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social nursing care

검색결과 134건 처리시간 0.019초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생활방식, 강인성 성역할 특성의 관계 (Health Promoting Life style, Hardiness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in Middel-Aged Women)

  • 서연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38-157
    • /
    • 1996
  •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e perception of health promotion with development of the economic state and science. Individual's responsibility and psychosocial factors have impacted on the individual's lifestyle. Health promotion can be maintained or improved through changes of lifestyle of individuals. Also, there has been supported results of health behavior health has been focused on menopausal symptom and reproductive organ. Until recently, little research has been available on the health or health care of midlife wom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ardiness, gender role characteristics. A total of 254 items of data were obtained from randomly selected subject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SPSS, yielding frequency, mean.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the mean score was 116.3, the highest score was nutrition(3.30) and interpersonal support(2.86), the lowest score was exercise(1.68). The highest subscale for the hardiness was committment(2.44). Also for the gender role characteristics was higher than median score(37.8). 2)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the demographic variables. A total health promotion lifestyle was predicted by income and marriage satisfaction, hardiness was predicted by education, income, marriage satisfaction, support person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was predicted by education. 3) With regard to the relationship among health promoting lifestyle, hardiness, gender role characteristic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hardiness was r=-.48, p<.001.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alth promoting lifestyle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r=.22, p<.01), hardiness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r=-.39, p<.001). 4)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on the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score using the demographic variables, hardiness subscale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for independent variables. A total of 25% of the variance was explained inthe total health promoting lifestyle by the control, challenge and marriage satisfaction. In conclusion, hardiness and gender role characteristics were engaged in health promoting activity in midlife women. This study also provides new information about the health practices that midlife women report they practice. Therefore,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 women's health have to be planed program that consider on the ba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 PDF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on Suicidal Ideat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 박금숙;김영희;이경완;유영수;정헌영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39-48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hwa-byung, self-perceived health, life-stress,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factors affecting on suicidal ideat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were 165 elderly in I cit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November $21^{st}$ to December $5^{th}$ of 2014 by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by SPSS/PC 17.0. Results: There were more females than males in hwa-byung (t=.-3.068, p=.003). In the visit parent, more than once a month was a significantly higher in social support (t=.3.333, p=.001). Hwa-byung (t=.-2.577, p=.011), life-stress (t=.-3.800, p=.001), depression (t=.-2.776, p=.006), and suicidal ideation (t=.-4.316, p<.001) were shown to be high in the elders with lower level of living. Subjects with health insurance had high self-perceived health (t=-3.800, p=.001) and low hwa-byung (t=-4.102, p<.001), life-stress (t=-4.482, p<.001), depression (t=-5.296, p<.001), and suicidal ideation (t=.-2.152, p=.036), according to the type of insurance. In the correlation, sleeping hours (r=-.180, p=.020), self-perceived health (r=-.364, p,.001), and suicidal ide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hwa-byung (r=.404, p<.001), life-stress (r=.300, p<.001), social support (r=-.310, p<.001), depression (r=.423, p<.001) and suicidal ide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Factors affecting the suicidal ideation in community dwelling elders were depression (${\beta}$=.42, p<.001), hwa-byung (${\beta}$=.23, p=.004), social support (${\beta}$=-.18, p=.012), and level of living (${\beta}$=.24, p=.001). Discussion: For the prevention of elderly suicide, it is necessary to care for psychosocial status and solve economic difficulties through social support.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Inquiry of the Perception of Death in School Age)

  • 전영란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13-28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그들의 죽음인식에 대한 주관적 구조와 유형을 탐색하여 학령기 아동에게 죽음인식을 이해하며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시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방법: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에 관한 주관적인 구조와 유형을 탐색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사용하였다. Q-모집단은 학령기 아동 20명을 대상으로 중립적 면담과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하고 문헌연구를 통하여 총 132개의 진술문을 수집하였으며. Q표본은 비 구조화된 방법을 통해 23개의 진술문(Q-표본)을 도출하였다, P표본은 학령기 아동 31명(8세-13세)이었으며 Q카드를 이용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C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 유형은 5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 유형은 기능적형으로 죽음의 구성요소인 비역행성, 보편성, 비기능성, 인과성에 대한 주관적 인식이 두드러진 유형이었다. 제 2 유형은 사후 세계형으로 기독교의 종교적 배경을 가진 아동들과 직계가족의 죽음을 경험을 했으며 사후세계에 대하여 강한 내세 중심의 죽음인식이 두드러진 유형이었다. 제 3 유형은 종교형으로 죽어서도 가족과 친구들을 지켜볼 수 있다는 믿음이 강하기 때문에 사후세계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이 확실한 유형이었다. 제 4 유형은 공포형으로 죽음에 대한 공포가 타 유형에 비하여 강한 유형이었다. 제 5 유형은 현실형으로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에 강한 긍정적인 동의를 보이는 유형이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주는 간호학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간호실무면에서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의 주관성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문헌이나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죽음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의 차원에서 좀 더 확대되어 학령기 아동이 인지하는 죽음의 정의, 사후세계,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수준을 이해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라 학령기 아동들의 효과적인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사용하여,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죽음 경시풍조 및 만연된 자살을 예방하고 올바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밑거름이 되는 역할을 담당 할 것이다. 간호이론 면에서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의 주관적 구조와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고 탐색함으로써 학령기 아동의 죽음인식 모델 구축과 나아가 생명존중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간호연구 면에서 학령기 아동에게 유형별로 긍정적인 죽음인식과 더 나아가 생명 존중의 측면에서 심리사회적 간호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간호중재 전략의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유방암 환자의 통증, 우울 및 불안 증상 조절에 아로마 자가 치료의 효과 (The Effects of Aroma Self Massage in Hands on Pain, Depressive Mood and Anxiety in Breast Cancer Patients)

  • 손근주;김명자;이준영;이재복;김수현;김정아;정회현;최승완;최윤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8권1호
    • /
    • pp.18-29
    • /
    • 2005
  • 목적: 아로마테라피는 진통 효과, 항우울 및 항불안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대체 의학의 한 종류이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아로마 오일로 손 마사지를 교육시킨 후 대조군과 비교하여 활력 징후, 통증의 강도, 우울, 그리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 아로마 자가 치료의 효능을 검증 하고자 하였다. 방법: 20세 이상 유방암 환자 3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비맹검 무작위 방법을 이용하였다. 아로마 자가-치료군(n=15)은 2주간 집에서 스스로 아로마 오일(프랑켄센스 버가못, 라벤더)을 사용하여 하루 2회 손 마사지를 시행하도록 하였고, 대조군(n=17)에게는 어떠한 중재도 하지 않았다. 두 군 모두에서 0, 1, 3 주에 3회에 걸쳐 통증 강도(Visual Analogue Scale: VAS, $0{\sim}10cm$), 불안(State-anxiety in 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및 우울(Beck Depression Inventory Scales: BDIS), 스트레스(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 BEPSI수정판) 등을 조사하여 두 군 간의 자가치료 전, 후의 변화량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아로마 자가치료 후 환자의 동반 증상 변화도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통증 강도는 대조군과 비교시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VAS score $0.83{\pm}1.01\;vs\;0.38{\pm}0.86$, P=0.0046). 동반 증상의 수도(P=0.044), 우울 정도(P=0.001) 그리고 불안정도도아로마 자가 치료군(P=0.008)에서 2주 후 의미 있게 감소하였으나, 대조군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정도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0.05{\pm}0.85\;vs\;0.04{\pm}0.20$ P=0.1519), 우울 정도, 불안 정도, 스트레스 정도는 자가치료 순응도가 좋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아로마 자가 치료군에서 수축기 혈압은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4.53{\pm}14.43mmHg\;vs\;0.0{\pm}7.22mmHg$, P=0.152). 자가 치료군에서 환자들은 두통(20%), 감각이상(6.7%), 오심(6.7%) 등의 부작용을 호소했으나, 이들 모두 일시적인 것으로 자가치료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들에게 아로마 손 마사지 교육을 시킨 후 자기 스스로 2주간 시행한 결과, 통증강도, 우울 및 불안 정도가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