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rcetin 4%27-glucosid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LC/MS에 의한 퉁퉁마디의 Flavonoids 정량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from Salicomia herbacea L. Extracst by LC-MS)

  • 김하송;윤영승;조재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31-237
    • /
    • 2008
  • 본 연구는 염전에서 자라고 있는 퉁퉁마디를 채집하여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LC/MS로 정량하였다. 퉁퉁마디 분말에서 flavonol계 물질인 quercetin (124.43 ppm), rutin (2.57 ppm), quercetin-3-${\beta}$-glucoside (3992.49 ppm), quercetin-3',4'-glucoside(0.08 ppm) 그리고 isorhamnetin (27.81 ppm)이 검출되었다. 특히 quercetin-3-${\beta}$-glucoside가 차지하는 비중은 건초에서 99%, 분말에서 96%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염생식물인 퉁퉁마디가 항산화제로서의 높은 기능성 물질 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굴피나무잎으로부터 항암활성을 갖는 천연물질의 분리 (Isolation of Anticancer Agents from the Leaves of 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 김양일;조태순;이승호
    • 생약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38-245
    • /
    • 1996
  • The activity guided fractionation of $CH_2Cl_2$ soluble part of Platycarya strobilacea leaves(Juglandaceae) has led to the isolation of eight active principles, identified as 5-hydroxy-2-methoxy-1,4-naphthoquinone(1), ursolic acid(2), gallic acid(3), 4,8-dihydroxynaphthalene $1-O-{\beta}-_D-glucoside(4)$, eriodictyol(5), quercetin $3-O-(2'-O-galloyl)-{\beta}-_D-glucoside(6)$. quercetin $3-O-(2'-O-galloyl)-{\beta}-_D-galactoside(7)$ and quercetin $3-O-{\alpha}-_L-rhamnoside(8)$ by the means of chemical and spectral evidence, respectively.

  • PDF

쇠뜨기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연구(II) (Component Analysis and Study on Anti-elastase Activity of Equisetum arvense Extracts(I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9-144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결과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성분 분석과 elastase 저해활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쇠뜨기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 및 HPLC 실험에서 각각 4개의 띠와 피이크로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4가지 성분은 luteol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9.12%, 12.87%, 15.81%, 52.20%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쇠뜨기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7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은 8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8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kaempferol-3,7-O-diglucoside(조성비, 15.74%), luteolin-5-O-glucoside(galuteolin, 11.91), apigenin-5-O-glucoside(12.91), kaempferol-3-O-glucoside(astragalin, 27.94), quercetin-glycoside (10.81, 구조 미확인), kaempferol-glycoside(12.33, 구조 미확인), luteolin(3.72) 및 apigenin(4.62)으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9.8 ${\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ethylacete 분획(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은 elastase 저해 활성이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이미 보고된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쇠뜨기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Antioxidant Caffeic acid Derivatives from Leaves of Parthenocissus tricuspidata

  • Saleem, Muhammad;Kim, Hyoung-Ja;Jin, Changbae;Lee, Yong-Sup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7권3호
    • /
    • pp.300-304
    • /
    • 2004
  • Five caffeic acid derivatives; methyl ester of caffeoylglycolic acid (1), dimethyl ester of caffeoyltartaric acid (2), dimethyl ester of caffeoyltartronic acid (3), monomethyl ester of caffeoyltartronic acid (4), methyl ester of caffeic acid (5), and some other secondary metabolites including; quercetin, quercetin 3-O-$\beta$-D-glucuronide methyl ester, kaempferol, 3,5,7,4'-O-tetramethylkaempferol, $\beta$-sitosterol glucoside, 2$\alpha$-hydroxyursolic acid and 2,24-dihydroxyursolic acid, have been isolated and characterized. All the isolated compound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help of NMR spectroscopy and mass spectrometry. Structure of compound 3 was also confirmed by a single X-ray crystallographic technique. Isolates were evaluat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and most of the tested compounds were found to be potent in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IC_{50}{\;}={\;}4.56-14.17{\;}{\mu\textrm{g}}/mL$) and superoxide anion scavenging ($IC_{50}{\;}={\;}0.58-7.39{\;}{\mu\textrm{g}}/mL$) ass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