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sh-push

검색결과 1,818건 처리시간 0.027초

Push-Push FET DRO에 부가된 유전체 공진기의 전력 증강 역할에 관한 분석 (Investigation on the Output Power Improvement of Push-Push FET DRO with an Additional DR)

  • 박승욱;김인석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170-1175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Push-Push FET DRO회로의 게이트단에서 이용했던 동일한 유전체 공진기를 드레인단에 추가하면 출력이 증강되는 현상을 이론적으로 해석하였다. 본 해석은 두 개의 마이크로스트립 선로 사이에 위치한 유전체 공진기가 두개의 FET 출력 의 위상차를 고정시켜서 Push-Push FET DRO의 출력이 증가되는 것을 보인다. 이 영향을 Push-Push FET DRO 발진기 제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두 개의 FET 출력회로 사이의 임피던스 차이와 전력결합기의 전기적인 길이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전체 공진기가 부가된 Push-Push FET DRO는 발진기 제작에 유용한 구조가 될 것이다.

단일 전송선로의 주파수 동조회로를 이용한 push-push 전압제어 발진기의 설계 및 제작 (A Design of Push-push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using Frequency Tuning Circuit with Single Transmission Line)

  • 류근관;김성찬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전압제어 발진기에서 변형된 구조의 주파수 동조회로를 갖는 push-push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Push-push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는 중심주파수 16GHz에서 설계되었으며, LTCC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기술 공정의 장점을 이용하여 주파수 동조 회로를 A6 기판의 중간 layer에 삽입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로 인해 회로의 전체 크기를 줄일 수 있었다. 제작된 push-push 전압제어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측정결과 기본 주파수의 억압특성은 30dBc 이상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0~12V의 제어전압 범위에서 0.43MHz의 주파수 튜닝 대역폭을 얻었다. 또한 커리어로부터 100KHz 떨어진 지점에서 -103dBc/Hz의 위상잡음 특성을 나타내었다.

Micro SIM Card Socket에 사용된 Push-Push Type 기구의 다물체동역학 해석 (Multibody Analysis of a Push-Push Type Mechanism for Micro SIM Card Socket)

  • 최찬규;김주철;윤주영;심정길;유홍희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C: 기술과 교육
    • /
    • 제1권1호
    • /
    • pp.1-6
    • /
    • 2013
  • SIM card socket은 USIM 카드를 휴대폰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많이 사용되며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push-push 기구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Push-push 기구는 하트-캠 구조에 의해 작동되며 사용자가 USIM 카드를 한번 눌러주면 삽입이 되면서 locking, USIM 카드를 다시한번 눌러주면 토출이 되면서 unlocking이 되는 기구이다. Push-push 기구는 주 스프링에 의해 구동되는데 주 스프링에 의해 캠 슬라이더와 캠 스틱에 응력이 발생하여 기구가 파손되기도 한다. 따라서 push-push 기구 동작 시 발생하는 응력을 반드시 고려한 기구 설계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구 설계 방식은 정적인 응력해석 결과만 사용한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기구 특성상 동작 시 충격력이 반드시 발생하기 때문에 충격력에 의해 발생하는 동응력을 해석하고 기구 설계에 반영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push-push 기구 동작 시 발생하는 동응력 해석을 위하여 push-push 기구의 유연 다물체 동역학 모델을 개발하고 기구 동작 시 발생하는 동응력을 해석하였다.

지지면 간격변화에 따른 푸시업(Push-up) 굽힘동작과 푸시업 플러스(Push-up plus) 동작시 상지 근육의활성도 비교 (Comparative Studies of Muscle Activity on Upper Extremity Between Push-up bend and Push-up plus Movement According to change of supporting base interval)

  • 김은영;박흥기;안병헌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1-41
    • /
    • 2008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scle activity of shoulder stabilization according to change of supporting base interval between push-up bend and push-up plus position and is to prevent or treat a shoulder injury by the most effective exercise for rehabilitation. Methods : This study analyzed the muscle activity according to change of supporting base interval between push-up bend and push-up plus movement. The participants without neuromuscular disease were 25 students - 12 males and 13 females - all twenty or over and the surface electrode of EMG attached on pectoralis major, triceps long head, middle trapezius, lower trapezius, serratus anterior and latissimus dorsi. The process has practiced 3 sessions of supporting base interval - narrowing interval, two shoulder interval, broad interval - by push-up bend and push-up plus movement. Result : 1. The muscle activity of pectoralis maj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narrow interval of supporting base on push-up plus movement and was significant difference(p<.05). 2. The muscle activity of bice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narrow interval of supporting base on push-up bend movement(p<.05). 3. The muscle activity of middle or lower trapezius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change of supporting base on push-up bend and push-up plus movement bu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muscle activity of serratus anterio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broad interval of supporting base on push-up bend movement(p<.05). 5. The muscle activity of latissimus dors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ccording to broad interval of supporting base on push-up bend movement(p<.05). Conclusion :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push-up bend exercise have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of biceps on narrowing interval, of serratus anterior or latissimus dorsi on broad interval and push-up plus exercise have the effect of muscle strength of pectoralis major on narrowing interval of support base.

  • PDF

LTCC를 이용한 push-push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Push-push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using a LTCC)

  • 류근관;오일덕;김성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41-546
    • /
    • 2010
  • LTCC(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공정의 다층기판을 이용하여 push-push 유전체 공진 발전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중심주파수 8GHz를 갖는 직렬 궤환형의 단일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설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중심주파수 16GHz인 push-push 유전체 공진 발진기를 설계하였다. 발전기의 회로 크기에 큰 영향을 미치는 바이어스 회로를 LTCC 다층구조의 중간층에 배치함으로써 일반적인 단층기판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발진기 회로의 크기를 크게 줄 일 수 있었다. 제작된 push-push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측정결과 기본 주파수 및 3차 고조파 억압특성은 각각 15dBc 및 25dBc 이상의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발진기의 위상잡음 특성은 -102dBc/Hz@100KHz 및 -128dBc/Hz@1MHz의 특성을 각각 나타내었다.

Push-Push Voltage Controll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Using a Broadside Coupler

  • Ryu, Keun-Kwan;Kim, Sung-Ch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3권2호
    • /
    • pp.139-143
    • /
    • 2015
  • A push-push voltage controlle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VCDRO) with a modified frequency tuning structure using broadside couplers is investigated. The push-push VCDRO designed at 16 GHz is manufactured using a 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technology to reduce the circuit size. The frequency tuning structure using a broadside coupler is embedded in a layer of the A6 substrate by using the LTCC proces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fundamental and third harmonics are suppressed above 15 dBc and 30 dBc, respectively, and the phase noise of push-push VCDRO is -97.5 dBc/Hz at an offset frequency of 100 kHz from the carrier. The proposed frequency tuning structure has a tuning range of 4.46 MHz over a control voltage of 1-11 V. This push-push VCDRO has a miniature size of 15 mm×15 mm. The proposed design and fabrication techniques for a push-push oscillator seem to be applicable in many space and commercial VCDRO products.

유전체 공진기를 이용한 Ka-band용 Push-push 발진기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Fabrication of Ka-band Push-push oscillator Using Dielectric Resonator)

  • 김민호;김병희;박천석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1)
    • /
    • pp.385-388
    • /
    • 2000
  • In this paper, the Ka-band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has been designed and fabricated. The resonator network was simulated using HFSS program. The design method of an oscillator is the small-signal S-parameter design. The Push-push DRO employs a hetero junction FET (NE32484A). The fabricated Push-push DRO shows such characteristics as the phase noise -106 ㏈c/Hz at the 100 ㎑ frequency offset. the output power and fundamental frequency surpression were -6 ㏈m and -29 ㏈c, respectively.

  • PDF

K-band용 Push-Push 유전체 공진 발진기의 설계 및 제작 (Design and Construction of a Push-Push Dielectric Resonator Oscillator at K-band)

  • 이주열;이찬주;홍의석
    • 전자공학회논문지A
    • /
    • 제29A권2호
    • /
    • pp.8-17
    • /
    • 1992
  • In this paper a push-push oscillator using DR (dielectric resonator) at K-band is designed and constructed. Two identical oscillators are arranged in a push-push configuration that has the frequency of oscillator that is twice frequency each oscillator. A dielectric resonator is placed at the input of an active two-port device(FET) yielding a stable frequency source. The oscillators realized with this technique exhibit excellent spectral purity and cancellation of fundamental frequency.

  • PDF

WAP기반 Push 서비스를 위한 Push Content Generator 설계 (Design of A Push Content Generator for Push Service in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 이정은;박병화;신동일;신동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3)
    • /
    • pp.132-134
    • /
    • 2000
  • 무선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모바일 인터넷에서 요구되는 기능이 점점 다양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상에서 지원되는 Push 서비스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WAP상에서 사용하는 Push message의 보다 쉬운 구현을 위해 Push 서비스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Push Content Generator의 설계에 대해 기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