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inic acid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5초

송악의 페놀성 물질의 간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s of the Phenolic Compounds from the Leaves of Hedera rhombea on Hepatic Injury)

  • 김경숙;송지영;이인란
    • 약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16-525
    • /
    • 1999
  • Hedera rhombea (HR) has been used for treatments of hemorrage, chronic catarrh, jaundice, lithisis and convulsion. This study was done to isolate active compounds that have protective effect on liver damage. BuOH and EtOAc fractions of HR recovered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GPT),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and ${\gamma}-glutamyltranspeptidase$ (${\gamma}-GTP$) activities in CCl4 treated rats. We isolated 7 phenolic compounds from BuOH and EtOAc fractions, which were identified as 3-caffeoyl quinic acid, 3,4-di-O-caffeoyl quinic acid, 3,5-di-O-caffeoyl quinic acid, 4,5-di-O-caffeoyl quinic acid, caffeic acid, methyl 3,4-di-O-caffeoyl quinic acid and methyl 3,5-di-O-caffeoyl quinic acid by chemical and spectral analysis. These compounds reduced significantly serum GOT and GPT elevated by CCl4 treatment in rats, and 3-caffeoyl quinic acid, 3,5-di-O-caffeoyl quinic acid and caffeic acid also showed mil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 PDF

상추 7 품종의 Quinic Acid 유도체 분석 및 Peroxynitrite 소거효과 (Analysis of Quinic Acid Derivatives on Seven Cultivars of the Lettuce (Lactuca sativa L.)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 누그로호 아궁;장석우;김원배;이강노;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6-381
    • /
    • 2009
  • The compositional analysis and the peroxynitrite ($ONOO^-$) scavenging assay were undertaken to demonstrate beneficial dietary effect of lettuce (Lactuca sativa L., Compositae). Quinic acid derivatives of the seven cultivars wer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alyzed by HPLC to lead to the finding of 3,4-di-O-caffeoyquinic acid and 3-O-p-coumaroylquinic acid and their contents ranged over 2.72-4.47 mg/g and 8.97-23.26 mg/g, respectively. A cultivar Hacheong had the highest quantity of quinic acid derivatives. The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five cultivars (Jangsu, Gosina 27, Gopung, Yeolpungjeogchima, and Mipungjeogchugmyeon) were ranged over 7.45-8.26${\mu}g$/ml as $IC_{50}s$ while those of Hacheong and Mihong had less effect ($IC_{50}$ >10 ${\mu}g$/ml).

주엽나무의 페놀성 성분에 관한 화학적 연구 (Chemical Study on the Phenolic Compounds from Gleditsia japonica)

  • 황윤정;이승호;유시용;안종웅;김은주;노재섭;이경순
    • 생약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19
    • /
    • 1994
  • Gleditsia japonica var. koraiensis NAKAI(Leguminosae) is commonly distributed in Korea and has been used as a folk medicine in the treatment of bronchitis, neoplasm and blennorrhgia in the Orient. The aqueous acetone extract of the leaves of G. japonica was subjected to a combination of Sephadex LH-20, Cosmosil $75C_{18}-OPN$, TSK-gel Toyopearl HW 40F, Avicel cellulose, and MCI-gel CHP 20P chromatographies with various solvent systems. Twelve compounds were isolated and confirmed to be vitexin(1), isovitexin(2), orientin(3), isoorientin(4), 4-caffeoyl quinic acid(5), 5-caffeoyl quinic acid(6), 3, 5-dicaffeoyl quinic acid(7), 4, 5-dicaffeoyl quinic acid(8), caffeic acid(9), quercetin(10), isoquercitrin(11) and luteolin-7-O-glucoside(12), on the basis of chemical and spectroscopic evidences.

  • PDF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물질 (Antioxidative Compounds in Extract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 Plantlets)

  • 김명조;권용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4-198
    • /
    • 2005
  • 가시오갈피 유식물체의 함유성분을 밝히고, 분리된 화합물들을 대상으로 DPPH를 이용한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대체 약용자원으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시오갈피 유식물체를 MeOH로 추출, 농축하고 Hexane, EtOAc 및 BuOH순으로 분획하여 얻은 각각의 분획을 대상으로 성분연구에 착수하였다. 각종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성분을 분리한 결과 EtOAc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BuOH 분획으로부터 1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하여 UV, IR, Mass, $^1H-NMR$$^{13}C-NMR$ spectrum과 문헌치를 대조하여 그 구조를 동정한 결과그 구조는 각각 Chlorogenic acld (1)과 1,4-di-O-caffeoyl-quinic acid (2)이였다. DPPH (1,1-diphenyl-2-picry-hydrazyl)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이용하여 측정한 항산화활성의 $RC_{50}$ value는 각각 1.2 및 $0.4\;{\mu}g/ml$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Eleutherococcus senticosus Max.)는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가능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단풍취의 최종당화산물 생성 저해 및 라디칼 소거 물질의 동정 (Characterization of Anti-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 (AGEs) and Radical Scavenging Constituents from Ainsliaea acerifolia)

  • 정경한;김태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59-764
    • /
    • 2017
  • 당뇨합병증에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의 신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여 단풍취 70% 에탄올 추출물의 EtOAc 가용부로부터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능($IC_{50}=5.5{\pm}1.1{\mu}g/mL$)을 확인하였다.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의 동정을 위하여 $C_{18}$겔 등을 활용한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4종의 dicaffeoylquinic acid 유도체 화합물을 분리하였고, 각 화합물의 화학구조는 NMR 스펙트럼 데이터 해석 및 표품과의 HPLC 직접 비교를 통하여 methyl 3,5-di-O-caffeoyl-epi-quinate(1), 3,5-di-O-caffeoyl-epi-quinic acid(2), 4,5-di-O-caffeoyl-quinic acid(3) 및 methyl 4,5-di-O-caffeoyl-quinate(4)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에 대해 최종당화산물 생성 억제능을 평가한 결과 4,5-di-O-caffeoyl-quinic acid(3)가 가장 강한 $0.4{\pm}0.1{\mu}M$$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3,5-di-O-caffeoyl-epi-quinic acid(2)가 $0.6{\pm}0.1{\mu}M$$IC_{50}$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물질에 대해 $ABTS^+$ 소거 활성을 평가하여 4,5-di-O-caffeoyl-quinic acid(3)가 가장 강한 라디칼 소거 활성인 $14.6{\pm}0.4{\mu}M$$IC_{50}$ 값을 나타내었으며, 구조 이성질체인 3,5-di-O-caffeoyl-epi-quinic acid(2)가 $18.8{\pm}0.4{\mu}M$$IC_{50}$ 값을 확인하였다. 단풍취에서 분리한 화합물의 활성은 caffeic acid의 결합방식 및 methyl화 여부에 따른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다름이 시사되었다. 향후 우수한 활성을 나타낸 이들 화합물의 in vivo 실험을 통한 활성기작의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하여 식의약 소재로 활용이 가능한 새로운 천연신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제공 및 당뇨합병증에 효과적인 천연 물질의 상업화를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천속단의 성분 (Chemical Constituents from Dipsacus asper)

  • 김순영;권용수;김창민
    • 생약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0-422
    • /
    • 1999
  • From the EtOAc fraction of Dipsacus asper, four compounds have been isolated. On the basis of spectral data,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as protocatechuic acid, caffeic acid, 3,4-di-O-caffeoyl quinic acid and methyl 3,4-di-O-caffeoyl quinate.

  • PDF

Pharmacological activities and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Hedera rhombea Bean (II) : On the constituents of the leaves

  • Lee, Ihn-Rhan;Lee, Min-Suk;Choi, Kyoung-Ah;Seo, Eun-Kyou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6권4호
    • /
    • pp.331-335
    • /
    • 1993
  • Three phenolic compounds and a dammarane glycoside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Hedera rhombea Bean (Araliaceae). Their structures were characterized as rutin, caffeic acid, 3.5-dicaffeoyl quinic acid and kizuta saponin $K_5$ by chemical and spectral analysis.

  • PDF

역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구절초 중 Chlorogenic Acids와 Linarin의 동시 정량분석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Chlorogenic Acid and Linarin in Chrysanthemum Sibiricum Fisher by Reversed-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김택제;이태룡;박호군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20-724
    • /
    • 1991
  • 액상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구절초 중 chlorogenic acid (CA), 3,4-o-dicaffeoyl quinic acid (3,4-DCQA), 4,5-o-dicaffeoyl quinic acid (4,5-DCQA)와 linarin의 동시 정량분석법이 새로히 확립되었다. 시료를 20ml 메탄올로 4시간 추출하고 그 추출물을 Sep-Pak $C_18$ cartridge와 용출액으로 4 ml 메탄올-물(1:1)을 사용해서 분리, 정제하였다. HPLC 정량법으로 Bondapak $C_18$ 컬럼(30 cm ${\times}$ 3.9 mm i.d., 10 ${\mu}m$)과 이동상으로 메탄올 -5mM 인산수용액(30:70)의 기울기 용출방식이 사용되었다. 위 정량분석법을 이용해서 시중 구절초 중 그 함량범위는 CA에서 0.35~0.55%, 3,4-DCQA에서 0.46~0.76%, 4,5-DCQA에서 0.077~0.231% 및 linarin에서 0.16~2.72%이었다.

  • PDF

국산 홍차 및 스리랑카 홍차의 이화학적 성상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Black Tea and Sri-Lanka′s Teas)

  • 신애자;천석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3-57
    • /
    • 1988
  • 국산차 기술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국내산 및 스리랑카제품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산 홍차는 스리랑카 홍차에 비하여 섬유함량이 50% 높은 반면 탄닌 및 카페인함량은 크게 낮았다. 탄닌의 경우 3.5배, 카페인함량은 50%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회분, 조지방, 조단백질의 함량은 두 제품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2. 스리랑카 홍차에서는 P 3,000ppm, K 15,000ppm, Mg 1,400ppm, Ca 4,000ppm, Cu 22ppm, Cr 21ppm 및 Zn 45ppm으로 국산 홍차보다 높은 함량이었으며, 국산홍차에서는 F 225ppm, Mn 1,950ppm, Fe 265ppm, Sr 6ppm 및 Al 4,100ppm으로 스리랑카 홍차보다 높은 함량이었다. Pb와 Cd는 양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3. 국산 홍차에서는 6종류의 유기산이 분리·동정되었는데 quinic acid와 gall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스리랑카 홍차에서는 8종류의 유기산이 동정되었으며 shikimic acid, citric acid 및 quinic acid가 주요 유기산이었다. 4. Sucrose의 함량은 스리랑카 홍차보다 국산 홍차가 2.5배 높았다. 5. 홍차의 특수성분인 theaflavin, thearubigin, theobromine의 함량은 스리랑카 홍차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붉은대극의 페놀성 화합물 (Phenolic Compounds from Euphorbia ebracteolata)

  • 안병태;이경순
    • 생약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6-141
    • /
    • 1996
  • We have previously reported the isolation of nine hydrolisable tannins and five flavonoids from the aerial parts of Euphorbia ebracteolata. Further investigation about the same plant has led to the isolation of 5-O-caffeoyl quinic acid, kaempferol $3-O-(2'-O-galloyl-{\beta}-_D-glucoside)$ and euphorbin 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