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us mongolica

검색결과 874건 처리시간 0.025초

경기도 광주시 태화산 신갈나무림의 생산구조와 생산성 (Productive Structure and Net Production of Quercus mongolica forest in Mt. Taehwa (Kwangju, Kyonggi-do))

  • 손석용;권기철;정택상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76-82
    • /
    • 2002
  •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 서울대학교 중부연습림내 30년생 신갈나무 순림의 생산력을 조사하였다. 8본의 표본목을 흉고직경급별로 벌목하여, 각 층별 및 부위별 중량을 측정하고 생산구조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갈나무의 광합성 부는 지상부 4m부터 시작되며, 수관의 최대광합성부는 10m를 전후해서 나타났다. (2) 지상부의 현존량은 줄기 51.262ton/ha(75.5%), 가지 13.148ton/ha(19.4%), 잎 3.476ton/ha (5.1%), 그리고 지상부 전체 건중량 67.88ton/ha로 나타났다. (3) 신갈나무 단순림의 연순생산량은 수간 5.624ton/ha/yr(44.07%), 가지 3.663ton/ha/yr (28.70%), 잎 3.4.76ton/ha/yr(27.23%), Wt 12.763ton/ha/yr로 나타났으며, 특히 가지와 잎의 비율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복계산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Mt. Bokgyesan)

  • 강상수;백원기;이우철;장근정;유기억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8-226
    • /
    • 2006
  • 복계산 일대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80과 250속 350종 51변종 9품종으로 총 410종류가 자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410 분류군 중 한국특산식물은 특산속인 금강초롱꽃속을 포함하여 총 15종류였으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도 63분류군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귀화식물은 6과 10속 11종 1변종으로 총 12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생활형조성은 H-D4-R5-e type을 보였고,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자원이 49.8%로 가장 높았고, 목초용(38.3%), 약용(33.2%) 및 관상용(11.2%)의 순으로 나타났다. 복계산의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군(Quercetalia mongolicae community group)으로 대표되며, 하위군락으로는 소나무-신갈나무군락(Pinus densiflora-Quercus mongolica community), 박달나무-신갈나무군락(Betula schmidtii-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전형군락(typical community)이 형성되어 있고, 남서쪽 계곡으로는 가래나무군락(Juglans mandshurica community)이 분포하였다.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Communities by Cluster Analysis in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 Chung, Sang-Hoon;Kim, Ji-Hong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5호
    • /
    • pp.736-743
    • /
    • 2010
  • This study examined the ecological attributes of classified forest community by cluster analysis in the mixed forest of Mt. Seokbyung Experimental Forest of Gangwon-Do. The vegetation data were collected in randomly established 51 sample plots (2.04 ha) and analysis adopted the cluster analysis, importance value index, and Shannon's diversity index.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4 clusters (A, B, C and D). 2) The cluster A was dominated by Pinus densiflora with an importance value of 71.6%.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cluster B and cluster C were Larix leptolepis (57.1%) and Quercus mongolica (40.2%), respectively. Finally, The cluster D was dominated by P. densiflora (30.6%) and Q. mongolica (31.0%) with the mixed forest. 3) In the P. densiflora community (cluster A), distribution of DBH class showed a reverse J-shaped curve. In the L. leptolepis community (cluster B), individuals of dominant species had the bell-shaped distribution. Oak species indicated uniform distribution of DBH class (under 25 cm) in the mixed P.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cluster D). 4)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communities in descending order were: Pinus densiflora - Q. mongolica community > Larix leptolepis community > Pinus densiflora community > Quercus mongolica communit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in artificial hybrids of Quercus alien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hybrids

  • Lee, Jeong-Ho;Kang, Kyu-Suk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6-272
    • /
    • 2009
  •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ves, trichomes and acorns were investigated in 6-year-old artificial hybrids of Q. alien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and Q. serrat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Leaf shapes of Q. alien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F_{1}$ were obovate and resembled to that of Q. aliena. But several characters including the size of leaf and petiole and the shape of leaf bas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In F1 hybrid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on the abaxial surface and their lay length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characters of nuts and cupules between both parents and $F_{1}$ hybrids. Leaf shapes of Q. serrata ${\times}$ Q. mongolica var. crispula $F_{1}$ were obovate-elliptic, and the leaf shape and leaf base and the length of petiole resembled to those of Q. mongolica var. crispula, but leaf size and serration resembled to those of Q. serrata. The number of serration in a leaf was intermediate between both parents. Small stellate hairs distributed sparsely and large single hairs were mixed on the reverse side of leaves. there were no big differences on the number and size of stellate hairs between $F_{1}$ hybrid and Q. serrata. It is able to distinguish $F_{1}$ hybrids from both parents by the size leaf size and shapes, leaf base and serration, petiole length and trichome type in the leaf.

강원도 대관령 목장 현존식생 및 식물군집구조 (Actual Vegetation and Structure of Plant Community in Daegwallyeong Ranch, Gangwon-do (Province))

  • 노태환;한봉호;김종엽;이민영;유기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79-591
    • /
    • 2013
  • 본 연구는 온대 북부 기후대에 위치한 강원도 대관령 목장 산림생태계의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 천이계열 특성과 보전가치를 밝히고, 향후 복원 및 관리계획 수립 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현존식생은 총 56개 유형으로 분류되었고, 조사면적 $19,397,361m^2$ 중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지역은 $7,669,593m^2$(39.1%), 1차 초지 지역은 $4,785,417m^2$(24.7%),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이 우점하는 지역은 $2,182,276m^2$(11.3%)이었다. 조사구는 $20m{\times}20m$($400m^2$) 28개소를 설정하였으며, DCA분석 결과 군집 I(소나무-신갈나무군집), 군집 II(신갈나무-소나무군집), 군집 III(신갈나무군집), 군집 IV(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군집 V(낙엽활엽수군집), 군집 VI(팥배나무군집) 등 6개의 식물군집으로 분류되었다. 표본목 수령은 군집 I은 57~62년생, 군집 II는 41~77년생, 군집 III은 47~108년생, 군집 IV는 47~82년생, 군집 V는 47년생, 군집 VI은 55년생으로 전체적으로 41~108년생이었다. 대관령 목장의 생태적 천이는 소나무군집에서 신갈나무군집으로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계곡부를 중심으로 낙엽활엽수군집도 분포하고 있었다. 단위면적 $400m^2$당 샤논의 종다양도지수를 분석한 결과, 군집 IV(0.8203~1.1439) ${\rightarrow}$ 군집 III(0.8019~1.1375) ${\rightarrow}$ 군집 V(1.0993) ${\rightarrow}$ 군집 I(0.9475~1.0797) ${\rightarrow}$ 군집 II(0.6896~1.0324) ${\rightarrow}$ 군집 VI(0.9909) 순으로 높았다.

계룡산 국립공원 산림생태계의 탄소축적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Estimation of Forest Ecosystem Carbon Storage in Gyeryongsan National Park, Korea)

  • 장지혜;이준석;정지선;송태영;이경재;서상욱;이재석
    • 생태와환경
    • /
    • 제47권4호
    • /
    • pp.319-327
    • /
    • 2014
  • 지역적 규모의 탄소 축적량 자료는 지역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의 이해를 위한 필수적 요소이며 지구적 규모의 탄소순환 형태 변화를 예측하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된다.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생태계 중 자연성이 높은 국립공원지역 산림 생태계의 탄소축적량을 산정하여 자연군락이 축적 가능한 탄소축적 잠재량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지인 계룡산 국립공원은 신갈나무류군락 1,743.5 ha (38.0%), 굴참나무류군락 1,174.0 ha (25.6%), 졸참나무류군락 971.90 ha (21.2%), 소나무류군락 695.19 ha (15.2%) 등의 순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이들 군락의 분포 중심으로 판단되는 지점에 정밀 조사구를 설치하여 biomass 탄소축적량 측정을 위해 매목조사를 실시하였고, 리터층 및 토양층의 탄소축적량은 조사구 내 소방형구($30cm{\times}30cm$)를 설치, 리터와 토양 (0~30 cm)을 채취하여 측정된 리터 건중량 및 토양 유기물함량을 기초로 단위 탄소값을 구한 후 해당 군락의 총 면적으로 환산하여 산정하였다. 임목 biomass 탄소축적량은 굴참나무군락이 $130.1tCha^{-1}$, 소나무군락 $111.1tCha^{-1}$, 신갈나무군락 $76.2tCha^{-1}$, 졸참나무군락 $39.0tCha^{-1}$ 순으로 산정되었다. 리터층 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18.3tCha^{-1}$, 신갈나무군락 $13.4tCha^{-1}$, 졸참나무군락 $5.8tCha^{-1}$, 굴참나무군락 $5.0tCha^{-1}$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군락이 $159.7tCha^{-1}$, 졸참나무군락 $121.0tCha^{-1}$, 소나무군락 $110.5tCha^{-1}$, 굴참나무군락 $90.8tCha^{-1}$의 순으로 산정되었다. 생태계탄소축적량은 소나무군락이 $239.9tCha^{-1}$, 신갈나무군락이 $235.9tCha^{-1}$, 굴참나무군락은 $226.0tCha^{-1}$, 졸참나무군락은 $165.9tCha^{-1}$를 나타냈고 총 $867.7tCha^{-1}$로 나타났다. 각 군락의 면적 별 탄소축적량은 신갈나무가 우점하는 신갈나무류군락에서 $411,200tCha^{-1}$, 굴참나무군락에서 $265,300tCha^{-1}$, 소나무군락에서 $166,800tCha^{-1}$, 졸참나무군락에서 $161,200tCha^{-1}$로 계룡산 국립공원에서 총 $1,045,400tCha^{-1}$로 산정되었다. 계룡산 국립공원의 생태계탄소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탄소축적량은 분포하고 있는 식생군락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으며, 이는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것이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라 식생의 분포 유형 및 종류가 변하게 되면, 생태계 탄소축적량도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한 한반도의 변화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참나무류 4개 수종의 맹아발생력 및 맹아생장량 -경기도 광주지방 신갈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떡갈나무 천연임분을 대상으로- (Sprouting and Sprout Growth of four Quercus Species -At Natural Stands of Querucs mongolica, Q. variabilis, Q. acutissima and Q. dentata Growing at Kwangju-Gun, Kyonggi-Do-)

  • 이돈구;권기철;김영환;김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19권2호
    • /
    • pp.61-68
    • /
    • 2000
  •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에서 신갈나무, 갈참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등 4개 참나무류 임분에 대해 1995년도 벌채후 맹아지 발생량과 생장량을 1996년과 2000년에 측정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⑴ 벌채후 참나무류 4개 수종의 맹아발생력은 신갈나무>굴참나무>떡갈나무>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⑵ 계절별로 겨울-초봄에 벌채하였을 참나무류 4수종 모두에서 맹아지수가 가장 많고 생장량도 가장 크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여름철에 가장 맹아발생력이 낮게 나타났다. ⑶ 참나무류중 맹아의 초기 직경생장량이 가장 큰 것은 상수리나무이며, 그 다음으로 신갈나무, 떡갈나무, 굴참나무 순이었으나, 5년후에는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⑷ 맹아의 수고생장량은 벌목 2년후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순에서 5년후 굴참나무, 신갈나무, 떡갈나무, 상수리나무 순으로 나타났다. ⑸ 굴참나무와 상수리나무는 경쟁에 의해 고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맹아갱신을 성공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무육관리가 필요하다. ⑹ 참나무류에서 벌근직경에 따른 맹아발생은 임령에 관계없이 벌근경이 커짐에 따라 맹아력은 점차 감소되는 반면 맹아의 직경이 커지는 경향을 보인다.

  • PDF

Litterfall과 토양호흡 측정에 의한 신갈나무 천연림의 지하부 탄소 분배 (Belowground Carbon Allocation of Natural Quercus mongolica Forests Estimated from Litterfall and Soil Respiration Measurements)

  • 이명종;손요환;진현오;박인협;김동엽;김용석;신동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27-234
    • /
    • 2005
  • From published data of mature forests worldwide, Raich and Nadelhoffer suggested that total belowground carbon allocation (TBCA) could be estimated from the difference between annual rates of soil respiration and aboveground litterfall. Here we analyze new measurements of IRGA-based soil respiration and litterfall of natural mature oak forests dominated by Quercus mongolica in Korea. Rates of in situ soil respiration and aboveground litter production are highly and positively correlated. Our results disagree with the Raich and Nadelhoffer model far world forests. A regression analysis of the data from Q. mongolica forests produced the following relationship: annual soil respiration : 141 + 2.08 ${\times}$ annual litterfall. The least squares regression line has a more gentle slope (2.08) than the slope (2.92) described by Raich and Nedelhoffer for mature forests worldwide. The regression slope of our study indicates that, on average, soil respiration is about two times the aboveground litterfall-C, which further implies that TBCA is similar with annual aboveground litterfall-C at natural Q. mongolica forests in Korea. The non-zero Y-intercept (141) of the regression indicates that TBCA may be greater than litterfall-C where litterfall rate are relativery low. Over a gradient of litterfall-C ranging from 200-370 g C $m^{-2}yr^{-l}$, TBCA increased from 350-530 g C $m^{-2}yr^{-l}$.

수도권지역의 신갈나무군집 복원모형 (Restoration Model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the Case of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 강현경;방광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1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urban plant community and suggest restoration model of Quercus mongolica in the case of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The investigation areas were selected from urban area of Mt. Nam at Chung-Gu, suburban areas of Mt. Bong at Eunpyoung-GU, Mt. Sungju at Buchon City and non-urban areas of Mt. Suri at Kunpu City and Mt. Chonma t namyangju-City. After the main study field had been classified into the evaluation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odeling of the vegetation. We analyz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forest structure -- successional stage, naturalness, multi-layer structure of the forest and species diversity, and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s. We have proposed vegetation restoration model based on the selection of proper plants, the number of individuals, diameter short area of breast height, the shortest distance between plants in non-urban area. As for successional stage, It was judged that the ecological succession may not be followed like the present stage of the surveyed areas in urban, suburban and non-ruban areas. As for the retention of naturalness and multi-layer structures of vegetation, In Quercus mongolica community, Robinia pseudo-acacia and Ailanthus altissima occurred in each layers at Mt. Nam, Mt. Bong and Mt. Sungju, and Eupatorium rugosum occurred in herbaceous layer at Mt. Nam. Consequently, the ecological restoration plan following the structure of the vegetation in Mt. Chonma seemed to be advisable in Q. mongolica community, there were less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in urban areas than those of non-urban areas. Planting of trees following the simulated native plant community of non-urban areas seemed to be required to promote the plants in urban areas. Considering the number of individuals up to three layers in each 400$m^2$ area, it was composed of twenty nine in canopy layer, forth nine in understory layer, 367 in shrub layer and 33.7% herbaceous ground cover in the Q.mongolica community. The suggested restoration model in this study is nan applicable model for the introduction in the cities, and this study shows that continuous experiments and field investigation on this model should be performed in the future.

  • PDF

신갈나무의 부후에 관여하는 곰팡이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Decay of Quercus mongolica)

  • HAM, Youngseok;AN, Ji-Eun;LEE, Soo Min;CHUNG, Sang-Hoon;KIM, Sun Hee;PARK, Mi-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3호
    • /
    • pp.234-253
    • /
    • 2021
  • 신갈나무는 국내 전역에 두루 분포되어 있는 경제, 산업적으로 활용 가치가 큰 수종이지만, 변색, 부후 등의 열화에 의한 피해가 심각하다. 이러한 이유로 신갈나무의 부후는 목재로써의 활용에 걸림돌이 되나, 부후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갈나무 부후에 영향하는 요인으로 곰팡이에 주목하였으며, 신갈나무의 부후 부위로부터 곰팡이를 분리, 동정하였다. 또한, 동정 된 곰팡이가 실제로 목재 열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기 위해 효소 활성을 평가하고, 곰팡이를 처리한 신갈나무 목재의 질량 손실을 목재 부후 실험을 통해 측정하였다. 신갈나무에서 분리된 곰팡이 5종의 genomic DNA의 ITS region을 이용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Mucoromycota phylum에 속하는 Mucor circinelloides, Cunninghamella elegans, 그리고 Umbelopsis isabellina 3종과 Ascomycota phylum에 속하는 Ophiostoma piceae와 Aureobasidium melanogenum 2종의 곰팡이가 동정되었다. 이러한 5종의 곰팡이는 목재의 부후와 관련된 cellulase나 laccase와 같은 효소 활성이 있으며, 실제로 신갈나무의 심재와 변재의 중량을 감소시켰다. 특히, cellulase와 laccase 활성을 모두 보유한 O. piceae와 A. melanogenum는 신갈나무의 중량을 각각 6.9%와 1.5%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동정된 5종의 곰팡이가 신갈나무의 열화에 영향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신갈나무에 대한 목재 부후균으로써의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