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sychological distress

검색결과 282건 처리시간 0.032초

The Myth of Not Disclosing the Diagnosis of Cancer: Does it Really Protect Elderly Patients from Depression?

  • Silay, Kamile;Akinci, Sema;Ulas, Arife;Silay, Yavuz Selim;Akinci, Muhammed Bulent;Ozturk, Esin;Canbaz, Merve;Dilek, Imdat;Yalcin, Bulent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837-840
    • /
    • 2015
  • Background: The disclosure of a diagnosis of cancer is complex, particularly in older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ge and not knowing the diagnosis, and its impact on mood.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included 70 patients with various types of solid and hematologic cancer in early stages, which were followed up in an outpatient oncology/hematology clinic in Turkey between January, 2014 and June, 2014. Initially the caregivers of patients were asked whether the patients knew their diagnosis or not. A questionnaire for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was then administered to the patients. Patient age, gender, marital status and education level were not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knowing the diagnosis and depression. Results: Of the 70 patients, 40% of them were female. The mean age was $68.2{\pm}8.9$. The rate of the patients who does not know their diagnosis was 37.1% (n=26). The overall depression rate with GDS was found 37.1% (n=26) among the participants.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knowing the diagnosis (p=0.208) although the association between not knowing the diagnosis and age was significant (p=0.01).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revealed no association between not knowing the diagnosis and depression in elderly patients. Contrary to what some has thought, the patient is not protected from psychological distress by not being informed about the diagnosis. We believe this study and similar ones will help to discuss and further explore patient autonomy, the principle of respect to self-determination and end of life issues in different cultures.

소비자의 유념성과 강박구매 (Consumers' Mindfulness and Compulsive Buying)

  • 한웅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2호
    • /
    • pp.93-100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on compulsive buying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depending on the level of mindfulness. Compulsive buying is defined as chronic, repetitive purchasing that becomes an overlearned and automatic way to cope with negative feelings, and compulsive buyers may be particularly susceptible to cognitive narrowing when shopping. Mindfulness may be defined as a coordinative regulatory process to increase the level of attention by recognizing the present experiences non-judgmentally. Hence, mindfulness can be related with negative psychological results such as general mental distress, especially compulsive buy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lsive buying and mindfulness. In another wor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internal regulatory mechanism (that is, mindfulness) on the mental disorder resulting from negative affect in the area of consumption (that is, compulsive buy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One hundred and twenty-five college students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 negative affect (High Negative Affect Group vs. Low Negative Affect Group) by the mean value of negative affect (=2.47).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wo other groups according to the degree of mindfulness (High Mindfulness Group vs. Low Mindfulness Group) by the mean value of mindfulness (= 3.47). To analyze the effect of negative affect on compulsive buying, the degree of compulsive buying of the High and Low Negative Affect Groups were compare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mindfulness by using factorial design,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High vs. Low) and the mindfulness (High vs. Low) were analyzed. Results - The degree of the compulsive buying was higher when the degree of the negative affect was higher than lower (3.06High Negative Affect Group vs. 2.87Low Negative Affect Group, p=.014). The difference in the degree of the compulsive buying was larger when the degree of the mindfulness was lower than higher. 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and the mindfulness on the compulsive buying could be found (F(1,124)=10.098, p<.01).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the compulsive buying is influenced by the negative affect and that the effect of the negative affect on the compulsive buying varies depending on the level of the mindfulness.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to imply that consumers who are in a state of high mindfulness pay attention to every minute of experience and activate the coordinatory function and that, eventually, habitual and reflective responses such as compulsive buying are restricted. It is concluded that consumers' mindfulness can facilitate the self-regulatory responses and allevi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compulsive buy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areas were suggested.

기부 광고 효과에 대한 ERP 연구: 심상과 주의 (An ERP study on charitable donation ad effects: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 성영신;김지연;강정석
    • 감성과학
    • /
    • 제17권2호
    • /
    • pp.3-12
    • /
    • 2014
  •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 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기부 광고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을 근거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 ${\rightarrow}$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rightarrow}$ 정서적 경험 ${\rightarrow}$ 기부의향'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증 전신성 홍반성 루프스 환자의 인지기능장애 (Cognitive Impairment in the Patients with Mildly Active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김진희;이철;이창욱;백인호
    • 정신신체의학
    • /
    • 제5권1호
    • /
    • pp.89-96
    • /
    • 1997
  • SLE 환자들에서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신경정신과적 병력이 없는 내과 외래 SLE 환자 20명과 정상 대조군 20명을 대상으로 전산화 신경인지기능 검사인 Vienna test system을 시행하고 이를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임상 변인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LE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신경인지기능 검사의 각 항목 비교 인식력 검사항목에서 SLE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정확하게 응답한 반응수가 적었으며 '예'와 '아니오' 중 '아니오'를 정확하게 반응한 수도 적었다. 또한 '예'와 '아니오'에 대해 각각 정확한 반응을 하는 평균 반응시간이 길었으며 검사소요 시간도 길었다. 주의력 검사항목에서는 SLE 환자군이 정상 대조군에 비해 정확하게 응답한 반응수가 적었고, 평균 반응시간이 길었다. 그러나, corsi단기 기억력 검사항목에서는 시각적 단기 기억력 범위와 정확하게 맞춘 총 응답수에서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표준도형 지능검사항목에서 SLE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정확하게 응답한 반응수가 적었다. 신경행동학적 인지상태 검사중 기억력 항목에서 SLE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점수를 보였다. 2) 신경인지기능의 각 항목과 환자군의 연령, 교육연한, SLE 질환 활성도(SLE Disease Activity Index), 우울 증상의 정도, 항 ds-DNA항체. 보체 C3/C4, 스테로이드의 용량 등의 임상 변인들과의 상관관계를 비교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질환 활성도가 낮은 SLE환자들은 과거 신경정신과적 증상의 병력이 없고 병의 이환 기간이 비교적 짧음에도 불구하고 인지기능의 장애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이는 기타 장기의 침범으로 인한 비특이적 영향이 아닌 중추신경계의 침범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우울정도나 스테로이드 용량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ll$소문(素問).영추(靈樞)$\gg$에 나타난 이명(耳鳴)에 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Tinnitus of Huangdi's Internal Classic $\ll$황제내경(黃帝內經)$\gg$)

  • 변석미;탁명림;강나루;고우신;윤화정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24-252
    • /
    • 2010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innitus of Plain Questions $\ll$素問$\gg$ and Miraculous Pivot $\ll$靈樞$\gg$. Methods : We conducted a study on the original text paragraphs of Internal Classic $\ll$內經$\gg$ containing the tinnitus and analysis of Yang, Ma, Zhang, Wang etc. We drew a parallel between tinnitus from Internal Classic $\ll$內經$\gg$ and matching diagnoses from western medicine.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innitus in Plain Questions $\ll$素問$\gg$Tong Pyeong Heo Sil Ron <通評虛實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diabetes mellitus complication and schizophreniform disorder in western medicine. 2. Liver fire tinnitus in Plain Questions $\ll$素問$\gg$ Yuk Won Jeong Gi Dae Ron <六元正紀大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psychological distress in western medicine. 3. Phlegm fire tinnitus in Plain Questions $\ll$素問$\gg$ Ji Jin Yo Dae Ron <至眞要大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meniere's disease and malfunction of autonomic nervous system in western medicine. 4. Blood deficiency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Sa Gi Jang Bu Byeong Hyeong <邪氣藏府病形>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anemia in western medicine. 5.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Gyeong Geun <經筋> was similar to the myofacial pain syndrome of the sternocleidomastoid muscle and the masseter muscle in western medicine. 6. Gallbladder deficiency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Gwol Hyeong <厥病>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otitis media and labyrinthitis in western medicine. 7. Kidney deficiency tinnitus in Miraculous Pivot $\ll$靈樞$\gg$ Gyeol Gi <決氣> and Hai Ron <海論> was similar to the symptoms of degenerative auditory organ in western medicine. 8. Tinnitus in Internal Classic $\ll$內經$\gg$ showed close relations with the symptoms of the wind character. Conclusion : We analyzed the original text paragraphs of Internal Classic $\ll$內經$\gg$ and explanations about tinnitu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compare oriental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diagnoses to develop better treatments for tinnitus.

외상성 뇌손상 환자에서 보상추구 여부에 따른 성격평가질문지 반응 양식의 차이 (Differential Response Style on the Personality Assessment Inventory according to Compensation-Seeking Status in Patients with Traumatic Brain Injury)

  • 김연진;권석준;노승호;백영석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12-19
    • /
    • 2015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 중 금전적 보상 추구 여부에 따라 나타난 성격평가질문지(PAI) 결과의 특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 법 일 대학병원 정신건강의학과에 내원하여 PAI를 실시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을 대상으로 보상추구 여부에 따라 보상집단(N=22)과 치료집단(N=14)으로 나누어 각 집단의 PAI 전체척도와 하위척도 프로파일을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타당성척도에서 보상집단은 치료집단에 비해 부정적 인상 척도(NIM)점수는 유의하게 높았고, 긍정적 인상척도(PIM)점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전체 임상척도에서 보상집단은 치료집단보다 신체적 호소(SOM), 불안(ANX), 불안관련 장애(ARD), 우울(DEP), 정신분열병(SCZ)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하위 임 상척도에서 보상집단은 치료집단보다 신체화(SOM-C), 정서적 불안(ANX-A), 공포증(ARD-P), 우울(DEPC, A, P), 초조성(MAN-I), 과경계(PAR-H), 사고장애 및 정신병적 경험(SCZ-T, P), 정서적 불안정 및 부정적 부정적 관계(BOR-A, N), 자극추구(ANT-S) 척도에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다. 보조척도에서 보상집단이 치료집단보다 자살관념(SUI), 비지지(NON), 신체적 공격(AGG-P) 척도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치료거부척도(RXR) 점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결 론 외상성 뇌손상 환자 중 보상추구 여부에 따라 PAI 상에서 타당도와 대부분의 전체 및 하위 임상척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상집단은 증상을 더욱 과장하고 부정적으로 왜곡하는 반응을 나타냈다.

호스피스 완화의료에서의 초기평가와 돌봄 계획의 수립: 평가도구를 중심으로 (Initial Assessment and Care Planning in Palliative Hospice Care: Focus on Assessment Tools)

  • 박은주;고수진;천재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2호
    • /
    • pp.67-76
    • /
    • 2019
  • 포괄적이고 총체적 돌봄을 제공하는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경우 평가도구를 사용하여 문제목록의 객관화하고 돌봄 계획의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초기평가는 입원 당일 혹은 1일 이내에 환자의 증상과 사회적, 영적 문제, 완화의료에 대한 요구가 무엇인지 파악하며 개괄적인 돌봄의 방향을 설정하는 과정이다. 현재 병에 대한 인식과 예후를 파악하는 것부터 연명의료계획서 작성까지 함께 검토한다. 초기평가도구로는 간단하지만 포괄적으로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영적 영역을 아우르는 13개의 간단한 질문으로 구성된 NEST를 추천한다. 초기평가에서 파악된 문제에 대하여 구체적인 평가도구들을 활용하여 돌봄 계획을 수립하며 입원 후 3일이내 시행하는 것이 좋다. 신체적 영역의 경우 기능상태를 포함하여 통증과 비 통증 증상, 삶의 질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다증상 평가도구가 도움이 될 수 있다. 환자의 증상은 단독으로 의미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며, 그에 따라 포괄적으로 접근해야 하기 때문이다. 정신심리적 영역은 심리적 고통과 불안, 우울을 평가한다. 사회적 영역의 평가는 의사결정, 사회경제적 환경 파악, 가족 평가 및 임종 준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영적 평가 역시 중요한데 FACIT-Sp나 SHI를 사용할 수 있다. 평가도구를 활용하는 것은 환자의 고통을 경감시키고 삶의 질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의료진이 체계적으로 훈련되는 방안이 될 수 있으며 그 과정 자체가 더 나은 돌봄 제공을 위한 발판이 될 수 있다.

신체증후군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인 노인 이민자를 중심으로 (An Exploration of Somatization among Korean Older Immigrants in the U.S.)

  • 안준희
    • 한국노년학
    • /
    • 제28권4호
    • /
    • pp.1179-1200
    • /
    • 2008
  • 이민자의 신체화증후군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기존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져왔다. 선행연구들은 신체화증후군이 노년기 이민자들의 문화적 차이로 인한 우울증 증상의 유형으로 제시하였을 뿐, 이민자의 우울증 설명할 수 있는 실증적인 연구 모형으로 연결되지 못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신체화증후군에 대한 이해를 제고시키기 위해, 관련 변수들과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미국 뉴욕 대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55세 이상의 한국 이민지 234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거주형태, 보유 질병의 수, 우울증이 신체화증후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적 질병 횟수와 주관적 건강 상태는 신체화증후군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년기 한인 이민자들의 신체화증후군이 우울증을 표현하는 문화 특성적 행동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이를 통해 신체화증후군뿐만 아니라 우울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문화적으로 민감한 정신보건 서비스를 개발 및 실행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신체화증후군의 원인을 규명하는 기반 연구가 될 것이라는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 (The Changes of the Heart Rate, Hand Funct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rough the Increase of the Auditory Stimulation)

  • 손성민;강진호;박아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7-2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지적장애인의 심박수,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인 16명이다. 청각자극 중가는 음악의 볼륨을 통해 조절되었고, 60dB, 65dB, 70dB로 자극의 강도를 증가시켜 적용하였다.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Xeno 손목형 심박수와 혈압 측정기(LHY Health, Co., China)를 활용하여 심박수를 측정하였다. 손 기능의 측정은 퍼듀 페그보드를 활용하여 손 기능을 측정하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ort-form 8 health survey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청각자극 증가에 따라 심박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손 기능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건강관련 살의 질은 청각자극 적용 후 감소하였다. 이에 청각자극 증가에 따른 심막수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청각자극 증가는 지적장애인의 심리적 불편감으로 작용하게 되어 심박수를 증가시키며, 손 기능과 건강관련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데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지적장애인의 심박수의 감소와 손 기능,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 환경자극에서 청각자극 강도를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청소년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탐색 (Exploration on Risk and Protective Factors of Adolescent Runaway)

  • 한상철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273-29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 가출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의 문제행동 개입 과정과 양상을 분석함과 동시에 가출의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관련 문헌을 통해 가출의 의미와 원인, 최근 조사결과에 근거한 실태와 특징 등을 분석하고, 청소년 시기에 가출을 야기하는 위험요인(risk factors)이 무엇이며, 그리고 이들 위험요인에도 불구하고 가출로 인한 문제행동을 완충 또는 중재하는 보호요인(protective factors)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그 결과 먼저, 청소년 가출에 대해 이를 더 이상 청소년 개인의 문제로만 인식하지 않고 사회적인 문제로 인식해야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부적절한 가정환경과 부모의 강압적인 양육행동, 부정적인 또래압력과 입시 스트레스 등이 가출의 주요 위험요인이라면 이들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 또는 중재할 수 있는 보호요인으로 사회적 지지, 적극적 대처전략, 부모의 감시 및 통제, 자기 존중감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 가출의 예방은 물론이고 가출 청소년들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을 향상시킴으로써 비행 및 재 가출을 차단할 수 있는 처치 가능성을 높여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