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ximate components

검색결과 281건 처리시간 0.028초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식품 성분 및 항산화 활성 (Food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with White and Purple Colors)

  • 정복미;신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14-1121
    • /
    • 2016
  • 본 연구는 일반과 자색 건조 돼지감자의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유리아미노산 함량, 색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돼지감자의 일반성분은 품종과 관계없이 탄수화물, 조단백, 회분, 수분 함량 순으로 높았으며, 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돼지감자의 품종과 관계없이 가장 높은 무기질은 칼륨이었고, 다음으로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높은 무기질은 칼슘, 마그네슘, 철분, 아연이었고 자색이 일반보다 높은 것은 칼륨, 나트륨, 구리, 망간으로 나타났으나 품종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돼지감자에 가장 많이 함유된 아미노산은 품종과 관계없이 arginine이었고, 다음으로 asparagine, 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cystine, leucine, tyrosine이었고, 일반시료가 자색시료보다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난 아미노산은 phosphoethanolamine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L, a, b 모두 일반시료보다 자색시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항산화 활성에서는 방법론 중 ABTS assay를 제외하고는 모든 활성에서 자색시료가 일반시료에 비해 항산화 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일부 FRAP와 ORAC assay의 경우 추출물의 낮은 농도에서는 일반시료와 자색시료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색시료의 경우 높은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랙 커런트의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Currant)

  • 정창호;장치원;이구열;김일훈;심기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3-270
    • /
    • 2012
  • 블랙 커런트를 건강기능성 식품 소재 및 가공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블랙 커런트 착즙액의 pH는 3.36, 가용성고형분은 $15.11^{\circ}Brix$ 및 총산도는 1.65%였으며, L값 18.20, a값 5.13 및 b값 1.08으로 나타났다. 일반성분은 수분 77.64%, 가용성 무질소물 17.41%, 조섬유 3.08%, 조단백 1.28%, 조회분 0.31% 및 조지방 0.28% 순이었다. 주요 무기성분은 K, P 및 Ca으로 그 함량은 각각 177.36 mg/100 g, 54.74 mg/100 g 및 26.45 mg/100 g이었다. 블랙 커런트의 주요 유리당은 glucose(7.71%) 및 fructose(5.88%)였으며,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105.73 mg/100 g)이었고,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cystine(5.29 mg/100 g)이었다. 비타민 C 함량과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2.19 mg/100 g 및 34.48 mg/GAE g이었다. 블랙 커런트의 농도 10 및 1.25 mg/mL 일때 각각 99.48%와 89.03%의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또한 환원력과 FRAP은 농도의존적인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블랙 커런트는 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도토리 가루의 성분분석과 항산화능 평가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tive Evaluation in Acorn Powders)

  • 심태흠;김영선;사재훈;신인철;허성일;왕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800-803
    • /
    • 2004
  • 도토리 가루를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개발을 목적으로 도토리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87.29%, 수분 10.57%, 조지방 1.18%, 조단백 0.84%, 회분 0.12% 순으로 나타났다. 도토리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이 40.68mg/100g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P(8.95mg/100g), Ca(8.64mg/100g), Mg(4.67mg/100g), Na(3.94mg/100g), Fe(1.41mg/100g) 순으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7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대부분으로 나타났고 rhamnose, galactose, arabinose, mannose, fucose, xylose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주요 지방산 조성은 oleic acid(C18:1)가 31.87%로 가장 높았고, linoleic acid(C18:2)는 18.72%, linolenic acid(C18:3)는 16.67% 그리고 palmitic acid(C16:0)가 11.32% 순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과는 물 추출물에서 $IC_{50}$$19.0{\mu}g/mL$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고 75% 에탄올 추출물$(IC_{50}:\;21.4{\mu}g/mL)$ 및 메탄올 추출물$(IC_{50}:\;45.2{\mu}g/mL)$순으로 항산화 효과가 측정되었다.

율무와 염주의 식이섬유, 아미노산 및 지질 성분의 비교 (Comparative Studies on the Dietary Fiber, Amino Acids and Lipid Components of Yullmoo and Yeomjoo)

  • 우자원;이미숙;이희자;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9-275
    • /
    • 1989
  • 현율무, 율무쌀, 율무겨 그리고 현염주를 시료로 하여 일반성분, 총 식이섬유 함량, acid detergent fiber 함량, lignin 함량, 수분 결합력, 아미노산 조성 및 중성지질 조성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율무쌀의 총 식이섬유량은 2.70% 였고, 현율무는 3.86% 였으며 현염주는 4.33% 그리고 율무겨는 13.12%였다. Acid detergent fiber 양은 율무쌀이 1.81%로 가장 낮았고 현율무, 현염주는 각각 3.45%, 3.26%로 비슷한 값이었다. 율무겨에서 추출한 총 식이섬유와 acid detergent fiber 의 수분 결합력을 측정하여 비교한 바 총 식이섬유의 수분 결합력은 $2.63{\pm}0.02g\;H_2O/g\;TDF$로 매우 낮았고, acid detergent fiber의 수분 결합력은 $5.89{\pm}0.152g\;H_2O/g\;ADF$였다. 율무쌀, 현율무, 현염주 그리고 율무겨의 아미노산 조성은 glutamic acid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leucine 이었으며, 율무쌀의 경우 leucine 의 chemical score는 189로 매우 높았으며 반면에 lysine의 chemical score는 22-32 사이로 매우 낮아 율무, 염주의 제한 아미노산이 되었다. 지질성분은 중성지질이 80.89%-96.55% 범위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당지질이 2.35%-7.48% 사이로 현염주의 당지질 함량이 가장 낮았다. 인지질은 함량이 매우 낮아서 1.10%-2.12% 범위였다. 각 지질 성분의 지방산 조성은 palmitic acid, oleic acid 그리고 linoleic acid 였으며 현염주를 제외하고는 조성상에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 PDF

전남 여수 돌산지역에서 재배되는 천년초의 부위별 식품성분 분석 (Food Components of Different Parts of Cheonnyuncho (Opuntia humifusa) Harvested from Yeosu, Jeonnam in Korea)

  • 정복미;한경아;신태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9호
    • /
    • pp.1271-1278
    • /
    • 2011
  • 천년초의 부위별 영양성분을 알아보고자 전남 여수시 돌산읍의 라파엘 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천년초의 열매, 줄기, 꽃을 동결건조한 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 단백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열매, 조 회분은 줄기, 조 섬유는 열매와 줄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중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망간은 줄기, 철분과 아연은 열매와 꽃, 구리는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열매는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고, 꽃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으며,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꽃, 줄기, 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oleic acid, 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였으며, 당 함량은 열매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꽃,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유기산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으며, 유기산 총 함량은 열매, 꽃, 줄기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은 열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금까지 천년초의 가공제품은 주로 열매를 이용하였으나 줄기와 꽃에도 영양성분이 풍부하므로 앞으로는 줄기와 꽃을 이용하여 가공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솎은 과실의 화학성분 및 생리활성 (Chemical Compon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hinned Apple, Pear and Peach)

  • 정기태;주인옥;류정;최정식;최영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1-395
    • /
    • 2002
  • 솎은 과실의 일반성분은 완숙과실 보다 조단백질, 조지방, 회분함량이 높았으나 탄수화물 함량은 낮았다. 무기물 함량은 Ca> Mg> P> Na> K> B 순이었다. 중금속 중 As, Cd, Cr, Hg는 검출되지 않았고 Ge, Mo, Ni, Pb 등은 극 미량이었다. 유기산은 tartar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등이 검출되었으나 솎은 배는 citr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당은 glucose, fructose, sucrose 등이 검출되었으나 솎은 사과는 sucrose 가 검출되지 않았다. 식이섬유 함량은 불용성 식이섬유가 수용성 식이섬유 보다 높았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효과는 사과 추출액이 RC$_{50}$ 81.2~85.2 ${\mu}\ell$/mL로 가장 활성이 높았고 아질산염 소거능은 반응 pH 1.2에서 솎은 사과와 배 추출액이 각각 80%와 63%로 우수한 효과가 있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배 추출액이 61.0~89.4%로 가장 높았다.다.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Raw Materials of Saengsik, Uncooked Food by Drying Methods)

  • 김철암;오덕환;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88-196
    • /
    • 2006
  • 생식 제조공정 중 주요공정인 건조방법에서 효율적인 방법을 찾기 위하여 건조방법에 따른 생식 원료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당근, 양배추, 표고버섯, 양송이버섯, 미역 김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등 성분의 함량은 열풍건조(50, 55, $60^{\circ}C$)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근, 표고버섯, 미역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실시한 후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양배추(a값), 양송이버섯(L, a, b값), 김(a값)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열풍건조를 거친 시료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당근, 양배추, 미역, 김 중의 Vitamin C와 ${\beta}-carotene$ 함량은 열풍건조를 진행한 시료가 동결건조를 진행한 시료보다 손실이 많이 것으로 나타났고 총 페놀성 화합물과 lectin의 함량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거쳐도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ectin, alginic acid, porphyran 등의 함량은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료에서 증가를 나타냈다. 총 페놀성 화합물, lectin pectin, alginic acid, porphyran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함유한 생식 원료는 열풍건조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경제적일 것으로 생각되며 Vitamin C와 ${\beta}-carotene$과 같이 열에 약한 비타민을 많이 함유한 생식 원료는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토당귀와 일당귀의 화학성분 비교 (Comparision of Chemical Components of Angelica gigas Nakai and Angelica acutiloba Kitagawa)

  • 황진봉;양미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13-1118
    • /
    • 1997
  • 국내에서 재배 수확되는 토당귀와 일당귀를 한방이나 가공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본적인 화학 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은 건물기준으로 토당귀와 일당귀의 조단백질은 각각 18,1, 13.4%, 조지방은 8.9, 4.3%, 조섬유는 8.6, 9.4%,조회분은 7.4, 8.2%, 당질은 57.0, 64.7%이었다. 두 종류의 당귀 속에 함유된 무기질 함량은 칼륨이 각각 2,740.0, 2,582.4 mg%로 가장 높았으며, 유리당 조성은 sucrose가 각각 0.4, 0.3%, fructose와 glucose는 검출되지 않았다. 토당귀와 일당귀의 지방산 조성은 linoleic acid가 각각 60.8, 59.9%, palmitic acid는 17.4, 15.3%. oleic acid는 8.8, 7.7%이었는데 두 시료간 뚜렷한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다. 토당귀와 일당귀의 주요 구성아미산으로 아르기닌이 각각 2599.8, 1543.4 mg% 로 가장 많았고, 티로신이 각각 113.7, 84.9 mg%로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B_1$,는 토당귀와 일당귀에 각각 10.5, 12.2 mg%, 비타민 $B_2$,는 각각 0.1, 0.04 mg%, 지표성분인 decursin은 각각 4.3, 0.8%이었다 탄닌은 토당귀, 일당귀에서 각각 988.0, 900.0 mg%로 분석되었다.

  • PDF

감귤과피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Supplemented with Citrus Peel Powder)

  • 김정현;김민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93-998
    • /
    • 2011
  • 멥쌀 대비 감귤과피분말 2%, 4%, 6%를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CP-A, CP-B, CP-C)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수분함량은 처리군별 유의한 차이 없이 41.2~43.5%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감귤과피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설기떡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조직감에 있어서 경도(hardness), 부착성(adhesiveness)과 씹힘성(chewiness)은 대조군에 비해 감귤과피분말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탄력성(springiness)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단맛에 있어서 감귤과피분말이 첨가될수록 단맛이 낮게 평가되었으며 신맛과 쓴맛이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감귤과피분말 첨가된 설기떡의 관능적 특성은 조직감 중 파쇄성과 경도, 향미중 쓴맛과 신맛 및 색상 및 부착성 그리고 단맛과 조직감 중 씹힘성, 촉촉함 3부분으로 관찰되었다. 제1주성분(PC1), 제2주성분(PC2)의 변동은 79.31%과 14.69%로 총변동의 94.00%가 설명되었다.

Effect of Temperature Variables on Growth and Inorganic Nutrient Cont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 Kwon, Soo-Jeong;Seo, Dong-Yeon;Cho, Gab-Yeon;Lee, Moon-Soon;Boo, Hee-Ock;Woo, Sun-Hee;Kim, Hag-Hyu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131-137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emperature and shade, which are basic environmental conditions, on growth, yield, inorganic components, and general compon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in order to obtain basic data for improving yield capacity. In natural light, in the 15, 20, and $25^{\circ}C$ groups, the plant heights ranged between 218.9 cm and 223.9 cm,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However, the leaf size was larger in shade, and the leaf area was significantly larger in the 15 and $30^{\circ}C$ groups. In natural light, root length and diameter were shorter and thinner when the temperature was higher, and growth was highly suppressed at $30^{\circ}C$. With regards to macroelements, the contents of Na, Mg, and P increased as temperature increased, regardless of the plant part; however, no constant tendency was observed in K and Ca according to temperature. The contents of Mg and Ca (from highest to lowest) were in the order leaf>stem>root, whereas the contents of Na, P, and K were in the order stem>leaf>root. Contents of general components varied according to temperature, and were highest at $30^{\circ}C$. While the plant height was increased under the constant $25^{\circ}C$+DIF (Difference between day and night temperature) condition, growth was suppressed in the -DIF group, in which the night temperature was higher than the day temperature, which suggests that a change in night temperature i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growth of C. lanceolata. As in the growth of the above-ground parts, fresh weight of the root was high in the constant $25^{\circ}C$ group and +DIF group. Notably, it was more than 2.5 times the fresh weights in the constant $15^{\circ}C$ group, constant $20^{\circ}C$ group, and -15 DIF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