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stionnaire categorization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미래융합인재 핵심역량에 대한 유통업 영업사원의 교육요구도 분석 (Educational Needs of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 in Core Competencies for Convergence)

  • 김은주;성명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6호
    • /
    • pp.77-84
    • /
    • 2018
  •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ducational needs of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 in core competencies for convergence and their general percep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Furtherm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on core competencies for convergence needed by them.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A survey was conducted on 104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 who worked near Seoul, Korea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heir educational needs in core competencies for converg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were gender, age, workplace size, education background, work experience and business categor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demographic factors (7 questions), general perception of convergence education (5 questions),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ore competency for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 (9 questions), and current perception of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 on core competency of convergence workers (9 questions). Park et al.(2014)'s categorization of convergence core competencies was used: Cognitive convergence (creative thinking, critical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convergence knowledge), convergence performance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s, collaboration and application of convergence tools) and attitude toward convergence (empathy and responsibili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independent sample of t-tests and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 in the core competencies of convergence education.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ubjects recognized the need for convergence education to be high among the general perceptions. The perception scores for workers of different backgrounds only vari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sines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needs analysis and the ranks of the required core competencies of convergence workers by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1. convergence knowledge understanding competency, 2.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3. convergence tool application competency, 3. communications competency, 4. problem solving competency, 5. collaboration competency, 6. critical thinking competency, 7. empathy competency, 8. responsibility competency. Conclusions -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university curriculum that can nurture the core competencies of conversion education reflecting distribution company salespeople's requests as well as cultivating qualified convergence workers required by distribution company workers.

과학 실험을 왜 할까? : 초등과학 영재아들이 생각하는 과학 실험의 목적 (Why do We do Science Experiments? :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ce Experiments)

  • 정용재;장명덕;김한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189-203
    • /
    • 2011
  •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ews of scientifically gifted children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The children's views were examined using a open-ended questionnaire survey. And then the responses from the children were analyzed with categorizati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s views about the purpose of scientists' experiments and school science experiments were classified to 2 top-level, 5 mid-level and 21 sub-level categori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considered internal values of doing experiments are more worthy than the social and personal usefulness of the experiments. Third, the gifted children mentioned most frequently that the purposes of the scientist experiment is 'to get the evidences for their theory and argument which is unusual in the regular children's views. Also the discovery of new phenomena and materials, and the generation of new theories and ideas were mentioned as purposes of the scientist experiments. Fourth, the students frequently stated that school science experiments support effective learning of science subject enhancing subject interests and better explanation/understanding. Fifth, relatively many students thought that the purposes of school science experiments are different with those of scientist experiment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study,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are discussed.

수정된 이원평가표를 이용한 품질속성의 분류에 관한 연구 (Classification of Quality Attributes Using Two-dimensional Evaluation Table)

  • 김광필;송해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41-55
    • /
    • 2018
  • For several decades, attribute classification methods using the asymmetrical relationship between an attribute performance and the satisfaction of that attribute have been explored by numerous researchers. In particular, the Kano model, which classifies quality attributes into 5 elements using simple questionnaire and two-dimensional evaluation table, has gained popularity: Attractive, One-dimensional, Must-be, Indifferent, and Reverse quality. As Kano's model is well accepted, many literatures have introduced categorization methods using the Kano's evaluation table at attribute level. However, they applied different terminologie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and this causes confusion and misunderstanding. Therefore, a criterion for quality classification at attribute level is necessary. This study is aimed to suggest a new attribute classification method that sub-categorizes quality attributes using 5-point ordinal point and Kano's two-dimensional evaluation table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For this,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intrinsic and extrinsic problems of the well-recognized Kano model that have been used for measuring customer satisfac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For empirical study, the author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results of Kano's model and the proposed method for an e-learning case (33 attributes).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is better in terms of ease of use and understanding of kano's results and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attractive quality theory that enables to understand both the customers explicit and implicit needs.

The Classification of Manufacturing Work Processes to Develop Functional Work Clothes - With a Reference to the Automobile, Machin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

  • Park, Ginah;Park, Hyewon;Bae, Hyunsook
    • 패션비즈니스
    • /
    • 제16권6호
    • /
    • pp.21-35
    • /
    • 2012
  • In consideration of the injuries and deaths occurring at manufacturing sites due to the use of inappropriate work clothes or safety devices,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manufacturing work processes to develop functional work clothes for heavy industries including the automobile, machin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in South Korea. Defining the features of the work environments and work postures of these industries provided for a categorization of the work processes which would enable the development of suitable work clothes for each work process' category.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s: Work process category 1, including steel panel pressing and auto body assembly, final inspection (in automobile) and inspection (in machine), requires work clothes with upper body and arm mobility and performance to protect from the toxic fume factor. Work process category 2, consisting of welding (in automobile), cutting-and-forming (in machine) and attachment-and-construction (in shipbuilding), requires clothing elasticity, durability and heat and fire resistance. Work process category 3 comprising welding and grinding in the machine and shipbuilding industries, requires work clothes' tear resistance and elasticity, particularly for lateral bending mobility, and work clothes' sleeves' and pants' hemlines with sealed designs to defend against iron filing penetration, as well as incombustible and heat-resistant material performance. Finally, work process category 4, including painting in machine and shipbuilding, requires work clothes with waterproofing, air permeability, thermal performance, elasticity, durability and abrasion resistance.

직장여성의 발레피트니스 수업 경험에 대한 미적 가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Aesthetic Value Recognition of Work Women's Ballet Fitness Class Experience)

  • 유은혜;조건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501-508
    • /
    • 2021
  • 이 연구는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직장여성들의 수업에 대한 미적 가치 인식에 대해 질적 분석하고 연구 참여자들의 의견에 따라 발레피트니스 수업이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한 방법 모색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지역 교육기관에서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직장여성 9명으로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였으며 인터뷰는 반구조화 형식의 질문지를 바탕으로 진행되었다. 이후 범주화 내용은 전문가 검토 및 동료 간의 검토로 도출되었다. 그 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레피트니스 수업을 통해 일상의 즐거움과 통증개선에 도움이 되었으며 발레공연 또한 관심 있게 보게 되었지만 수업에 관련한 정보제공이 미흡한 점은 개선되기를 바라며 불만을 표하였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발레피트니스 수업의 이점을 가족 및 주변 지인들에게 적극 알리고 있었으며 이 운동이 발레에 대한 어려운 이미지의 개선에도 도움이 되기를 바라였다. 이 연구를 토대로 발레피트니스 수업은 직장여성들에게 취미 운동으로 충분히 자리 잡을 수 있도록 기대하였다.

대학생들의 흡연 및 음주에 따른 목동맥 두께의 상관성 (Relationship of Thickness of Carotid Artery according to Smoking and Drinking in University Students)

  • 김대식;성현호;조은경;이종우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345-353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CIMT (목동맥 내막-중막 두께)와 흡연 습관, 음주 습관 및 두 가지 연관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CAGE (음주 관련: 절주, 비판에 대한 반감, 죄책감, 해장) 설문지, FTND (Fagerstrom Test for Nicotine Dependence) 설문지, 대학생들의 CIMT에 대하여 수행되었다. 세 군으로 분류 된 각 음주 수준에 따른 CIMT 결과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 FTND 흡연 분류에 따른 CIMT의 결과는 흡연 군이 비 흡연 군보다 높았다(P<0.01). 흡연과 음주는 좌우 CIMT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있었다(P<0.01). 음주의 위험만 있는 군에서 왼쪽 CIMT (19.84 순위)는 낮은 순위를 보였다. 왼쪽(42.38 순위)과 오른쪽(42.81 순위)의 CIMT는 흡연 위험만 있는 집단에서 높은 순서를 보였다(P<0.01). 이 연구 결과 흡연자와 음주자 사이의 평균 CIMT, 특히 흡연 상태가 높은 사람들 사이에 뚜렷한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 점이 있다. 첫째, 작은 연구 대상 두번째, 대상자가 어리고, 셋째, 흡연, 음주 및 CIMT에만 중점을 두었다. 결론적으로, 흡연은 젊은 성인에서 무증상 아테롬성 동맥 경화 위험인자에 대한 부작용과 CIMT를 현저하게 악화 시키며 젊은 성인에서 금연의 중요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중학생들의 전해질과 이온에 관련된 입자 개념 표현의 일관성 분석 (Analysis of Coher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ation of Particulate Concepts)

  • 윤회정;이윤하
    • 대한화학회지
    • /
    • 제58권6호
    • /
    • pp.580-589
    • /
    • 2014
  • 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개념은 맥락의 영향을 받기도 하며, 맥락과 관계없이 일관적으로 유지되기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들이 특정 내용 영역에서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살펴보고, 학생들의 입자 개념에 미치는 맥락의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이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할 때와 수용액 상태의 서로 다른 전해질이 혼합되어 고체 상태의 앙금을 형성하는 현상을 설명할 때 입자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알아볼 수 있도록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전해질과 이온' 단원의 수업이 끝난 후에 검사를 실행하고, 개발한 분류틀에 따라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체 상태와 수용액 상태의 전해질을 설명한 응답의 분석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입자 개념을 가지고 각각을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는 입자 개념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많은 학생들이 화학기호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약 57%의 학생들이 과학적 개념을 일관적으로 적용하여 수용액 상태의 입자에 대해 전해질과 앙금 생성 반응을 설명하였고, 비과학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을 모두 포함했을 때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한 학생들은 전체의 약 79%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이 여러 맥락에서 입자에 대한 과학적 개념을 습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기능성의류 인식에 따른 소비자 분류와 이에 따른 제품정보 및 행택 활용도 연구 (Consumer Categorization Based on Perception of Functional Jacket and their Utilization of Functional Information and Hang-tag)

  • 방기성;유신정
    • 감성과학
    • /
    • 제18권4호
    • /
    • pp.75-86
    • /
    • 2015
  • 본 연구는 기업과 소비자 간의 기능성 의류제품의 효과적인 정보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일련의 연구 중 일부로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과 행동양식에 따라 응답자를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시 활용하는 정보원과 행택에 대한 행동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설문조사는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 구매 경험이 있는 20~60대 남, 녀 4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기능성 아웃도어 재킷에 대한 인식은 '기능성', '가격', '경험/지식', '브랜드/디자인'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요인에 따라 응답자들은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 '고가제품 선호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인터넷을 정보를 가장 많이 활용하는 20대, 30대의 회사원과 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의 경우에는 행택(Hang-Tag)을 정보원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문직의 40대, 50대가 주를 이루었다. '고가제품 선호집단'은 60대 이상, 주부의 비율이 가장 높은 집단으로 판매원을 정보원으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정보제공에 사용된 용어에 대해 설명의 필요성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집단은 '전문적/기능성 중시집단'이었으며 성능정보 관심도가 떨어지는 '비전문적/브랜드 및 디자인 추구집단'은 오히려 상대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기능성 재킷 소비자 유형의 특징과 성능 정보에 대한 반응의 차이를 고찰함으로써 기능성 의류제품의 성능 정보 제공을 위한 효과적인 방법과 내용에 대한 실질적이고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valuation and Categorization of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ion Formulas

  • Dong-Yeon Kim;Hee-Jae Suh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729-738
    • /
    • 1998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ypes of enteral nutrition formulas currently used in hospitals and evaluate and categorize the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ion formulas formulas available in the domestic market, we asked dietitians working in 6 hospitals in Seoul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and obtained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12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ion formulas. The average proportion of patients receiving the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ion formulas(60.6%) was greater than that of patients receiving the in-hospital preparations(31.9%). In the group of patients receiving the in-hospital prepared formulas, the enteral feeding was mainly administered orally, whereas, in the group of patients receiving the commercially prepared formulas, tube feeding was the primary route of formula administration. In both groups, however, a greater proportion of patients received the formulas as total replacements of their meals and for the purpose of dietary supplementation. On the basis of major criteria for evaluation of the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ion formulas, the 6 products out of the 9 nutritionally complete products formulated for the purpose of dietary supplementation were grouped into the same category(standard protein, caloric density of 1kcal/ml, and tube/oral), so they were considered therapeutically comparable. However, the remaining 3 products were different in protein content(high protein) or route of administration(tube only). Of the 3 nutritionally complete products formulated specifically for the purpose of dietary therapy, 2 products were formulated for patients with renal disease, and the one product was formulated for diabetic patients. Therefore, the data in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on formulas became an important part of the enteral nutrition for hospitalized patients in Korea, but the domestic market has not yet generated a wide variety of the formulas, not providing many choices for clinicians to manage the diets for their pat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clinicians in choosing appropriate products for their patients, for manufactures in developing new products, and for regulatory authorities to establish the regulation for the broad group of heterogeneous products that are marketed and will be developed as medical foods. In addition, the process of maintaining the categories for evaluation of the commercially prepared enteral nutrition formulas should be dynamic because new products may not reasonably fit any of the existing categories.

  • PDF

신장의 사춘기 성장 동안 초경 발생 시기와 성장 곡선의 형태에 관한 연구 (Menarcheal timing and growth curve shape during the adolescent growth spurt)

  • 안용수;이기수;남종현;강윤구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59-167
    • /
    • 2009
  • 이 연구는 만 7세부터 17세까지의 신장의 누년적 변화를 통해서 사춘기 최대 성장기와 초경 발생 시기와의 관계를 평가하고, 성장 곡선의 형태에 따라 성장 곡선을 분류하여 각 형태별 특징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경기도 화성에 있는 삼괴 고등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 96명의 생활기록부에 기재되어 있는 신장의 누년적인 자료가 이용되었으며, 초경 시기와 전신적 질환 유무는 설문지를 통해 조사되었다. 사춘기 성장 가속기는 9.9세에 시작하여 11.6세에 최대 성장기를 이루고 14.1세경에 끝났다. 초경은 12.6세에 일어나며 76.1%는 최대 성장기 이후에 나타나고 최대 성장기와는 1년의 차이를 보인다. 10.4%에서 최대 성장기 전에 초경이 나타났고 13.5%에서는 최대 성장기와 동일한 시점에 나타났다. 초경 시기와 관계없이 사춘기 성장 가속 기간은 4.2년으로 일정하게 나타난다. 성장 곡선을 4가지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A형은 51.1%, B형은 21.9%, C형은 20.8%, D형은 6.2%의 분포를 보인다. C형의 성장 가속기간이 가장 길게 나타난다. B형과 C형에서 PHV가 두 개인 경우는 B형과 C형의 58.5%인 24명에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개개인의 성장 양상은 개인차가 크며 초경뿐만 아니라 누년적인 성장을 참고로 하여 onset의 정확한 시기와 성장 곡선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면 남은 성장 기간 예측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