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lmonary toxicit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5초

마로부터 분리한 Acetylmannan의 Paraquat 독성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 of Acetylmannan of Dioscorea bataras on Toxicity of Paraquat)

  • 심창섭;정세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1권3_4호
    • /
    • pp.11-16
    • /
    • 1996
  • Paraquat is a useful nonselective herbicide widely used throught the world. However accidental or intentional ingestion of the herbicide cause fatal pulmonary injuring. But there is not suitable antidote of paraquat intoxication and therapeutic agents now be used are not effective. So,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acetylmannan from Dioscorea batalas on paraquat toxicity. 100mg/kg acetylmannan from wild or cultured Dioscorea bataras was administered orally to male SD rats for 3 days and the administration time interval was 24hours. After one hour of final administration, 50mg/kg paraquat was administered intraperitonially. After 24 hours, the biochemical parameters of blood and tissues were examined. In paraquat treated groups, sGPT, BUN, creatinine, ALP levels were increased by 2 to 4 times of normal values. However in acetylmannan from wild Dioscorea batatas treated groups, sGPT, BUN, creatinine, ALP levels in blood and lung tissu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normal levels. In acetylmannan from cultured Dioscorea batatas treated groups, BUN, creatinin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to normal values, but not in sGPT, ALP levels. Therefore, we concluded that acetylmannan from wild Dioscorea batatas can be used as an. antidote of paraquat toxicity.

  • PDF

가습기살균제 CMIT/MIT의 기도 점적투여를 통한 임신마우스의 사산에 대한 영향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the Disinfectant 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in a Pregnant Mouse Model for Evaluating Causal Association with Stillbirth)

  • 강병훈;김민선;박영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468-479
    • /
    • 2018
  • Objectives: Recently, a report was published that the humidifier disinfectant CMIT/MIT did not cause developmental toxicity and was not detected in systemic circulation as a result of an inhalation toxicity test.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y associations between CMIT/MIT exposure and developmental toxicity using the in vivo apical toxicity test method. Methods: Groups of pregnant ICR mice were instilled in the trachea with chloromethylisothiazolinone/methylisothiazolinone (CMIT/MIT) using a visual instillobot over a period of seven days from days 11 to 17 days post-coitum. For the in vivo apical toxicity test method, an $LD_{50}$-based dose-range finding model was applied to decide the dose range for inducing developmental toxicity. Results: Among the groups of 0, 0.1, 0.5, 1.0, and 1.5 mg ai/kg/day CMIT/MIT, the exposure groups of 0.5 mg and 1.0 ai/kg/day CMIT/MIT were estimated to reflect the thresholds for the stillbirth and death of pregnant mice, respectively. The groups of 0.5, 1.0, and 1.5 mg ai/kg/day CMIT/MIT induced stillbirth rates of 2.57, 10, and 53.8%, respectively. Another exposure group of 0.75 mg ai/kg/day CMIT/MIT did not induce any deaths of pregnant mice and resulted in a stillbirth rate of 8% in only one of six pregnant mice. Conclusions: CMIT/MIT can induce stillbirth in pregnant mice. It was also concluded that CMIT/MIT moves through the pulmonary circulation system and then continues on through systemic circulation and the placenta. There is a possibility of stillbirth and other health causalities in humans beyond the lungs caused by CMIT/MIT exposure.

Comparison of Single Agent Gemcitabine and Docetaxel in Second-Line Therapy for Advanced Stage Non-Small Cell Lung Cancer in a University Hospital in Turkey

  • Yildirim, Fatma;Baha, Ayse;Yurdakul, Ahmet Selim;Ozturk, C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7호
    • /
    • pp.7859-7863
    • /
    • 2015
  • Purpose: To compare the efficacy and toxicity of gemcitabine versus docetaxel in a second-line setting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patients previously treated with platin-based combination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the medical records of 57 patients treated with single agent gemcitabine or docetaxel in second-line setting of advanced NSCLC who received one prior platinum-based therapy. Results: The mean age was $56.7{\pm}8.39$ years with 55 (96.5%) males and two (3.5%) females. Forty of them received docetaxel and 17 gemcitabine. The mean number of chemotherapy cycles was $6.8{\pm}4.0$ in the gemcitabine group, while it was $4.6{\pm}3.0$ in the docetaxel group. Overall response rates were 8% and 12% (P=0.02) for gemcitabine and docetaxel,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time was 22 versus 21 months for gemcitabine and docetaxel, respectively. The median times to progression were 8 and 5 month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incidence of adverse affects (40% vs 47.1%). All of the hematological side effects were grade 1/2. No major toxicity was encountered necessitating stopping the drug for either group. Conclusions: Treatment with gemcitabine demonstrated clinically equivalent efficacy with a significantly improved safety profile compared with those receiving docetaxel in the second-line setting for advanced NSCLC in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treatment with gemcitabine should be considered a standard treatment option for second-line NSCLC.

Amiodarone의 투여로 야기된 간질성 폐 질환의 1례 (A Case of Amiodarone-induced Interstitial Lung Disease)

  • 김병훈;박종원;정진홍;이관호;김영조;심봉섭;이현우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186-192
    • /
    • 1994
  • 저자들은 Lown grade IVa의 심실성 기외 수축으로 진단 받고, amiodarone을 약 7개월간 투여 받은 환자에서 amiodarone으로 야기된 간질성 폐질환의 1례를 경험하였기에 그 휘기성에 비추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Gemcitabine에 의한 약물 유발성 간질성 폐렴 1예 (A Case of Drug Induced Interstitial Pneumonitis by Gemcitabine)

  • 이성순;함초롬;진재용;이혜란;김수영;김미영;이현경;이혁표;염호기;최수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6권3호
    • /
    • pp.315-320
    • /
    • 2004
  • Gemcitabine은 최근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항암제로서 호흡기 부작용이 흔히 발생하나 대부분 일시적이고 자연 관해된다. 하지만 드물게 gemcitabine에 의한 심각한 폐 독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하다. 저자들은 gemcitabine 치료 후 발생한 중증 약물 유발성 간질성 폐렴 환자에서 스테로이드 치료 후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비 마약성 진통제 DA-5018의 랫드에 대한 4주 경구투여 아급성독성 (Four-week Oral Toxicity Study of DA-5018, a New non-narcotic Analgesic Agent)

  • 강경구;김옥진;백남기;안병옥;김원배;양중익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5권2호
    • /
    • pp.133-149
    • /
    • 1997
  • 4-week repeated dose toxicity of DA-5018, a new capsaicin analogue analgesic agent, was examined in 5D rats at dosage levels of 0,0.4,2, 10 and 50 mg/kg/day. DA-5018 was administered orally to 17 males and 17 females per group at doses of 0, 10 and 50 mg/kg and to 12 males and 12 females per group at doses of 0.4 and 2 mg/kg. After the administration period, 5 males and 5 females at the 0, 10 and 50 mg/kg were placed on withdrawal for 2 weeks. Treatment-related clinical signs were observed at 10 and 50 mg/kg. Clinical signs observed immediately after the administration of DA-5018 were grooming, sedation or depression, lacrimation, atacia, reddening of extremities and ears, ventral or lateral recumvincy, respiratory distress, cyanosis and convulsion. Delayed-type clinical signs including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were also observed 1 or 2 weeks after the start of administration of DA-5018. Only at the 50 mg/kg group, corneal opacities, reduced body weight gain (male) and death (male 6/17, female 3/17) were noted. In blood biochemical analysis, serum levels of glucose and triglyceride decreased at 10 and 50 mg/kg. In hematological examination, there were increases in the number of red blood cell, hemoglobin content and percent of hematocrit at 10 and 50 mg/kg. Pulmonary enlargement and hemorrhagic spot,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and corneal opacities were seen at the necropsy of the animals died during the dosing of DA-5018 50 mg/kg. Focal scabbing and depilation around nose were observed in the animals terminally necropsied at doses of 10 and 50 mg/kg.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pulmonary hemorrhage, focal necrosis in the scabbed area, corneal necrosis, fibrosis and neovasculization in the stroma. At 0.4 and 2 mg/kg, there were no significant toxic changes attributable to the administration of DA-5018. In conclusion, target organs following to 4-week repeated dose of DA-5018 in the rat were determined to be lung, skin and eyes. Definite toxic dose and no-observed-adverse-effect-level (NOAEL) were estimated to be 50 and 2 mg/kg/day, respectively.

  • PDF

표재성 방광암 환자에서 방광내 BCG 주업치료 후 발생한 폐합병증 2예 (Two Cases of Pulmonary Complications Following Intravesical Bacillus Calmette-Guerin Immunotherapy in Patients with Superficial Bladder Cancer)

  • 이계성;이기용;윤재철;나동집;정성수;설종구;김선영;김주옥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6호
    • /
    • pp.869-878
    • /
    • 1999
  • 표재성 방광암의 치료는 경요도적 절제술 후 방광내 BCG 투여가 표준적인 치료로 알려져 있다. 방광내 BCG 투여 후 가장 흔한 부작용은 방광자극, 빈뇨감, 배뇨 곤란 등이며 항결핵제를 사용해야 할 정도의 전신적인 부작용은 5% 이하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표재성 방광암 환자에서 경요도적 절제술 후 방광내 BCG 주입치료 후 폐합병증이 발생한 2예를 경험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백서에서 Bleomycin 투여로 인한 폐손상 및 폐섬유화에 대한 Vitamin E의 영향 - Penicillamine, Deferoxamine 투여군과 비교 - (The Effect of Vitamin E on Bleomycin-Induced Pulmonary Injury and Fibrosis in Rat - Comparison of Penicillamine- or Deferoxamine-Treated Group -)

  • 정순희;용석중;안철민;신계철;최인준;조상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2권2호
    • /
    • pp.184-205
    • /
    • 1995
  • 연구배경: Bleomycin(BLM) 투여로 유발되는 폐손상 및 폐섬유화는 특발성 폐섬유증의 실험적 모델로써 BLM의 폐독성 기전은 산소유리기에 의한 직접 독성과 염증세포, 섬유모세포 및 세포외 기질에 의한 간접 독성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폐손상의 주요 원인이 되는 산소유리기의 생성과 이미 형성된 산소유리기를 보집할 수 있는 산화방지제들을 투여함으로써, BLM에 의한 폐손상 및 폐섬유화의 발생과 그 억제기전을 이해하고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방법: 웅성 백서에 폐손상 및 폐섬유화의 대표적인 실험적 방법인 bleomycin (BLM)을 투여함과 동시에 산화방지제로 구리의 킬레이트제인 penicillamine, 철의 킬레이트제인 deferoxamine과 산소유리기의 보집제인 vitamine E를 투여한 후 그 형태학적 변화를 보기 위해 기관지폐포 세척액 검사, 광학현미경 소견과 세포외 기질인 교원섬유 제 I, III, IV형과 비교원성 기질인 fibronectin과 laminin 그리고 근섬유모세포에 대한 NBD phallicidin에 대한 면역형광염색 및 면역조직화학염색소견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결과: 1) 기관지폐포세척액의 검사소견상 총 세포수는 BLM 단독투여군의 경우 제4일에 최고값에 도달한 후 감소하기 시작하여 제28일에 대조군과 비슷해졌지만, penicillamine과 deferoxamine 처치군은 제1일부터 제28일까지 계속 높았으며, vitamin E 처치군은 제3일부터 현저한 차이로 감소하여 제7일부터 대조군과 비슷해졌다. 기관지폐포 세척액의 각 염증세포구성비는 BLM 단독투여군은 초기 즉 제1, 3, 4일에 중성구가 현저히 증가하다가 제7일부터 감소하여 제28일에 대조군과 비슷해졌지만, vitamin E 처치군은 중성구가 제3일부터 BLM 단독투여군의 1/3이하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2) 광학현미경소견은 BLM 단독투여군의 경우 다른 실험군에 비해 섬유화가 가장 심하였고, penicillamine 처치군은 중성구의 침윤이 지속적으로 많았으며, deferoxamine 처치군은 폐포 중격의 림프구 침윤이 뚜렷하였고, vitamin E 처치군은 페포 중격 및 폐포강내 대식세포 증가가 많았다. 이러한 소견은 기관지폐포세척액 소견과 잘 일치하였다. 산화방지제 처치군의 섬유화 소견은 deferoxamine 처치군이 가장 뚜렷하였고, penicillamine 처치군은 적었지만 관찰되었으며, vitamin E 처치군은 거의 없었다. 3) 세포외 기질의 변화로 폐포 간질의 기저막에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제 IV형 교원섬유와 laminin 및 Jones' methenamine silver 염색결과는 비슷한 양상이었는데, BLM 단독투여군, penicillamine 처치군과 deferoxamine 처치군은 모두 제28일군에서 음성반응을 나타냈으나, vitamin E 처치군은 제28일까지 대조군과 비슷하게 기저막이 유지되었다. 섬유화 부위에 증가된 세포외 기질은 제 I 형 교원섬유와 fibronectin 이었으며, 제 III 형 교원섬유는 각 국에서 초기에 일시적으로 양성반응을 나타내었다. NBD phallicidin은 BLM 단독투여군에서 특히 제 28일군 육아조직의 방추형세포에 양성반응을 보였다. 결론: Bleomycin 투여에 의한 폐손상 및 폐섬유화 기전은 bleomycin이 구리 또는 철 이온의 존재하에 생성한 산소유리기에 의해 유발될 수도 있으나, 주로 중성구의 활성화로 인한 산소유리기에 의해 유발되고, 폐의 섬유화 제 I 형 교원섬유와 fibronectin의 증가로 초래되었다. 폐손상의 억제는 킬레이트제 보다는 산소유리기의 보집제인 vitamin E 투여시 가장 효과가 있었는데 이것은 초기의 중성구 증가 및 중성구의 활성화 정도에 따라 간질내 폐포의 기저막 유지 및 재생이 가능하고 이것이 폐의 탄력성을 유지시켜 폐손상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 PDF

간질성 폐질환환자에서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의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 in Patients with Interstitial Lung Diseases (ILD))

  • 박성수;이경상;양석철;윤호주;신동호;이동후;이중달;이정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2호
    • /
    • pp.164-172
    • /
    • 1996
  • 연구배경 : TGF-$\beta$는 25kD의 단백으로써, 폐섬유증의 병인에 있어 TGF-$\beta$의 발현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TGF-$\beta$는 세포외 분자들의 합성 및 생산을 촉진할 뿐만아니라 세포간질의 붕괴를 감소시킨다. 특발성 폐섬유증을 포함한 다른원인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의 폐섬유증에 있어 TGF-$\beta$의 발현양상은 상향조절된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방법 : 본연구는 특발성 폐섬유증과,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에 있어서 TGF-$\beta$의 발현 양상를 연구하고자 개흉 폐생검으로 채취된 특발성 간질성 폐섬유증 3예의 6절편과 폐절제시 채취한 5예의 정상조직을 연구재료로 하였고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환자 각각 3예로부터 얻은 6절편에서 TGF-$\beta$의 단세포군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검색을 실시하였다 결과 : TGF-$\beta$은 5예의 정상조직의 기관지 상피세포나 폐포세포에서는 약하거나 중등도로 발현되었다. 3예의 특발성 폐섬유증 6절편 중 5절편에서 폐포벽의 간질성 섬유모세포들에서 발현되었고, 1절편에서는 증식된 폐포내 폐포세포에서 발현되었으며 그 정도는 비균질적인 양상을 보였다. 3예의 6절편 중 5절편에서 강한발현을 1절편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나타냈으며 bleomycin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중 2절편에서는 중등도의 발현을 4절편에서는 강한발현을 보였고, 유육종증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 중 3절편에서 중등도의 발현을, 3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폐의 호산구성 육이종이 원인이 되는 간질성 폐질환 6절편중 2절편에서 중등도의 발현을, 4절편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결론 : TGF-$\beta$의 발현 증가는 특발성 폐섬유증, bleomycin, 유육종증 및 폐의 호산구성 육아종에 의한 간질성 폐질환에 있어서 폐섬유증의 병인과 상당한 관련이 있음을 암시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그라목손 중독에 의한 폐섬유화와 동반된 거대 폐기포 - 1례 보고 - (Giant Bulla with Pulmonary Fibrosis Caused by Gramoxon Toxicity -A case report-)

  • 정진악;금동윤;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9호
    • /
    • pp.773-776
    • /
    • 2000
  • Accidental or suicidal fatalities of paraquat(Gramoxon) poisong are occasionally seen in the emergency room or intensive care unit in this country. In most cases, respiratory symptoms and eventual death by respiratory distress occur within several days. The most striking pathologic change is fibrosis of the lung due to widespread proliferation of fibroblastic cell. We experience a 21-year-old woman with huge bulla on left lung and diffuse fibrosis in other site, who ingested paraquat 10 months ago. After thoracoscopic removal of bulla, the patient survive without progression of pulmonary complication till n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