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key BE

검색결과 1,164건 처리시간 0.027초

MITM 공격에 안전한 P2P 신뢰전송 메커니즘의 설계 (Designing Reliable P2P Transmission Mechanism Against MITM Attack)

  • 김상춘;권혁찬;나재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03-109
    • /
    • 2008
  • 많은 인터넷응용에서 인증 및 메시지 무결성을 제공하기 위해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몇몇 연구에서는 PKI 기반의 P2P 서비스를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P2P 응용의 경우 P2P의 open, dynamic, heterogeneous, autonomous 한 특성상 PKI의 적용이 어려우며, 특히 국가간 상호운용성을 지원하지 못하는 것도 P2P에의 적용을 현실적으로 어렵게 만든다. 본 논문에서는 PKI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MITM 공격에 안전한 P2P 신뢰전송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본 메커니즘에서 각 피어는 자신의 공개키/비밀키 쌍을 자체적으로 생성하고 분배한다. 이 경우 MITM(Man in the Middle Attack) 공격에 취약하다는 문제가 있으나, 제안한 메커니즘은 MITM 공격에 대한 안정성을 제공한다. 본 메커니즘은 P2P 기반의 파일공유, IPTV, 분산자원 공유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이 가능하다.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의 NTRU에 기반한 키 교환 스킴 (An NTRU-based Key Agreement Scheme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구남훈;조국화;고병환;권순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5C호
    • /
    • pp.445-453
    • /
    • 2010
  • 연산 과부하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공개키 암호방식의 사용은 힘들다고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의 일부 연구에서는 키 사이즈, 데이터 사이즈, 연산 시간, 전력 소비 등이 다른 공개키 암호들에 비해 적은 공개키 암호방식을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결과가 있다. NTRU 암호방식은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개키 암호방식 중의 하나로 꼽힌다. 하지만 실제로 무선센서네트워크에 적용할 수 있는 NTRU에 기반한 효율적인 키 교환 스킴은 많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무선센서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NTRU에 기반한 효율적인 키 교환 스킴을 제안한다.

Identity-Based Multiple Key Agreement Scheme

  • Dehkordi, Massoud Hadian;Alimoradi, Rez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2호
    • /
    • pp.2392-2402
    • /
    • 2011
  • In order to protect some important information communicated through an insecure network, a common hidden key must be used. One can produce the common hidden key using key agreement protocols; and this helps to have high security in modern data networks. Today, the designers of public key cryptography protocols try to set the public identity of a system's users (like their email addresses) as their public key. This not only makes a cryptographic protocol more efficient but also decreases its cost. These protocols are called "identity-based". In this article, an identity-based multiple key agreement scheme will be presented; this scheme uses the challenge-response method to do the verification. While the number of random values produced in our scheme is the same as other schemes, the number of keys generated in this scheme is much more than what many other key agreement schemes produce,. Therefore, we will have less computational complexities campered with other schems. In this paper, we consider the security of our scheme and consequently, we will show that it satisfies many security conditions such as strong security.

네트웍 환경에서 안전한 Kerberos 인증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cure Kerberos Authentication using Trusted Authority in Network Structure)

  • 신광철;정진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23-133
    • /
    • 2002
  • 네트웍 환경에서 Kerberos 인증 메커니즘은 Server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다른 영역에 있는 Kerberos Server를 신뢰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상호운용 영역에 있는 Kerberos Server는 다른 영역의 Server와 비밀키를 반드시 공유하여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IETF CAT의 공개키 기반구조를 갖는 PKINIT/PKCROSS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디렉토리 시스템(Directory System)을 사용하여 영역과 영역사이의 서비스가 신뢰센터를 통하여 각 Kerberos를 증명 할 수 있도록 하는 신뢰센터 기반의 안전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서로 다른 영역의 Kerberos Server는 각 Server의 비밀키와 공유키를 미리 알고 있어야 하지만 신뢰기관을 통하여 각 영역의 공개키 값 및 공유 키 값을 획득하도록 하여 응용 Server가 KDC(Key Distribution Center)에 키를 등록해야 하는 과정을 배제하였다.

불연계성을 갖는 다중 공개키 암호 시스템 (Multiple and Unlinkable Public Key Encryption without Certificates)

  • 박소영;이상호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6권1호
    • /
    • pp.20-34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서로 다른 그룹 및 응용 서비스에서 다수의 아이디 기반 공개키를 사용하되, 하나의 복호키를 이용하여 각 공개키로 암호화된 암호문을 모두 복호화 할 수 있는 불연계성을 갖는 다중 아이디 기반 공개키 암호 시스템을 새롭게 제안한다. 공개키는 서로 불연계성을 갖기 때문에, 공격자가 알려진 공개키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나 행동 패턴을 수집하거나 추적할 수 없으므로, 사용자 프라이버시가 보장되고, 인증서를 필요로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아이디 기반 암호 스킴이 갖는 key escrow문제도 해결하였다. 반면에, 다수의 공개키에 대해서 하나의 복호키가 사용되므로, 복호키의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해 복호키 갱신 프로토콜도 함께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암호 시스템이 랜덤 오라클 모델에서 선택적 암호문 공격(adaptively chosen-ciphertext attack)에 대해 안전함을 증명한다.

A Certificateless-based One-Round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Protocol to Prevent Impersonation Attacks

  • Ren, Huimin;Kim, Suhyun;Seo, Daehee;Lee, Imye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5호
    • /
    • pp.1687-1707
    • /
    • 2022
  • With the development of multiuser online meetings, more group-oriented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for instance collaborative work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AGKA) schemes provide a shared group key for users with after their identities are confirmed to guarantee the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of group communications. On the basis of the Public Key Cryptography (PKC) system used, AGKA can be classified as Public Key Infrastructure-based, Identity-based, and Certificateless. Because the latter type can solve the certificate management overhead and the key escrow problems of the first two types, Certificateless-AGKA (CL-AGKA) protocols have become a popular area of research. However, most CL-AGKA protocols are vulnerable to Public Key Replacement Attacks (PKRA) due to the lack of public key authentication. In the present work, we present a CL-AGKA scheme that can resist PKRA in order to solve impersonation attacks caused by those attacks. Beyond security, improving scheme efficiency is another direction for AGKA research. To reduce the communication and computation cost, we present a scheme with only one round of information interaction and construct a CL-AGKA scheme replacing the bilinear pairing with elliptic curve cryptography. Therefore, our scheme has good applicability to communication environments with limited bandwidth and computing capabilities.

Current Evidence on the Association between rs3757318 of C6orf97 and Breast Cancer Risk: a Meta-Analysis

  • Hong, Yuan;Chen, Xue-Qin;Li, Jiao-Yuan;Liu, Cheng;Shen, Na;Zhu, Bei-Bei;Gong, Jing;Chen, Wei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9호
    • /
    • pp.8051-8055
    • /
    • 2014
  • Background: A common genetic variant rs3757318, located in intron of C6orf97, was firstly identified to be associated with breast cancer (BC) risk by a genome-wide association (GWA) study. However, subsequent validation studies with different ethnicities have yielded conflicting results.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meta-analysis to synthesize all available data for evaluating the precise effect of this variant on BC susceptibility. Results: A total of 8 articles containing 11 studies with 62,891 cases and 65,635 controls were included in this meta-analysis. When compared to the G allele, the rs3757318-A allel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C risk with the pooled OR of 1.21 (95% CI=1.15 - 1.29, P<0.001) but with obvious between-study heterogeneity (P=0.040). Stratified analysis suggested that diversity of ethnicity along with control source may explain part of the heterogeneity. Similarly,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also identified in heterozygote, homozygote, dominant and recessive genetic models. Sensitivity and publication bias analyses indicated robust stability of our results. Conclusions: Our present meta-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variant rs3757318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BC risk. Nevertheles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underlying biological mechanisms.

스마트폰뱅킹을 위한 공인인증서 복사 프로토콜의 취약점 분석 (On the Security of Public-Key-Certificate-Relay Protocol for Smart-Phone Banking Services)

  • 신동오;강전일;양대헌;이경희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9호
    • /
    • pp.841-850
    • /
    • 2012
  • 최근 대다수의 국내 은행들은 스마트폰뱅킹 서비스를 제공한다. 스마트폰뱅킹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PC에 보관된 공인인증서와 개인키를 스마트폰으로 복사해야 한다. 하지만 사용자가 USB 케이블을 이용해 PC에서 스마트폰으로 직접 복사하는 방법은 편의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보안 솔루션 기업은 중개서버를 두어 공인인증서를 복사해주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인인증서 복사 프로토콜의 보안성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한 공격을 보인다. 우리는 네트워크 도청을 통해 사용자의 공인인증서와 개인키를 추출할 수 있었다. 또한, 공인인증서를 안전하게 복사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클러스터 기반의 효율적 키 관리 프로토콜 (A Cluster-based Efficient Key Management Protocol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정윤수;황윤철;이건명;이상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3권2호
    • /
    • pp.131-138
    • /
    • 2006
  • 안전한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의 구축을 위하여 노드 간에 전송되는 메시지를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자원의 제약성 때문에 일반 네트워크에서 사용하는 Diffie-Hellman이나 공개키 기반 키 협의 방법은 적합하지 않다. 최근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사전 키 분배 방법은 q-composite 랜덤 키 사전 분배 방법을 사용하여 확률적으로 키를 분배하지만 센서 노드간의 공유키가 존재하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고, 공유키를 발견하는데 시간과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어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적합하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확률적 키에 의존하지 않는 클러스터 기반의 새로운 키 관리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 프로토콜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동안 사전 배치 전에 센서간 공유하고 있는 공통키 사용을 통하여 센서의 키 전송/수용과정을 제거하였기 때문에 키 관리 효율성이 높다. 또한 네트워크상에 존재하는 타협된 노드들을 안전하게 탐지할 수 있도록 lightweight 침입탐지 메커니즘 기능을 적용함으로써 안전성 문제를 해결한다.

Cross-Realm 환경에서 패스워드기반 키교환 프로토콜 (Password-Based Key Exchange Protocols for Cross-Realm)

  • 이영숙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39-150
    • /
    • 2009
  • Authentication and key exchange are fundamental for establishing secure communication channels over public insecure networks. Password-based protocols for authenticated key exchange are designed to work even when user authentication is done via the use of passwords drawn from a small known set of values. There have been many protocols proposed over the years for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in the three-party scenario, in which two clients attempt to establish a secret key interacting with one same authentication server. However, little has been done for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in the more general and realistic four-party setting, where two clients trying to establish a secret key are registered with different authentication servers. In fact, the recent protocol by Yeh and Sun seems to be the only password authenticated key exchange protocol in the four-party setting. But, the Yeh-Sun protocol adopts the so called "hybrid model", in which each client needs not only to remember a password shared with the server but also to store and manage the server's public key. In some sense, this hybrid approach obviates the reason for considering password authenticated protocols in the first place; it is difficult for humans to securely manage long cryptographic keys. In this work, we introduce a key agreement protocol and a key distribution protocol, respectively, that requires each client only to remember a password shared with its authentication ser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