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yelonephritis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5초

Clinical investigation on acute pyelonephritis without pyuria: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Song, Hyung Keun;Shin, Dong Hyuk;Na, Ji Ung;Han, Sang Kuk;Choi, Pil Cho;Lee, Jang Hee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9권1호
    • /
    • pp.39-45
    • /
    • 2022
  • Background: The current guidelines for the diagnosis of acute pyelonephritis (APN) recommend that APN be diagnosed based on the clinical features and the presence of pyuria. However, we observed that some of the patients who are diagnosed with APN do not have characteristic clinical features or pyuria at the initial examination. We performed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PN without pyuria. Method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on 391 patients diagnosed with APN based on clinical and radiologic findings, between 2015 and 2019. The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results, and computed tomography (CT)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patients with normal white blood cell (WBC) counts and those with abnormal WBC counts (WBC of 0-5/high power field [HPF] vs. >5/HPF) in urine. Results: More than 50% of patients with APN had no typical urinary tract symptoms and one-third of them had no costovertebral angle (CVA) tenderness. Eighty-eight patients (22.5%) had normal WBC counts (0-5/HPF) on urine microscop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yuria (WBC of >5/HPF) and previous antibiotic use (odds ratio, 0.249; 95% confidence interval, 0.140-0.441; p<0.001), and the probability of pyuria was reduced by 75.1% in patients who took antibiotics before visiting the emergency room. Conclusion: The diagnosis of APN should not be overlooked even if there are no typical clinical features, or urine microscopic examination is normal. If a patient has already taken antibiotics at the time of diagnosis, imaging studies such as CT should be performed more actively, regardless of the urinalysis results.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의 신장-흉강 누공 형성의 증례: 진단과 치료에서의 자기공명영상의 역할 (A Case of Xanthogranulomatous Pyelonephritis with Nephropleural Fistula Formation: Role of MRI in Diagnosis and Treatment)

  • 이건양;문성경;유명원;임주원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475-480
    • /
    • 2021
  •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은 드문 형태의 만성세균성 신감염으로, 조직 파괴적인 육아종성 반응으로 인해 드물게 인접한 장기를 직접적으로 침범하거나 누공을 형성할 수 있다.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이 인접 장기를 침범한 다양한 경우가 보고되어왔으나 자기공명영상의 보고는 매우 드물다. 자기공명영상은 전산화단층촬영보다 우수한 연부조직 해상도를 가져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의 파급 범위를 정확히 파악하여 치료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우리는 전산화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으로 황색육아종성 신우신염의 신장-흉강 누공 형성을 진단한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카르복시테라피 후 발생한 급성 신우신염 및 근육염 : 증례 보고 (Acute pyelonephritis and myositis after carboxytherapy : A case report)

  • 선경훈;허준호;황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7-421
    • /
    • 2018
  • 카르복시테라피(Carboxytherapy)는 메조테라피(mesotherapy)와 방법, 치료 조건 및 결과 면에서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은 카르복시테라피는 이산화탄소 가스를 피부 바로 아래의 피하층으로 주입하는 반면 메조테라피는 비타민, 미네랄, 그리고 약물의 혼합물을 주입한다는 것이다. 메조테라피의 합병증으로 혈종, 파누스육아종, 봉와직염, 농양 등 이전에 많은 사례들이 보고되었으나, 카르복시테라피는 피하 및 얕은층에 이산화탄소를 주입하고, 이산화탄소는 주입 1주일 안에 흡수되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보고 되지 않았다. 3일전과 2주전에 한의원에서 카르복시테라피를 받은 29세 여자 환자가 고열, 근육통, 심한 요통 및 엉덩이 부위부터 아래쪽 흉벽까지 피하 기종을 주소로 응급실에 내원하였다.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였으며, 즉시 영상의학과에 판단을 의뢰하였다. 바늘에 의한 손상으로 인한 급성 복막염을 배제할 수 없어 즉각적인 광범위항생제를 투여하였으며, 판독 결과 근육염과 바늘 손상으로 인한 신우신염이 확진되었다. 신우 신염의 경우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패혈증까지 진행할 수 있어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만일 바늘에 찔리거나 침을 맞은 후에 환자가 늑골척추부위나 허리에 통증이 있는 경우 응급의학과 의사는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속한 초기 평가가 필요하다.

급성 신우신염 환아들의 나이에 따른 Dimercaptosuccinic Acid Renal Scan 민감도 (Sensitivity of Dimercaptosuccinic Acid(DMSA) Renal Scan in Children with Acute Pyelonephritis)

  • 장경아;양정아;하태선;박혜원;이준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1호
    • /
    • pp.38-43
    • /
    • 2003
  • 목적 : 소아에서는 임상증상만으로 요로감염의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므로 DMSA renal scan은 급성 신우신염의 조기 진단과 감별에 중요한 방법이다. 급성 신우신염 환자에서 환자 연령에 따른 DMSA renal scan의 양성률, 신장초음파의 이상여부, 방광요관역류 동반율을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또 DMSA renal scan과 신장초음파 결과 및 DMSA renal scan과 방광요관역류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방법 : 2001년 3월부터 2002년 9월까지 급성신우신염으로 진단된 67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나이에 따라 2세 이하의 소아 57명을 그룹 I으로, 2세 이상의 소아 10명을 그룹 II로 나누었다. 이 환아를 대상으로 DMSA renal scan, VCUG, 신장초음파의 결과를 이용한 후향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결과 : 급성 신우신염 환아에서 DMSA renal scan의 양성률은 나이에 따라서 차이가 없었다. DMSA renal scan과 방광요관역류 등급정도와는 통계학적 의미가 있었으나, 나이에 따른 방광 요관역류와는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DMSA renal scan과 신장초음파 이상여부와는 의미가 없었다. 나이에 따른 신장초음파 이상여부와도 통계학적 의미는 없었다. 결론 : 현재로서는 DMSA renal scan은 급성 신우신염이 의심되거나, 세균뇨가 있는 환자에게서 감별 진단시 힘들이지 않고, 비교적 경제적 부담이 적은 중요한 검사 방법이다.

  • PDF

White-spotted kidney가 동반된 송아지의 패혈증성 대장균증 (Septicemic colibacillosis accompanied by white-spotted kidney in a calf)

  • 윤순식;배유찬;이희수;양동군;권용국;한홍율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99-103
    • /
    • 2005
  • We report septicemic colibacillosis accompanied by white-spotted kidney in a 30-day old female Holstein-Friesian dairy calf. Grossly, there were numerous white spots sized average 0.5cm in diameter in both kidneys. When sectioned sagittally, there were radially oriented gray streaks extending outward and reaching the renal cortex. The renal papillae were ulcerated, white to gray in color and very friable. Histologically, there was extensive purulent inflammation characterized by severe neutrophilic cellular infiltrations in the tubular lumens and interstitia. In addition, massive coagulative necrosis were found in the apices of papillae. Numerous Gram-negative bacterial colonies were detected in both of the renal and lung tissues. Beta-hemolytic Escherichia coli (E. coli) was purely isolated from the renal parenchyma, peritoneal surface and pleural surfa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suggest that the generalized septicemia with pyelonephritis may be oriented from the lower urinary tract infection with E. coli in this case.

소아 요로 감염에서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에 추가된 SPECT 영상의 진단적 가치 (The Diagnostic Value of 99mTc DMSA Renal Scan SPECT Images in Addition to Planar Image in Children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 양재영;양정안;서정완;이승주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5권1호
    • /
    • pp.22-29
    • /
    • 2001
  • 목 적 :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은 급성신우신염과 신반흔의 진단에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99mTc DMSA 신스캔 평면 영상에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SPECT) 영상을 추가하여 예민도를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저자들은 소아 요로감염에서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에 추가된 SPECT영상의 진단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년 1월부터 1999년 7월 까지 이대 목동병원 소아과에서 요로감염으로 진단 받고 99mTc DMSA 신스캔 평면영상에 SPECT영상을 추가 시행하였던 130명 (260 kidney unit)과 신반흔으로의 진행을 파악하기 위하여 추적검사를 시행하였던 22명(44 kidney unit)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스캔은 99mTc DMSA를 주사하고 3시간후 전면상과 후면상의 평면영상을 얻고, 이어서 저에너지 범용 조준기가 장착된 회전형 카메라 (Starcam 4000-I U.S.A. GE)를 사용하여 SPECT Axial과 Coronal 영상을 얻어 진단율을 비교하였다. 통계는 Yates 교정 후 Chi 검정하였다. 결 과 : 급성신우염 환자의 진단율은 SPECT영상에서 47.7$\%$로 평면영상의 35.4$\%$에 비해 12.3$\%$가 높았다. 신단위로 평가하면 SPECT 영상에서는 32.3$\%$로 평면영상의 25.8$\%$에 비하여 6.5$\%$가 높았다. 평면 영상 음성인 18신단위(6.9$\%$)가 SPECT 영상에서는 14신단위(5.4$\%$에서 국소성결손, 4신단위 (1.5$\%$)에서 다발성 결손이었고 평면영상에서 양성인 1신단위 (0.4$\%$)가 SPECT 영상에서 음성이었다. 평면영상에 비하여 SPECT영상이 더 우수한 경우가 17.3$\%$, 동일한 경우가 82.3$\%$, 미흡한 경우가 0.4$\%$였다. 99mTc DMSA 신스캔의 신반흔 진단율은 SPECT 영상에서는 43.2$\%$로 평면영상의 36.4$\%$에 비하여 6.8$\%$ 높았다. 평면영상에서 양성은 SPECT영상에서 모두 양성이었고, 평면영상에서 음성이 SPECT영상에서 양성인 경우는 6.8$\%$(3신단위)이었다. 평면영상에 비하여 SPECT 영상이 우수한 경우가 11.4$\%$, 동일한 경우가 88.6$\%$이었다. 결 론 : 99mTc DMSA신스캔 평면영상에 추가된 SPECT영상은 급성신우염과 신반흔의 진단율을 높이고 더 우수한 영상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급성신우신염과 방광요관역류 환아에서 DMSA신주사의 추적관찰 (A Follow-up Study of DMSA Renal Scan in Children with . Acute Pyelonephritis and Vesicoureteral Reflux)

  • 오창희;최원규;김지홍;이재승;김병길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145-151
    • /
    • 1998
  • 목 적 : 99m-TCDMSA(이하 DMSA)신주사는 발열성 요로감염환아 혹은 방광요관역류가 있는 환아에서 급성신우신염과 신반흔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검사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이를 해석하는데 있어서 정확성을 기하고 효율적인 이용을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2년 1월부터 1995년 6월까지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내원하여 발열, 측복부 동통, 농뇨 등의 요로감염 증세 혹은 요 배양검사상 세균이 $10^5/mL$이상 동정된 환아 155명을 대상으로 DMSA신주사, 신초음파 및 배뇨성 요도방광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이중 방광요관역류가 없으면서 DMSA신주사에서 이상 소견을 보인 환아는 29명,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는 32명이 있었다. 초기 DMSA신주사상 병변이 발견되었던 환아는 추적검사를 통해 병변의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는 역류 정도에 따라 DMSA 신주사 및 신초음파 소견을 분석하였다. 결 과 : 방광요관역류 없이 DMSA신주사상 비정상소견을 보였던 29명의 환아는 요로감염 증상이 시작된 지 평균 $7.5{\pm}4.8$일내에 DMSA신주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0.99{\pm}0.46$개월에 추적 검사를 실시한 결과 21명 ($72.4\%$)에서는 정상으로 되었고, 3명($10.3\%$)은 병변이 감소하였으며, 5명($17.3\%$)은 병변이 지속되었다. 병변이 남아있는 8명을 3개월내 DMSA신주사를 시행한 결과 2명에서만 병변이 남아있었다. DMSA신주사로 급성신우신염이 확인된 29명중 12명($41.4\%$)이 신초음파에서 이상소견을 보였다.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32명(53역류신장)은 역류정도에따라 Grade $I:25.0\%,\;II:44.5\%,\;III:64.3\%,;IV:92.9\%,\;V:100\%$에서 초기 DMSA 신주사상 이상소견을 보였다. 53역류신장중 전체적으로 DMSA신주사에서 36신장($68.0\%$), 신초음파에서 26신장($49.1\%$)이 이상소견을 보여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5). 특히 Grade IV 역류신장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 론 : DMSA신주사를 이용한 급성신우신염의 진단은 신초음파검사 보다 유용하며, 초기 DMSA신주사 소견상 이상소견을 보인 경우 약 8-12주 후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변화를 관찰하고 섭취결손 부분이 남아있는 경우에는 향후 새로운 병소의 출현 혹은 정상화 여부를 보기 위한 추적검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방광요관역류 환아에서 DMSA신주사소견은 방광요관역류의 정도가 심할수록 이상소견을 보일 확률이 높으며 신초음파 검사보다 민감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고양이의 신우신염을 동반한 편측신장의 피막하 농포 증례 (Unilateral Renal Subcapsular Abscess Associated with Pyelonephritis in a Cat)

  • 이혜연;장진화;정주현;오선경;김재홍;김완희;윤정희;최민철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9-82
    • /
    • 2010
  • 한 살의 수컷 러시안 블루 고양이가 침울, 식욕저하, 구토, 배뇨장애를 주호소로 내원하여 방광염을 동반한 고양이 하부 요로계 질병으로 진단받았다. 입원 치료 시에도 배뇨곤란이 지속되어 요도카테터 삽입을 몇 차례 반복하였다. 일주일 뒤 환자는 침울, 발열, 백혈구증가증을 나타내었다. 초음파 검사 시 우측 신장 주변으로 소량의 저에코성액체가 보였고 요검사에서는 세균이 확인되었다. 이후 우측신장 피막하 액체의 양은 증가하였으며 흡입 시 세균이 관찰되었다. 배설성 요로조영술에서는 우측신장으로부터 조영제의 누출이 확인되었다. 수술적으로 우측신장을 제거하였으며 신장실질과 비후된 피막 사이에서 농성 삼출물을 확인하였다. 수술 후 환자는 합병증 없이 회복하였으며 조직학적으로 신우신염을 동반한 우측신장의 피막하 농포로 확진되었다.

이해관계 선언 (Limitations of 99mTc-DMSA scan in diagnosing acute pyelonephritis in children)

  • 김병기;곽재령;박지민;배기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3호
    • /
    • pp.408-413
    • /
    • 2010
  • 목 적 : 소아에서 급성 신우신염 진단시 computed tomography(CT)와 비교하여 $^{99mTc}DMSA$ scintigraphy (DMSA)의 상대적 제한점이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 법 : 64채널 CT가 도입된 2006년 9월 이후 3년 동안 급성복증이나 발열성 급성병증으로 복부 CT검사를 받은 환아 중 급성 신우신염의 소견을 보였으나 후속으로 시행된 DMSA에서는 이상소견을 발견되지 않은 'DMSA 위음성 환자' 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이들의 임상상과 CT 소견을 분석하였다. CT촬영에는 필립스사의 브릴리언스-64 모델을, DMSA 스캔에는 Siemens사의 Orbiter 75 기종을 사용하였다. 결 과 : 총 10명 중 남자가 8명, 영유아가 8명이었으며 내원당시 평균 1.1일간 발열이 있었고 말초혈액 백혈구 수, 적혈구침강 속도, C-반응단백 등의 급성반응표지가 증가된 상태였다. DMSA 정상 소견을 보였던 10명에서 CT 신장환부 소견은 국소적인 경우가 6례, 미만성인 경우가 4례였다. 대개 일측성이었으며 양측 신장 모두 침범된 경우는 2례였다. DMSA에서 확인되지 않은 CT상 병변 개수는 총 22개 확인되었다. DMSA 비교신기능 측정법은 신손상 정도를 가늠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를 통하여 DMSA검사는 CT검사상 양성인 급성 신우신염의 신장환부를 밝혀내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DMSA 위음성 결과는 주로 질병초기에 영아 환자에서 흔히 발생하는 것으로 보이나, 그 정확한 이유와 발생 비율 등을 밝히기 위해서는 전향적인 추가조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