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ruvic acid.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4초

양파의 부위에 따른 pyruvic acid 함량 (Pyruvic Acid Content according to Different Portions in Onion(Allium cepa L.))

  • 이은주;서전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2-86
    • /
    • 2009
  • 양파 구의 부위 및 크기에 따른 pyruvic acid 함량과 양파 식물체의 구, 엽초, 엽 및 엽서에 따른 부위별 pyruvic acid와 당 함량을 분석하여 변화양상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파구의 하부에서 pyruv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상부였으며 중간부분의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인편에 따라서는 외피로부터 2번째 인편에서 가장 낮았으며 3번째 인편부터는 구의 내부로 갈수록 pyruvic acid 함량이 증가하였다. 생육기간 경과에 따른 구, 엽초부 및 엽의 pyruvic acid 함량은 구비대 초기에는 구에 비해 엽과 엽초부의 pyruvic acid 함량이 더 높았으나 수확기에 이르러서는 구의 pyruvic acid 함량은 다소 증가하였지만 엽과 엽초부는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총당 함량은 구비대 초기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구가 비대되면서 구의 총당 함량은 큰 폭으로 증가하였고, 엽과 엽초부는 감소하였다. 그리고 엽서에 따라서는 바깥쪽의 오래된 잎에서 pyruvic acid와 총당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내부의 어린잎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형광세균 Beneckea sp.에 의한 Pyruvic Acid의 생산 (Production of Pyruvic Acid by Luminescent Bacterium Beneckea sp.)

  • 이왕식;방원기;김정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5-270
    • /
    • 1984
  • 신선한 생선에서 분리한 형광세균들 중에서, glucose로부터 pyruvic acid생산능이 가장 좋은 균주 BL-1980을 선별하여, Beneckea sp.로 동정하였다. Glucose로부터 pyruvic acid생산을 위한 배양 최적조건이 검토되었으며, pH 7.0, 배양온도 28$^{\circ}C$에서 60시간 진탕배양하였을때 10.6g/L의 pyruvic acid가 생산되었다. 또한. 이때 사용한 3 %의 glucose로부터 pyruvic acid로의 전환율은 35.33%이었다.

  • PDF

Pyruvic Acid 생산 미생물과 연결된 Pyruvic Acid의 Tryptophan으로의 효소적 전환 (Enzymatic Conversion of Pyruvic Acid to Tryptophan tinted to Pyruvic Acid-Producing Microorganism)

  • 정남현;방원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334-339
    • /
    • 1987
  • Pyruvic acid 생산 미생물로부터 얻어진 pyruvic acid의 tryptophan으로의 효소적 전환을 조사하였다. 발광 미생물인 Beneckea sp.가 pyruvic acid의 생산에 사용되었다. pyruvic acid, indole과 ammonia로 부터 tryptophan을 합성하는 tryptophanase의 효소원으로 Enterobacter aerogenes ATCC10031의 균체가 반응용액에 직접 사용되었다. Tryptophan의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비 수용성 유기용매가 indole의 저장소로 사용되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경우 triton X-100은 매우 효과적이였다. 1.5%의 triton X-100 이 사용되었을 때, 37$^{\circ}C$에서 48시간 동안에 7.7g/$\ell$의 tryptophan이 생산되었다. 비수용성 유기용매의 경우 10%의 benzene이 사용되었을 때, 37$^{\circ}C$에서 48시간 동안에 8.7g/$\ell$의 tryptophan이 생산되었다. 이 tryptophan의 양은 indole과 pyruvic acid를 기준으로 각각 48%와 36%의 전환율에 해당한다.

  • PDF

다당류 메틸란의 산 성분 함량에 따른 점도의 변화 (Viscosity Change of Polysaccharide, Methylan by Acids Content)

  • 김상용;김정회;오덕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51-1157
    • /
    • 1997
  • 정제된 다당류 메틸란을 여러 가지 화학 방법에 의해서 분석한 결과 79%의 당이 존재하였고 6%의 단백질과 16%의 유기산이 존재하였다. 배양시간이 증가함 따라 pyruvic acid와 uronic acid 같은 산의 함량이 34시간의 10%에서 72시간에서는 17%까지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점도도 증가하였다 메틸란 내의 산의 함량이 점도에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어 주요 유기산인 uronic acid와 pyruvic acid의 함량과 점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생물학적 및 과학적 변형을 통하여 pyruvic acid의 함량이 변화된 메틸란을 이용하여 pyruvic acid의 함량과 점도와 관계를 조사하였다. Pyruvic acid함량이 증가할수록 겉보기 점도와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고 pyruvic acid의 함량이 1% 증가할 경우 약 290 cp의 겉보기 점도와 약 6 dL/g의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다. 생물학적 및 화학적 변형을 통하여 uronic acid의 함량이 변화된 다당류에서 uronic acid 함량과 점도와 관세를 살펴보았다. 메틸란 내의 uronic aci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여 uronic acid의 함량이 1% 증가할 경우 약 85 cp의 겉보기 점도와 약 1.5 dL/g의 고유 점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메틸란의 점도 증가는 다당류 내의 유기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고 메밀란의 점도 증가는 uronic acid보다 pyruvic acid에 더 기인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yruvic Acid의 분광학적 정량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Pyruvic Acid)

  • 최윤수;조경열;석경순
    • 약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7-123
    • /
    • 1985
  • A clorimetric determination method of pyruvic acid using hydroxylamine was studied. Hydroxylamine was reacted with pyruvic acid to form complex compound in the presence of Cu(II) ion. Optimal condition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re investigated and the structure of complex was examined spectrometrically. The molar ratio (2:1) and the stability constant ($1.88{\times}10^{4}$) of the complex were measured. It was th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is method that the commonly encountered interfering substances such as fructose, glucose and lactic acid do not infuence the measurement of pyruvic acid.

  • PDF

양파재배 시 보광정도에 따른 pyruvic acid와 당 함량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in Different Lighting Intensity on Pyruvic Acid and Sugar Content in Onion(Allium cepa L.))

  • 이은주;전재경;서전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66-272
    • /
    • 2008
  • 광조건을 달리하였을 때 양파의 pyruvic acid와 당함량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처리에 따른 양파의 수확 시 생육과 pyruvic acid 및 당 함량을 비교해 본 결과, 무처리구에 비해 보광처리구가 생육이 좋았으며 pyruvic acid 함량은 낮고 당 함량은 높았다. 품종 및 보광정도에 따른 수확 시 생육은 조생종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좋았으나 만생종은 $12{\mu}mol{\cdot}m^{-2}{\cdot}s^{-1}$ PAR 이상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pyruvic acid와 당 함량은 조생종에 비해 만생종이 훨씬 높았다. Pyruvic acid 함량은 조생종은 $24{\mu}mol{\cdot}m^{-2}{\cdot}s^{-1}$ PAR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만생종은 $12{\mu}mol{\cdot}m^{-2}{\cdot}s^{-1}$ PAR 이상의 처리구에서 차이가 없었다. 당 함량은 조생종은 $18{\mu}mol{\cdot}m^{-2}{\cdot}s^{-1}$ PAR 이상의 처리에서, 만생종은 $12{\mu}mol{\cdot}m^{-2}{\cdot}s^{-1}$ PAR 이상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단 양파 육종을 위한 개체선발에 있어 지향하는 지표는 pyruvic acid 함량이 낮으면서 감미도가 높은 개체를 선발하는 것인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조생종 품종은 $18{\mu}mol{\cdot}m^{-2}{\cdot}s^{-1}$ PAR 이상으로 보광처리를 해주고 만생종 품종은 $12{\mu}mol{\cdot}m^{-2}{\cdot}s^{-1}$ PAR 이상으로 보광처리를 해 주게 되면 총당 함량에 대한 pyruvic acid 함량(PA/TS rate) 비율이 낮아지므로 단 양파 생산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양파 저장 중의 Pyruvic Acid와 당 함량의 변화 (Pyruvic Acid and Sugar Contents during Storage Duration in Onion (Allium cepa L.))

  • 이은주;전재경;서전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77-381
    • /
    • 2010
  • 본 연구는 저장 기간 중 양파 구의 pyruvic acid와 당 함량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저장 중의 pyruvic acid 함량은 저장 3개월까지는 큰 변화가 없었으나 저장 120일경부터 발근이 시작되면서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맹아기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그와 대조적으로 건물함량은 저장 기간 동안 큰 변화가 없었다. Sucrose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다가 맹아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Fructose 함량은 저장 45일째 이후로 서서히 감소하여 맹아기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Glucose 함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저장기간 중 총당(TS) 함량에 대한 pyruvic acid(PA) 함량 비율(PA/TS ratio)은 수확시에 비해 저장 한 달 이후부터 감소하였으며, 이 후 내부맹아가 관찰되는 135일째부터 급격하게 증가하여 저장 150일에는 수확시에 비해 83% 정도 증가하였다. 저장기간 중 감미도는 저장 한 달 까지는 서서히 감소하였으나 그 이후 증가하였고, 저장기간 중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단 양파 선발은 휴면이 타파되기 전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분질원료(澱粉質原料)를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정량(有機酸定量)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of Kochuzang prepared from various Starch Sources)

  • 이택수;박성오;이명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0-125
    • /
    • 1981
  • 전분질원(澱粉質原料)의 종류를 달리하여 양조(釀造)한 3개월 숙성의 찹쌀, 보리쌀, 밀가루, 고구마의 각고추장을 시료로하여 gas chramatography에 의하여 유기산을 분석한 결과 고추장중의 유기산으로 lactic acid, glycolic acid, pyruvic acid, succinic and fum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 citric acid가 모든 시험고추장에서 분리되었고 oxalic acid는 고구마 고추장에서만 검출 되었다. 시험고추장 모두 pyroglutamic acid, pyruvic acid, citric acid가 양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밀가루 고추장에서는 이들 함량이 타 고추장에 비하여 다소 적게 나타났다. succinic과 fumaric acid의 함량은 고구마 고추장에서 가장 많았고 보리쌀 고추장이 가장 적었다.

  • PDF

Biosynthesis of Indole-3-acetic Acid in Ginseng Growth-promoting Pseudomonas fluorescens KGPP 207

  • Leonid, N.Ten;Lee, Mee-Kyoung;Lee, Mi Ja;Park, Hoo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3권4호
    • /
    • pp.269-272
    • /
    • 2000
  • The ginseng growth-promoting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KGPP 207 synthesized indole-3- acetic acid (IAA) from L-tryptophan, indole-3-pyruvic acid (IPyA), and indole-3-acetaldehyde (IAAld), but not from indole-3-acetamide (lAM) and other intermediates of various IAA biosynthetic pathways in the experiment with indole compound supplemented cell suspensions. TLC, HPLC, and GC-MS analyses revealed the presence of IPyA, indole-3-ethanol, indole-3-lactic acid and its methyl ester, IAA and its methyl, and ethyl esters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the bacterium. IAAld was detected in the supernatant using sodium bisulfite and TLC. The results indicate that unlike gall-forming bacteria which can synthesize IAA by lAM, the indole-3-pyruvic acid pathway is the route for IAA biosynthesis in this beneficial strain of P. fluorescens.

  • PDF

DL-Aminoalkyl Phosphonic Acid와 그 유도체들의 합성 (제3보) (Synthesis of DL-Aminoalkyl Phosphonic Acids and Their Derivatives (III))

  • 노만균;김용준
    • 대한화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6-141
    • /
    • 1973
  • Curtius reaction을 이용하여 pentanoic acid로부터 DL-1-aminobutylphosphonic acid를 합성하였고, pyruvic acid 로부터 DL-2-carboxyethylphosphonic acid를 합성하였다. 아직 발표된 바 없는 이들의 N-acyl유도체들을 Schotten Bauman방법 등으로 합성하였다. 그 화합물들은 다음과 같다. N-acetyl-DL-1-aminobutylphosphonic acid N-benzoyl-DL-1-aminobutylphosphonic acid N-benzoyl-DL-2-amino-2-carboxyethylphosphonic acid N-p-chlorobenzoyl-DL-2-amino-2-carboxyethylphosphonic acid. 이 유도체들은 원소분석, I${\cdot}$R spectra, ninhydrin test 및 중화당량으로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