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oactive contamination

검색결과 187건 처리시간 0.04초

Assessment of Radionuclide Deposition on Korean Urban Residential Area

  • Lee, Joeun;Han, Moon Hee;Kim, Eun Han;Lee, Cheol Woo;Jeong, Hae Sun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101-107
    • /
    • 2020
  • Background: An important lesson learned from the Fukushima accident is that the transition to the mid- and long-term phases from the emergency-response phase requires less than a year, which is not very long. It is necessary to know how much radioactive material has been deposited in an urban area to establish mid- and long-term countermeasures after a radioactive accident. Therefore, an urban deposition model that can indicate the site-specific characteristics must be developed.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study, the generalized urban deposition velocity and the subsequent variation in radionuclide contamination were estima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urban environment.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the obtained generalized deposition velocity in a hypothetical scenario was investigated. Results and Discussion: The generalized deposition velocities of 137Cs, 106Ru, and 131I for each residence type were obtained using three-dimensional (3D) modeling. For all residence types, the deposition velocities of 131I are greater than those of 106Ru and 137C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generalized deposition velocities for each residential types. Iodine was the most deposited nuclide during initial deposition. However, the concentration of iodine in urban environment drastically decreases owing to its relatively shorter half-life than 106Ru and 137Cs. Furthermore, the amount of radioactive material deposited in nonresidential areas, especially in parks and schools, is more than that deposited in residential areas.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generalized urban deposition velocities and the subsequent deposition changes were estimated for the Korean urban environment. The 3D modeling was performed for each type of urban residential area, and the average deposition velocity was obtained and applied to a hypothetical accident. Based on the estimated deposition velocities, the decision-making systems can be improved for responding to radioactive contamination in urban areas.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useful to predict the radiological dose in case of large-scale urban contamination and can support decision-making for long-term measurement after nuclear accident.

자연재해 및 방사능 오염 모니터링용 USN 식물공장관리방법 및 시스템 개발 (A Study on the System Development and Management Method of USN Plants for Monitoring of Natural Disasters and Radioactive Contamination)

  • 주해종;조문택;이충식;백종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351-355
    • /
    • 2011
  • 본 논문은 재난재해와 방사선 오염으로부터 안전한 농작물 관리를 위한 플랫폼, 그리고 식물 생장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또한, 식물생장을 모니터링하여 식물공장 내에서 생장하는 식물의 크기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기대효과는 첫째, 자연재해와 방사능오염 감시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대처 기능으로 농산물 품질과 생산성 향상을 가져올 수 있다. 둘째, 식물의 크기 측정 데이터를 유지 관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여 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식물 공장 관리자의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Gas ebullition associated with biological processes in radioactively contaminated reservoirs could lead to airborne radioactive contamination

  • E.A. Pryakhin;Yu.G. Mokrov;A.V. Trapeznikov;N.I. Atamanyuk;S.S. Andreyev;A.A. Peretykin;K. Yu. Mokrov;M.A. Semenov;A.V. Akleyev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1호
    • /
    • pp.4204-4212
    • /
    • 2023
  • Background: Storage reservoirs of radioactive waste could be the source of atmospheric pollution due to the efflux of aqueous aerosol from their water areas. The main mechanism of formation of aqueous aerosols is the collapse of gas bubbles at the water surfac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potential influence of biological factors on gas ebullition in the water areas of the radioactively contaminated industrial reservoirs R-9 (Lake Karachay) and R-4 (Metlinsky pond) of the Mayak PA. The emission of the released non-dissolved gases captured with gas traps in reservoir R-9 was (88-290) ml/m2 per day (2015) and in reservoir R-4 (270-460) ml/m2 per day (2016). The analysis of gas composition in reservoir R-4 (60% methane, 35% nitrogen, 2.4% oxygen, 1.5% carbon dioxide) confirms their biological origin. It is associated with the processes of organic matter destruction in bottom sediments. The major source of organic matter in bottom sediments is the dying phytoplankton developing in these reservoirs. Conclusion: The obtained results form the basis to set a task to qua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toplankton development, gases ebullition and radioactive atmosphere contamination.

Radiological Safety Assessment for a Near-Surface Disposal Facility Using RESRAD-ONSITE Code

  • Jang, Jiseon;Kim, Tae-Man;Cho, Chun-Hyung;Lee, Dae Sun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3-132
    • /
    • 2021
  • Radiological impact analyses were carried out for a near-surfac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at Gyeongju in South Korea. The RESRAD-ONSITE code was applied for the estimation of maximum exposure doses by considering various exposure pathways based on a land area of 2,500 ㎡ with a 0.15 m thick contamination zone. Typical influencing input parameters such as shield depth, shield materials' density, and shield erosion rate were examined for a sensitivity analysis. Then both residential farmer and industrial worker scenario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maximum exposure doses depending on exposure duration. The radiation dose evaluation results showed that 60Co, 137Cs, and 63Ni were major contributors to the total exposure dose compared with other radionuclides. Furthermore, the total exposure dose from ingestion (plant, meat, and milk) of the contaminated plants was more significant than those assessed for inhalation, with maximum values of 5.5×10-4 mSv·yr-1 for the plant ingestion.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applied for determining near-surface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conditions and providing quantitative analysis methods using RESRAD-ONSITE code for the safety assessment of disposing radioactive materials including decommissioning wastes to protect human health and the environment.

방사성 요오드 치료환자의 환의 및 시트에 대한 재사용주기 평가 (The Evaluation on Reuse Period of Patient's Clothes and Sheet After Radioiodine Therapy)

  • 김영선;서명덕;이완규;김기준;송재범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12-17
    • /
    • 2012
  • 방사성 요오드 치료병실에서 나온 환의 및 시트는 본디 방사성폐기물로서 관련 규정에 따라 일반 쓰레기와 동일하게 처리해야 하지만 사정상 일정기간 보관하여 방사능을 감쇄시킨 후 재사용하게 된다. 통상 최소보관기간 산출에 표면오염도(Bq/$m^2$)를 기반으로 하는 반출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방사선측정기를 이용하여 단위 면적당 총방사능량을 구하는 방법은 측정방법에 따라 편차와 불확실성이 상당히 커진다.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등에 관한 규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핵종 농도(Bq/g)를 Dose Calibrator를 이용하여 직접 측정하여 최소보관기간을 구함으로써, 환의 및 시트의 정확한 재사용 주기를 산출하고자 한다. 한편 반출기준으로 산출한 최소보관기간과 비교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원의 방사성 요오드 치료병실에서 2011년 7월부터 2012년 3월까지 I-131을 3.7 GBq (100 mCi) 이상을 사용하여 방사성 요오드 치료를 시행한 환자 31명이 사용한 환의와 시트의 방사선 오염도를 측정하여 최소보관기간을 산출하였다. 최소보관기간은 핵종 농도를 측정하여 '방사성폐기물 자체처분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100 Bq/g이 되는 시점과 표면오염도를 측정하여 반출기준에 따라 허용표면오염도의 1/10, 즉 4 kBq/$m^2$되는 시점을 붕괴식에 대입하여 산출하였다. 반출기준으로 산출한 최소보관기간은 침대/담요시트는 14.2일, 베개시트는 4.6일, 환의(상(上))은 63일, 환의(하(下))는 78일 이었으며, 자체처분 기준에 따른 최소보관기간은 베개시트는 18.1일, 환의(상(上))은 43일, 환의(하(下))는 62일로 산출되었다. 표면오염도와 핵종 농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베개시트와 환의(상(上))는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으나, 환의(하)는 낮게 나타났다. 이는 베개시트와 환의는 방사성오염이 부분에 국한 되어 측정값이 일정한 반면, 환의(하(下))는 소변에 의한 방사성오염이 여러 부분에 산재되어 있어 방사선측정기의 측정값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결과로 생각 된다. 실질적으로 방사성 오염도를 측정한 결과 반출기준과 자체처분 기준을 상당량 초과하는 방사능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의와 시트의 최소보관기간 산출에는 핵종 농도를 기준으로 하는 자체처분 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방사능에 오염된 환의 및 시트는 최소 60일 정도는 보관해야 성급한 재사용에 따른 불필요한 방사선피폭 및 오염 확산을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원전사고에 따른 토양.지하수 방사성오염의 효과적인 관리 연구 (A Study on Effective Management Scheme for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ed by Radioactive Materials Due to Nuclear Accidents)

  • 김희주;현윤정;김영주;황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6권6호
    • /
    • pp.113-121
    • /
    • 2011
  • In this study, we suggested the management scheme of analyzing the national and oversea related policy against soil and groundwater contamination by radioactive materials due to nuclear accidents. In Korea, we need to remedy swiftly the contaminated land due to intensive land development demand. So, we need to develop more effective management scheme to recover actively the land contaminated by radioactive materials. We require to improve monitoring network, to expand media-specific monitoring system, to prepare management system for remediation of contaminated land, and to develop flow work for soil and groundwater remediation.

배관류 폐기물의 베타선 오염도 측정용 플라스틱 검출기 제작 및 특성평가 (Fabrication and estimation of the plastic detector for measuring the contamination for beta-ray level of the kind of duct waste)

  • 김계홍;오원진;이근우;서범경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59-165
    • /
    • 2005
  • 원자력 시설의 해체 시 발생되는 다양한 종류의 폐기물 중에서 배관류를 재활용하거나 처분하기 위해서는 배관 내부의 정확한 방사선학적인 오염 특성의 평가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측정법인 survey-meter를 이용한 오염도의 직접 측정은 배관 내부와 같은 국소지역의 오염 특성을 정확하게 평가할 수 없으며, 간접법을 이용한 표면오염도 측정의 경우도 시료채취의 어려움뿐만 아니라 시료채취 시 작업자의 오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적용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모사기법을 이용해 직경이 작은 배관 내부의 베타선 오염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섬광체를 모사하였으며, 모사 결과에서 베타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최적의 플라스틱 섬광체 두께 및 형상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 전사모사 결과를 바탕으로 섬광체의 가공 및 배관 내부에서의 검출기 이송 문제를 고려해 검출기를 제작하였으며 그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배관 내부의 오염도 측정에 적합한 검출기 성능을 확인하였고, 파이프 내부처럼 국소 지역의 방사선학적 오염 특성 평가를 위한 검출기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핵의학과 일반 의료폐기물에서의 방사능 오염에 관한 고찰 (A Study on Medical Waste Contaminated by Radioactivity in Nuclear Medicine Department)

  • 유재숙;장정찬;이동훈;차민경;남기표
    • 핵의학기술
    • /
    • 제15권1호
    • /
    • pp.70-74
    • /
    • 2011
  • 서울 아산병원 핵의학과에서는 방사성폐기함을 다수 비치하여 방사성폐기물을 수집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사성폐기물이 일반 의료폐기함에서 발견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폐기물에서 측정되는 방사성폐기물의 발생 원인을 파악하여 방사선관리구역으로부터 배출되는 물품 표면의 방사성물질의 오염도가 허용표면오염도의 10분의 1을 초과하지 않거나 교육과학기술부에서 고시하는 액체폐기물이 방사성 자체 폐기한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대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먼저 survey meter를 이용하여 본원 핵의학과 17개 구역의 방사능 측정값과 배후방사능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법적인 허용치를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이 중 11개 구역에서 의료 폐기함과 배후방사능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실제 방사능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좀 더 정확한 방사능을 측정하고자 감마카운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의료폐기함으로부터 알코올솜, poly glove, 방사의약실에서 배출되는 생리식염수에서 각각 30개씩 표본 추출하여 측정한 결과, 높은 수준의 방사능이 측정되었으며, 일부는 법적 허용치를 초과했다. 따라서 의료폐기함으로 폐기되는 알코올솜과 poly glove는 각 영상실과 방사의약실에 구비된 방사성폐기함에 폐기하고, 방사의약실에서 발생되는 생리식염수는 액체폐기물로써 RI정화조에 폐기하거나 또는 방사성 자체 폐기절차에 따라 일정기간 보관하여 충분히 감쇄시킨 후 폐기해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