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 garden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1초

Exploring Users' Perceptive Response and Landscape Aesthetic Value of Rain Gardens

  • Kim, Suyeon;An, Kyungjin
    • 휴양 및 경관연구
    • /
    • 제11권2호
    • /
    • pp.1-11
    • /
    • 2017
  • Recently, growing emphasis has been placed on the installation of rain gardens. However, previous rain garden studies have mainly focused on physicochemical effects such as rainfall runoff management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general perceptions of rain gardens and landscape aesthetics among rain garden visitors. To achieve this goal, a survey of 100 rain garden visitors was conducted, gathering information about their general perceptions of rain gardens and landscape aesthetics at three pre-selected rain garden locations. Results showed that rain garden recognition was limited to 34% of the respondents, indicating that most people were not aware of rain gardens and were unable to notice differences between rain gardens and traditional gardens. However, stronger support for rain gardens was observed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the concept, those who recognized that rain garden planting types are differentiated from traditional gardens, and those who rated positively the landscape aesthetic value of rain gardens. The main findings are expected to encourage further studies of quantitative indicators by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esthetics and functionality of rain gardens.

레인가든이 지하유출 및 첨두유량 감소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ain Garden on Reduction of Subsurface Runoff and Peak Flow)

  • 김창수;성기준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69-79
    • /
    • 2011
  • This study assessed the subsurface runoff and peak flow reduction in rain garden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water retention was found in rain garden mesocosms in which Rhododendron lateritium and Zoysia japonica were planted, followed by mesocosms in which either R. lateritium or Z. japonica was planted, and the lowest water retention rate was found in non-vegetated control treatment mesocosms(${\alpha}$ < 0.05). Although higher rainfall intensity caused a decrease of peak flow reduction in both vegetated and non-vegetated treatments, peak flow reduction was the greatest in mesocosms with mixed plants. A rain garden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environment-friendly stormwater management and improving ecological functions in urban areas. Depending on the purpose such as delaying runoff or increasing infiltration, various plant types should be considered for rain garden designing.

비점오염원관리를 위한 레인가든에서 식물과 토양의 영양물질과 중금속 농도변화 (Changes i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of Plants and Soils in Rain Garden Systems used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 김창수;성기준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7권4호
    • /
    • pp.27-35
    • /
    • 2012
  •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the use of rain garden systems as environmentally friendly ecological infrastructures for controlling stormwater runoff and manag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and information for the contamination of soil and plants can be essential for sustainable rain garden management. In this study, four rain garden mesocosms, namely single species planting with Rhododendron lateritium, single species planting with Zoysia japonica, mixed planting with R. lateritium and Z. japonica, and control without plants,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concentrations of nutrients (N and P) and heavy metals (Cd, Cu, Pb, and Ni) in the soil and plants used in the rain garden system. The presence of plants resulted in greater nutrient retention in soil and lower potential leaching from the system. All systems showed an increase in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oil. The concentrations of most heavy metals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herbaceous plants (Z. japonica) than in the shrubs (R. lateritium). The belowground part (root) had higher heavy metal concentrations than the aboveground part (leaf) but also showed a potential increase in leaves, and hence, careful plant management should be considered during rain garden operation.

지붕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빗물정원의 환경적 효과 평가 (Evaluation on the environmental effects of rain garden treating roof stormwater runoff)

  • ;;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15
    • /
    • 2016
  • 빗물정원은 강우유출수를 현장에서 관리하는 LID 기술이며 보통 유역면적의 1% 이내의 면적에 적용된다. 본 연구는 지붕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빗물정원의 환경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강우시 모니터링은 2012년 3월부터 2014년 8월까지 총 19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수행되었다. 19개의 강우사상 중에서 빗물정원에 유입된 강우유입수가 유출된 경우는 약 32%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 평균 강우량은 25mm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 빗물정원은 강우시 첨두 유출율을 낮추고 지연시킴으로써 수문학적 물순환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빗물정원은 강우량 25mm 이하의 강우유출수의 대부분을 저류 및 침투시킴으로써 지붕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빗물정원은 물순환 및 비점오염물질 저감과 더불어 경관성을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의 심미적 효과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결과는 향후 빗물정원의 설계인자로 활용 가능하다.

레인가든의 침투성능 및 유출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Rain Garden for Infiltration Capability and Runoff Reduction Efficiency)

  • 유철상;이진욱;조은샘;주국화;최한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1-11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함안군 군북면 소포리 일원에 있는 ${\bigcirc}{\bigcirc}$부대 이전사업지구에 설치된 레인가든의 특성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레인가든의 침투 및 유출을 모의할 수 있는 1차원 모형을 제안하였다. 구축된 모형을 이용하여 설치 후 및 과거 10년간의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모의 평가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연최대치 호우사상에 대한 적용 평가를 통해 레인가든이 상쇄시킬 수 있는 불투수면적의 규모를 추정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변수위 실험 방법을 적용하여 추정한 레인가든의 투수계수는 0.0188 m/hr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과거 10년간의 강우자료에 대한 모의 실험에서 지붕 전체 면적을 사용하는 경우, 침투량의 비율이 약 90.38%로 나타났다. (2) 지난 10년간의 연최대치 호우사상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침투모의를 수행한 결과, 본 연구에서 검토한 레인가든은 그 표면적의 30배 정도에 해당하는 불투수면적을 상쇄할 수 있는 침투성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용 빗물정원을 이용한 지붕빗물내 영양소 및 중금속 제거 (The Removal of Nutrients and Heavy Metals Using Household Rain garden)

  • 박기정;박희수;조윤철;김성표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8-44
    • /
    • 2015
  • 대부분의 강우가 여름철에 집중되는 국내 강우 특성은 여름철 집중호우에 따른 비점 오염물질의 수계로의 과대 유입에 대한 우려를 높이고 있다. 국내 수계로의 오염원 유입특성이 대부분 비점오염원 형태인 것을 감안한다면 강우가 오염물질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초기 우수의 경우 상당한 영양소와 중금속에 오염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를 적절히 처리함과 동시에 재이용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설 중 빗물정원은 빗물양과 수질의 조절이 가능한 친환경적이며 효과적인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정원에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자연형 흡착여재를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빗물이 빗물정원을 통과한 이후 유출수의 영양소 및 유기물(TN, TP, CODcr), 중금속 제거(Cu, Cd, Pb) 효율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자연형 흡착여재인 피트모스를 탄화시켜 오염물질 별 제거 흡착능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이용한 삼단의 계단식 여재 시설을 구성하여 영양소 및 중금속 제거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피트모스는 더 높은 온도에서 탄화시켰을 경우 흡착능이 우수하였으며, 피흡착제의 농도가 낮을수록 흡착이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개의 빗물정원에서의 인공강우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분석한 결과, T-N, T-P, CODcr 모두 피트모스를 사용한 반응조가 제거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앞으로 빗물정원을 구성하는데 있어 피트모스를 탄화한 여재를 이용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오염물질 저감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빗물정원 시스템의 구성요소 배열 연구 (Determination on the component arrangement of a hybrid rain garden system for effective stormwater runoff treatment)

  • ;;;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71-278
    • /
    • 2017
  • 최근 비점오염물질 처리를 위하여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레인가든 기술은 생물학적 및 물리화학적 처리에 의하여 비점오염물질 저감에 기여하기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는 LID 기술 중 하나이다. 그러나 유지관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지 않아 시설 내 막힘 현상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효율적인 물수지 및 오염물질 저감을 위해 레인가든 기술의 구성 요소 배치의 개발 및 평가를 위하여 수행하였으며, 서로 다른 2개의 하이브리드 레인가든 시스템 구축을 통하여 시스템의 최적화된 설계 및 구성요소의 배열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직렬로 배열 시 저감량은 유출량의 경우 96%, 오염물질 중 입자상 물질은 99%, 유기물질은 93% 및 중금속은 95%로 나타났다. 반면 시스템이 병렬로 배열 될 시, 유출량은 65% 저감되었으며, 평균 오염물질 저감효율은 TSS는 94%, 영양물질은 80% 및 중금속은 85%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시스템의 구성요소가 비점오염물질 저감에는 침전, 침투도랑 및 식재부의 순서가 중요한 영향인자로 나타났다. 향후 레인가든 시스템 개발 시 최적화 설계 인자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이브리드 빗물정원 시스템에서의 비점오염물질 및 강우유출수 이송 특성 (Transport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and stormwater runoff in a hybrid rain garden system)

  • ;;;;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81-487
    • /
    • 2016
  • 본 연구는 도시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빗물정원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으며, Pilot scale 모니터링을 통하여 시스템 내의 서로 다른 구성요소간의 효율을 검증하였다. 유입수는 국내 외 도로강우유출수의 농도를 고려한 인공강우유출수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하이브리드 빗물정원은 시설 내 저류 80%, 지하수의 침투 15%로 유입수의 약 95% 저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ST의 저류 및 PB와 IT의 침투 기작이 물순환 효과에 기여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오염물질 저감효율을 산정한 결과, TSS의 경우 평균 87%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은76%, 영양염류는 46%, 중금속은 56%으로 나타났다. 이는 PB와 IT에 포함된 여재의 여과, 침투 및 식생과 토양의 생물학적 흡수 기작 영향에 의해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빗물정원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설의 개선 및 설계방안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평가된다.

인공산성비가 봉선화(Impatiens balsamina L.)의 지방산 구성 및 항산화 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Fatty Acid Composition and Antioxidant System in Garden Balsam(Impatiens balsamina L.))

  • 김학윤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52-159
    • /
    • 2011
  • 산성비에 대한 봉선화의 피해양상과 지질조성 변화 및 방어기작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주 동안 여러 농도(pH 2.0, 3.0, 4.0, 5.6)의 인공산성비 실험을 수행하였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생육피해가 심하게 나타났다.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엽록소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H_2O_2$ 함량은 증가하였다. 인지질과 당지질 모두 인공산성비에 의해 포화지방산이 증가하고 불포화지방산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선화에는 주로 3종류의 polyaimne이 존재하며 이들 모두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atalase의 활성도 인공산성비의 pH가 낮을수록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공산성비에 의해 활성산소 생성되고, 지방산의 변화를 일어나며, polyamine 증가와 catalase 활성 증가는 산성비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어기작이 작용한 것으로 사료된다.

Maintenance of Waterscape Facilities at Garden shows in Korea

  • Lee, Kyong-bok;Hong, Kwang-pyo;LEE, Hyuk-j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189-199
    • /
    • 2020
  • We aimed to understand various problems identified at waterscape facilities of gardens built at garden shows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which parts of waterscape facility built in gardens at garden shows are causing problems and whether these problems can be traced back from garden design phase or from local communities in charge of maintenance. Furthermore, we examined if such problems get more aggregated as time passes by and different garden shows have different types of problems. In this study, types of waterscape facilities examined are pond, waterway, wall fountain, water glass, trough, mist, Cascade, fountain, rain garden, waterfall. An analysis of the maintenance status of waterscape facilities introduced in the existing gardens confirmed that problems could arise in two main respects. One is due to poor maintenance by the organizers of the garden show, and the other is due to the poor design of waterscape facilities by the garden desig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