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pation sit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보리나방살이고치벌에 대한 행동 반응으로서의 화랑곡나방 유충의 용화장소 선택 (Pupation Site Selection Behavior of Plodia interpunctella (Lepidoptera: Pyralidae) in Response to Its Parasitoid, Bracon hebetor (Hymenoptera: Braconidae))

  • 신재협;남영우;류문일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15-222
    • /
    • 2012
  • 화랑곡나방 유충이 자유롭게 수직적 분포를 하도록 허용된 아크릴 실린더(지름 150 mm, 높이 85 mm, 현미 660 g 포함)에서 보리살이나 방고치벌 공격에 대응하는 화랑곡나방 유충의 행동반응을 용화장소 선택행동을 중심으로 평가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없을 때는 화랑곡 나방 유충의 용화가 표층(< 5 mm)에서 이루어졌으나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존재하는 경우 유충은 더 깊은 층에서 용화하였다. 보리나방살이고 치벌의 기주 탐색은 주로 표층에서(< 5 mm) 이루어 졌으며, 따라서 화랑곡나방 유충은 표층보다 깊은 층에서 용화함으로써 공격을 피할 수 있었다. 유충의 용화 장소 선택은 기생자의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방어 행동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유충의 방어 행동은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의 수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는 알려진 바대로 보리나방살이고치벌이 기주 유충 당 산란 수를 피공격 유충 수에 따라 조절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실험에서도 공격된 화랑곡나방 유충 수가 감소하면서 기주 유충 당 고치벌의 산란 수는 증가하였다.

Artificial Habitat Creation of Luciola lateralis (Coleoptera: Lamphyridae) and Research of Breeding Technique for Festival at Hwadamsup, Korea

  • Kang, Seung-Ho;Jeon, Mi-Kyung;Kwon, Soon-Jik;Na, Seok-Jong;Kim, Kyung-Ho;Jeong, Jong-Chul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4호
    • /
    • pp.275-283
    • /
    • 2018
  • This study created the running water (Bandibooliwon) and lentic water (Sooryunwon) artificial habitats of Luciola lateralis in Hwadamsup, Gwangju-si, Gyunggi-do from April 2014 to February 2016. Through various habitat types, metapopulation was formed, and more sound population was induced to be maintained via interactions between habitats. We investigated coenosite at the habitat creation-target site, and 20 species in the lentic water site and 38 species in running water site were found. After releasing L. lateralis, we checked the status of settlement of L. lateralis larvae through traps and macroscopy, controlled the flow velocity of the habitats in line with the life cycle of L. lateralis (hatching, larva period, landing, pupation, copulation, and oviposition), and shaped gentle slope at water side, and planted moss. We artificially supplied melanian snails (Semisulcospira sp.), the food source, in the running water site and induced stable feeding. Also, We created artificial insectary, bred larvae stably in winter, and secured firefly population for a festival. Through night time observation, the time most suitable for a festival was confirmed to be from 20:30 to 22:00.

민깨알반날개(Oligota kashmirica benefica)의 몇 가지 생태특성: 산란 및 용화장소, 성충 저장온도, 방사효과 (Some Ecological Notes of Oligota kashmirica benefica: Oviposition and Pupation Site, Storage Temperature of Adult, Release Effect)

  • 최덕수;김규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5-130
    • /
    • 2005
  •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실내사육에 필요한 몇 가지 생태적 특성 즉 산란 습성, 성충우화율, 저장온도 그리고 귤응애의 밀도억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민깨알반날개 암컷성충은 유자잎 뒷면에 $95\%$를 산란하였으며, 그중 $91.3\%$를 귤응애의 탈피각이나 배설물로 알 표면을 피복하였다. 과수원 내 밭토양에서는 민깨알반날개의 우화율이 $60\%$였는데, 밭토양 대신 원예용상토를 사용했을 때 $86.7\%$로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유충$(88\%)$은 지면으로부터 2 cm이내 깊이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발육영점온도인 $12^{\circ}C$이며, 저장 10, 20, 30일 후에 생존율은 각각 96.7, 73.3, $70\%$였다. 유자에 발생한 귤응애 방제를 위한 효율적인 방사비율은 150:1 미만으로 방사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