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cted culture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5초

Archaeology Characteristics of The Khogno Khan - The Special Protected Area of Mongolia -

  • Bae, Ki-Dong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17
    • /
    • 2005
  • The Khogno Khan mountain special protected area belongs to Khogno Khan subdistrict of Gurvanbulag district of Bulgan Province and is 46.9 sq.km. with its main feature being mountain forest zone. In this paper we present some results of research of the Anthropological and archaeological team of Mongolian Korean Joint research expeditions carryied out in Khogno Khan mountain special protected area from 27 July to 1 August, 2000. During archaeological reconnaissance we discovered around 27 localities of archaeological monuments belonging to different historical periods (from the Neolithic up to the Mongolian period, $13^{th}-17^{th}$ Century) in the territory of the Khogno Khan special protected area. Based on the results, we especially want to point out 1). The archaeological and historic monuments (from the Neolithic up to modern era) found in the Khogno Khan mountain and its surrounding area show that since the Neolithic period (around 8000 years ago) this area was occupied by the ancestors of Mongolians and it was used during subsequent historic periods on the one hand. 2). On the other hand the Khogno Khan mountain region was one area where there occurred intensive admixture between populations of Kurgan culture, Deerstone culture from the West Mongolia and the population of slab graves culture from Central and East Mongolia during Bronze and Early Iron Age. 3). Today the mountain is one of the area with a unique assemblage of archaeological monuments from different historic periods, what naturally seems like an open-air natural museum of Mongolian Prehistory.

  • PDF

허혈성심장(虛血性心臟) 및 심장세포(心臟細胞)에 대(對)한 가미건심탕(加味健心湯)의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The Effects of Gamigunshimtang on the Ischemic Heart Disease & Heart cell in Rats)

  • 박정미;문상관;고창남;조기호;김영석;배형섭;이경섭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1-270
    • /
    • 1998
  • The effects of Gamigunshimtang on the isolated perfused ischemic heart in rats, heart rates, left ventricular pressure, cardiac blood flow and cardiotoxicity were stu.died in H9C2 myoblast cell, myocardial slice cultu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dministration of Gamigunshimtang to the rat recovered effectively heart rate, left ventricular pressure and flow rate from the experimental ischemia in perfused rat heart. The release of lactic dehydrogenase after the ischemia also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2. The administration of Gamigunshimtang to H9C2 myoblast culture enhanced the cell proliferation and protected against doxorubicin and allylamine induced release of the lactic dehydrogenase into the culture medium. It also protected effectively against doxorubicin and allylamine induced decrease of Ca ATPase activity and the increase of NADPH-cytochrome C reductase activity in the microsome. 3. The administration of Gamigunshimtang to the rat myocardial slice culture protected effectively against doxorubicin and allylamine induced decreases of protein synthesis and ATP content, and increases of cvtosolic enzyme, creatin kinase into the medium and lipid peroxidation.

  • PDF

사계성 페치카' 딸기의 고랭지 여름철 양액재배시 배지선택 (Effect of Media on the Growth of 'Pechika' Strawberry Grown in Hydroponics on Highland in Summer)

  • 이한철;강남준;노일래;정호정;권준국;강경희;이재한;이성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7-263
    • /
    • 2006
  • 사철딸기 '페치카' 품종의 고설벤취 양액재배에 의한 고랭지 여름생산(6월-9월)에 적합한 배지를 선발코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재배기간 중 시설 내 상온은 최고온도는 $33{\sim}34^{\circ}C$였고 최저온도는 2003년에는 $16^{\circ}C$, 2004년은 $4.9^{\circ}C$로 연차가 변이가 심하였다. 배지의 물리성에서 비중은 펄라이트가, 용수량은 입상암면+피트모스가 다른 배지에 비해 높았고 처리별 근권온도는 입상암면과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최고온도 $25.5^{\circ}C$, 최저온도 $18^{\circ}C$로 가장 낮았으며,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 왕겨와 피트모스 혼합배지, 펄라이트 순으로 낮았다. 입상암면과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펄라이트 단용배지 보다 주간에 최고$3^{\circ}C$, 야간에 최저 $1^{\circ}C$정도 낮았다. 배지에 따른 초기생육(엽수, 엽장, 엽폭, 생체중)은 펄라이트 단용배지에서 가장 억제되었으며 다른 배지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총수량은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에서 연평균 1,632kg/10a로 다른 처리에 비해 가장 높았지만 2003년에 3,013kg/10a, 2004년에는 732kg/10a로 연차간 변이가 심한 경향이었고 과실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모든 처리에서 $9.5{\sim}10%$로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여름 고온기 딸기 양액재배를 위한 적정배지는 과실품질은 비슷하면서 수량이 높은 펄라이트와 피트모스 혼합배지가 적정하다고 판단된다.

지속가능한 순천만을 위한 보호지역 확대와 정책적 활용을 위한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PES)의 적용 (Establishment of Additional Protected Areas and Applying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PES) for Sustainability of Suncheonman-Bay)

  • 모용원;박진한;손용훈;이동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1-184
    • /
    • 2016
  • Suncheonman-Bay and its surrounding areas play important roles as habitats for migratory birds. However, sustainable management of these areas is difficult because of the development pressure of private lands. Therefore, the areas surrounding Suncheonman-Bay must be classified as additional protected area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gather concrete and objective evidence and ensure protected area management. Further, compensation measures must be considered when acquiring a private property as an additional protected area. In this study, we distinguish protected areas, such as core, buffer, and transition areas, within a private area by using data from the Winter Waterbird Census of Korea and MARXAN software, a spatial conservation prioritization tool. We applied ecosystem services to apply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as compensation measures. Watershed conservation (supply), climate control (regulation), supporting habitats (support), and recreation (culture) etc. were evaluated by calculating the economic value of these ecosystem services. Eastern, western, and northern forests and rice fields of Suncheonman-Bay were shown to have a number of core areas for the pre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The ecosystem service value of the additional protected areas was estimated at 17.5 million KRW/ha/year. We believe that our study result could be used to establish protected areas to preserve major habitats, as well as include areas adjacent to such major habitats that play a vital role in endangered species conservation.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we highlight the need for an objective basis to establish protected areas.

광보상점 이하의 보광이 절화장미 'Vital'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pplemental Lighting of Sub-Compensation Intensities on Growth of Rosa hybrida L. 'Vital')

  • 최영하;권준국;최경이;강남준;전희;조명환;서태철;노미영;이성찬;이재한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2-137
    • /
    • 2008
  • 동계 절화장미 'Vital'재배시 보광이 장미의 생육과 절화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하였다. 보광 광원은 250W의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및 혼합(메탈할라이드등+고압나트륨등)등을 베드 위 120cm 높이에 $310cm{\times}450cm$로 설치하였다. 보광등에서 1m 떨어진 지점의 광도는 $32{\sim}34{\mu}mol{\cdot}m^{-2}{\cdot}s^{-1}$였다. 보광구는 무처리구에 비해 개화소요일수가 1번화는 $5{\sim}8$일, 2번화는 $3{\sim}5$일 단축되었다. 보광구 간에는 혼합등이 개화소요일수가 가장 짧았고, 고압나트륨등, 메탈할라이드등 순 이었으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생육도 보광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좋았다 특히 블라인드 발생이 $5{\sim}7%$ 감소되어 절화수량 증가의 주 요인이었다. 보광구간에는 혼합등이 가장 좋았고, 메탈할라이드등, 고압나트륨등 순 이었으나 큰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보상점보다 낮은 광도의 보광도 개화소요일수 단축 및 블라인드 발생억제에 효과적이었다.

온실 난방공간 최소화가 에너지 절감 및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inimizing the Heating Space on Energy Saving and Hot Pepper(Capsicum annuum L.) Growth in the Plastic Greenhouse)

  • Tae Young Kim;Young Hoe Woo;Ill Hwan Cho;Young Sam Kwon;Si Young Lee;Han Ik Jang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13-218
    • /
    • 2001
  • 2000년 말 현재 전국 시설 재배면적은 52,189 ha이고 이중 가온 재배면적은 13,621 ha이다. 난방비용이 경영비중 차지하는 비중이 시설재배의 선진국의 15%에 비하여 25~30%을 차지하고 있어 난방비의 비중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가온시 시설의 난방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여 처리별 환경 및 작물의 생육상태 및 연료소비량을 조사하였다. 시설내 난방용적을 보면 관행커튼이 661.5m$^3$에 비하여 상하이동 수평커튼은 264m$^3$로 약 60%을 줄일 수 있다. 시설억제 재배에 있어서 처리별 연료 소비량은 관행에 비하여 상하이동 커튼 설치시 28%, 그리고 반촉성 재배시에는 56%의 연료 절감의 효과가 있었고 추가로 시설내 온도 분포와 상대습도가 균일하였다. 상하이동 커튼구가 관행에 비하여 고추의 개화시기가 빨랐고 수확량도 증가하였다.

  • PDF

백침계 모이 측지발생 촉진을 위한 생장조정제 이용 효과 (Effects of Growth Regulator for Promoting Lateral Shooting in White-Spine Cucumber(Cucumis sativus L.))

  • 이재한;권준국;강남준;정호정;박진면;강경희;최영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75-279
    • /
    • 2005
  • 백침계 오이는 측지착과형으로 주지착과형인 국내용 오이와 차이가 있어 백침계 오이의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측지발생을 높여야 가능하다. 그러나 백질계 오이의 재배시기는 대부분 동절기로 저온 및 일조부족 등의 불량한 환경조건 때문에 측지발생이 떨어진다. 본 연구는 생장조정제를 이용하여 백침계 오이의 측지발생을 촉진하기 위하여 BA의 농도 및 살포시기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BA $30mg{\cdot}L^{-1}$을 살포한 것은 농도 장해증상이 억제작형에서는 나타났으나, 반촉성작형에서는 경미하게 나타났다. 측지발생은 BA $10mg{\cdot}L^{-1}$ 살포하는 것이 BA $30mg{\cdot}L^{-1}$ 살포하는 것 보다 많았고, 처리시기는 본엽 10매, 15매 전개되었을 메 살포한 것이 본엽 5매 전개되었을 때 살포한 것보다 많았다.

절화장미 용기재배 시 배수구 높이, 배지조성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ainpipe Height and Media Composition on Growth and Yield of Soilless Cultivated Cut Rose in Container Culture)

  • 최경이;조명환;정재완;노미영;이한철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40-245
    • /
    • 2010
  • 절화장미의 새로운 수경재배 방식으로 용기재배를 제시하기 위하여 배수구의 높이와 적정 배지를 설정하는 두가지 시험을 수행하였다. 용기재배 시 적정한 배수구 높이를 설정하기 위하여 규격이 $30{\times}30{\times}25cm$인 사각용기에 배수구를 0, 3, 6, 9cm 높이로 처리하였을 때 수량은 3cm 배수구 처리가 많았으나 절화품질은 처리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정식후 생존율은 각각 100, 100, 92, 92%였다. 배수구 높이와 배지조성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배수구 높아가 0, 3cm인 용기에 배지을 코이어와 펄라이트 단용 및 혼용하여 7가지 배지를 조성하였다. 수분센서를 이용하여 수분함량이 -5kPa에 도달했을 때 급액을 했을 때 코이어 혼합비율이 높은 배지와 3cm 배수구 높이 처리가 급액횟수가 감소하였다. 화중을 제외한 절화의 상품성과 2차 수확까지의 절화 수량은 배수구의 높이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3차 수확이후의 수량은 3cm 배수구 처리가 많았다. 배지별로는 코이어의 혼합 비율이 높은 처리에서 수량과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수량은 배수구를 높인 처리구가 절화품질과 수량이 많았으며, 펄라이트의 혼합비율이 높은 배지에서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전기전도도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한 오이 양분 흡수 모델링 (Modeling Nutrient Uptake of Cucumber Plant Based on Electric Conductivity and Nutrient Solution Uptake in Closed Perlite Culture)

  • Hyung Jin Kim;Young Hoi Woo;Wan Soon Kim;Sam Jeung Cho;Yooun Il Nam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3-140
    • /
    • 2001
  • 순환식 펄라이트재배에서 배액 재사용을 위한 양분흡수 모델링을 작성하고자 양액 농도(1.5, 1.8, 2.1, 2.4, 2.7 dS./m-1)를 달리하여 수행하였다. 생육 중기까지 전기전도도(EC) 수준에 따른 양액흡수량은 차이가 없었지만 중기 이후 EC가 높을수록 흡수량이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N $O_{3-}$ N, P 및 K의 흡수량은 생육기간 동안 처리간 차이을 유지하였는데 N과 K는 생육 중기 이후 일정 수준을 유지하였으나 P는 생육기간동안 다소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S의 흡수량은 생육 중기 이후 모든 처리에서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며 생육 후기에는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오이의 무기이온 흡수율에서와 같이 흡수량에서도 EC간 차이를 보여 EC를 무기이온 흡수량을 추정하는 요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무기이온 흡수량은 모든 EC 처리간에 생육 초기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생육중기 이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 후 생육 후기의 높은 농도에서 그 차이가 다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EC와 양액흡수량을 이용하여 무기이온별 흡수량을 예측하는 모델식을 작성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측치와의 비교는 신뢰구간 1%내에서 높은 정의상관을 보여 실제적인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