when more loss amounted 25 ml or more daily. Thus, it was clear that there was more than an exponential relation between $T\frac{1}{2}$ and the amount of blood loss. 3. Group 3 $T\frac{1}{2}$ measured by cpm per whole blood was within normal range and $T\frac{1}{2}$ measured by cpm per red cell mass showed shortening tendency when compared with the former in the group measured after blood loss (from 25 ml daily up to 100 ml daily in 10 days). In the group with rather constant blood loss of 100 ml daily for 10 consecutive days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wo measurements (P<0.01). 4. $T\frac{1}{2}$ in non-steady state When red cell production is increased compared with red cell destruction, $T\frac{1}{2}$ measured by cpm per red cell mass being shorter than that by cpm per whole blood. Shortening of $T\frac{1}{2}$ measured by cpm per whole blood is more prominent. if red cell destrction is enhanced and exceeds production. 5. It is clear that when expressing red cell destruction rate, $T\frac{1}{2}$ measured by cpm per whole blood is more adequate and production more consistent with cpm red cell mass. 6. $T\frac{1}{2}$ measured during blood-letting, when corrected by amount of blood loss, it remains normal. It is erroneous to use conventional equational when measuring $T\frac{1}{2}$ in non-steady. $T\frac{1}{2}$ measured by cpm per whole blood is considred more applicable in clinical evaluation.

  • PDF

수목생육 조건을 고려한 조경수목과 아파트 건물의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nimum Distance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 장하경;안근영;이은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8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minimum distance needed between landscape trees and apartment buildings. in order for the trees to grow soundly and maintain constant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green-spaces contiguous to apartment buildings and the trees inside the apartment complex. The following general problems were identified : (1) the tree growth conditions, (2) the planting intervals, and (3) the planting methods in the apartment complexes.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survey areas, measure the trees and analyze the results. Ten apartment complexes located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 greens contiguous to the building of each apartment complex, the greens were divid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the front greens, the side greens, and the rear greens. The study surveyed the width of all contiguous greens and the distance from trees to my given building. Four representative sites were specifically investigated to measure the crown widths, heights, and diameters of the trees. These investigations were carried out over 3 months from August to December 200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greens are narrower in width and the more closer to a building. The study identified a correlation between the tree and the passage of time after the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an apartment complex, showing that the malformation of the trees worsened as time passed.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right crown and left crown width with the tree trunk as the center, a broad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coniform trees and trees that tend to branch out more.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width of the Acer palmatum is 1:6. However, the ratio of the Metasequoia glyptostroboide is 1:1.7.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the maintained minimum width must be greater than one meter over the green space according to the 'Landscape Standard 2000'. However, that is only applicable to cases such as apartment buildings that present no obstacles. In conclusion having greens placed within one meter of width to a building is not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the healthy growth of trees. To create sound green spaces, sustainable, long-term growth rate and size should be consider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new standards for the computation of planting trees and the measurement of square landscapes. Wall greenery and shrubberies could be an alternative in the case of a narrow-width green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