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androu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2초

뜰단풍의 성 형태, 결실특성 및 종자활력 (Sex Morph, Fruiting Characteristics,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var. matsumurae (Koidz.) Makino)

  • 김갑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2호
    • /
    • pp.131-135
    • /
    • 2011
  • 단풍나무속에 흔하다고 알려진 이형자웅이숙현상을 파악해 보고자, 원주지역에 생육 중인 뜰단풍(Acer palmatum var. matsumurae) 101주를 대상으로 성 형태, 결실특성 및 종자활력에 대하여, 2010년 4월 초순부터 10월 하순까지 조사하였다. 101주의 뜰단풍 중에서 74개체(73.3%)에서는 수꽃이 먼저 개화하고, 암술은 흔적기관인 웅예선숙(雄蕊先熟)개체 (Protandrous, PA)였으며, 27개체(26.7%)는 암꽃이 먼저 개화하고, 수술이 소실되는 웅예선숙(雄蕊先熟) 개체(Protgynous, PG)로 뜰단풍은 이형자웅이숙(異型雌雄異熟: heterodichogamy)하는 것이 밝혀졌다. 성형태에 따른 화서당 꽃 수와 종자셑 수는 통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웅예선숙 개체가 자예선숙 개체보다 많았다. 건전종자와 부후종자의 비율에서는 성 형태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전종자의 비율이 웅예선숙 개체에서 46.4%였으며, 자예선숙 개체에서는 65.6%로 나타났다. 부후종자의 비율은 웅예선숙 개체에서는 49.6%였으며, 자예선숙 개체에서는 23.6%로 나타났다. 성형태간의 부후종자율의 차이는 암꽃의 개화시기와 종실가해 해충들의 활동시기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단풍나무의 성 형태, 결실특성 및 종자활력 (Sex Morph, Fruiting Habit, and Seed Viability of Acer palmatum)

  • 김갑태;김회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1호
    • /
    • pp.91-95
    • /
    • 2012
  • 단풍나무의 이형자웅이숙, 성형태의 다양성 및 결실특성을 파악하고자, 원주지역에 생육 중인 단풍나무(Acer palmatum) 63주를 대상으로 화기구조, 수분시스템, 결실특성 시과활력을 2010년 4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조사하였다. 단풍나무는 주로 꿀벌과 꽃등에 등의 화분매개충에 의해 수분되나, 소수(3.57%)는 바람에 의해 수분되었다고 추정된다. 조사대상목 중에서 2010년 24개체(42.9%), 2011년 20개체(31.7%)는 웅예선숙개체(Protandrous, PA)였으며, 2010년 32개체(50.8%), 2011년 30개체(47.6%)는 자예선숙개체(Protogynous, PG)로 단풍나무는 이형자웅이숙(異型雌雄異熟: heterodichogamy)하는 것이 밝혀졌다. 5개체(7.9%)에서 성전환-4개체는 PA에서 PG로, 1개체는 PG에서 PA로-이 확인되었다. 건전종자와 부후종자의 비율에서는 성 형태 간의 통계적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전종자의 비율은 PA에서 2010년 25.8/50, 2011년 32.0/50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PG에서는 2010년 15.2/50, 2011년 20.2/50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부후종자의 비율은 PA에서 2010년 20.0/50, 2011년 15.6/50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고, PG에서는 2010년 32.8/50, 2011년 28.4/50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성형태간의 부후종자율의 차이는 단풍나무 종실가해 해충들의 활동시기와 관련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Pollination biology of Caesalpinia decapetala (Leguminosae) in Korea

  • Son, Hyun-Duk;Im, Hyoung-Tak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4권2호
    • /
    • pp.145-151
    • /
    • 2015
  • Morphological changes of flowers and insect visitors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pollinator of Caesalpinia decapetala. The flowers of C. decapetala are protandrous. Functionally, the flower is changed from male to female. As a male, pollen grain is released after anther dehisced while style is immature. After completed pollen grain release, the style starts to lengthen. It helps the stigma to easily touch the carpenter bee's thorax covered with pollen grain. At this time, flower functions as a female. The majority of taxa and individuals observed were Hymenoptera. The most frequent visitor was the Xylocopa appendiculata circumvolans, carpenter bee. Carpenter bees exhibited only typical pollinator behavior among flower visitors, with touching reproductive organs and seeking nectar at the same time. The pollination behavior is as follows. Soon after carpenter bees perceived guide mark, they foraged rightward and grasped style and stamens with legs and they inserted proboscis into standard petal to seek nectar. With this behavior, the pollen grains of the male flower transfer to the ventral thorax of the carpenter bee. As the carpenter bee moves to another female flower, the deposited pollen grains are delivered to the stigma.

담수순화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생식소발달, 성 스테로이드호르몬 및 채정시기 (Sperm Collection Time, Sex Steroid Hormones, and Gonadal Development of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Acclimated in Freshwater)

  • 정민환;임한규;김영수;김수연;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474-481
    • /
    • 2010
  • The sperm collection time, sex steroid hormones, and gonadal development of protandrous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acclimated in freshwater for more than 2 years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its reproductive capability. The gonadal development of black porgy reared in seawater and freshwater could each be classified into four successive stages. For black porgy reared in seawater (BSW) as the control, these were the growing (December to February), mature (February to March), spent (March to June), and degeneration and resting (July to December) stages; for black porgy reared in freshwater (BFW), these were the growing (November to January), mature (January to February), spent (February to May), degeneration and resting (June to November) stages. In both BSW and BFW, the plasma cortisol levels were the highest in March. The plasma testosterone (T) levels of BSW and BFW were the highest in March and February, respectively. The plasma estradiol-$17{\beta}$ ($E_2$) level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BSW and BFW. The 11-ketotestosterone (11-KT) levels in the plasma of BSW and BFW were the highest in April. Sperm was collectible from March to June in BSW and from February to May in BFW.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gonadal maturation of BFW was about 1 month faster than that of BSW.

Sex- and Tissue-related Expression of Two Types of P450 Aromatase mRNA in the Protandrous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during Sex Reversal: Expression Profiles Following Exogenous Hormone Administration

  • Min, Tae-Sun;An, Kwang-Wook;Kil, Gyung-Suk;Choi, Cheol-Young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439-445
    • /
    • 2009
  • Cytochrome P450 aromatase (P450arom) catalyzes the conversion of androgens to estroge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production and development in vertebrates.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ovarian P450arom (P450aromA) and brain P450arom (P450aromB) mRNA during sex change in black porgy. Maturity was divided into seven stages from male to female (immature testis, mature testis, testicular portion of mostly testis, ovarian portion of mostly testis, testicular portion of mostly ovary, ovarian portion of mostly ovary, and mature ovary). P450arom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varian portion of mostly-ovarian stage fish, and P450aromB expression was highest in the brain of black porgy with mostly-ovarian gonads. Histology showed that testicular tissues were disintegrated with the development of ovarian tissu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the two P450arom mRNAs during sex change. Interestingly, among various tissues, P450aromA was only expressed in the ovary, and P450aromB was only expressed in the brain. To understand the role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GnRH) and estradiol ($E_2$), we injected exogenous hormone (GnRH analogue [GnRHa] and $E_2$) into immature black porgy. In the GnRHa group, expression of the two P450arom genes decreased 12 h after injection, and expression of the two P450arom gen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t 6 dafter $E_2$ injection. These results provide useful baseline knowledge on the mechanism of natural sex change in black porgy.

참當歸(Angelica gigas NAKAI 지방종의 交雜親和性에 관한 연구 (Studies on Flowering Habit and Cross-Fertility of some local cultivars in Angelica gigas NAKAI)

  • 권오흔;김수용;임재하;오세명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3-168
    • /
    • 2001
  • 본 연구는 참당귀의 개화습성과 수정양상을 조사하고 5개 지방종에 대하여 교잡에 의한 계통간 화합성 및 결실율을 검토함으로서 우량계통육성을 위한 교잡육종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다. 1. 정식 2년차에 있었서 5개 지방종의 출아기는 3월 14일이었고 추대기는 5월 12~13일이었으며 개화기는 ‘봉화종’이 8월 2일로서 다른 계통보다 3~5일 빨랐고, 개화지속기간은 각각 41~43일로 비슷하였다. 2. 5개 지방종의 개화특성을 보면 주경에서 1차 지경, 1차 지경에서 2차 지경까지의 개화기간은 9~13일이 소요되었고, 웅예와 자예의 출현기 간은 각각 3~5일이었으나 동일화서 내에서 최종웅예와 최초자예의 간격은 1~4일이었으며 동일화에서는 웅예가 자예보다 4~8일정 도 선숙이었다. 3. 참당귀의 개화 시기별 밀봉에 따른 결실율은 개화 5일전, 개화 1~2일전, 개화기가 1.0, 0.9, 0.4%였으나 개화후 3일이 2.4%로 약간 높았고, 봉지를씌우지 않은 처리구는 52%였다. 지방종간 수분형태에 따른 결실율은 자가수분이 26.3%였고 타가수분은 36.3%로 타가수분이 높았으며 모본에 따른 결실율은 ‘봉화종’, ‘무주종’을 모본으로 하였을 때 각각 44.9, 42.6%로 높았다. 4. 각 계통별 정역교잡에 따른 인공수분에서는 자가수분 타가수분 모두 친화성이 있었으며 자가수분에서는 ‘무주’$\times$ ‘무주’조합이 40.8%로 가장 높았고 타가수분에서는 ‘평창’$\times$ ‘인제’조합에서 67%로 가장 높았다.

  • PDF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GTH$\beta$ 유전자 발현 및 성스테로이드 합성에 미치는 GnRHa의 효과 (Effects of Gonadotropin-Releasing Hormone Analogue (GnRHa) on Expression of the Gonadotropin Subunit Gene and on Synthesis of the Sex Steroids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최철명;민병화;장영진;박인석;조성환;안광욱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293-298
    • /
    • 2005
  • RT-PCR을 이용하여 감성돔의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FSH$\beta$와 LH$\beta$ cDNA를 각각 cloning하였다. GenBank를 이용하여 FSH$\beta$와 LH$\beta$ 아미노산 배열과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감성돔 FSH$\beta$는 참돔 FSH$\beta$$83.3\%$, snakehead fish FSH$\beta$$79.2\%$ 및 striped bass FSH$\beta$$76.0\%$의 상동성이 나타났으며 , 감성돔 LH$\beta$는 yellowfin seabream LH$\beta$$97.7\%$, 참돔 LH$\beta$$96.2\%$의 높은 상동성을 보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1년생 수컷 감성돔에 GnRHa를 처리한 후, 뇌하수체에서 발현하는 GTH subunit mRNA의 농도와 혈중 T및 혈중 $E_2$ 농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GnRHa를 체중 g당 $0.2\;{\mu}g$으로 복강 주사한 후 0, 6, 12, 24 및 48시간제에 뇌하수체와 혈액을 샘플링한 결과, 호르몬 처리 후 6시간째에 FSH$\beta$ mRNA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LH$\beta$ mRNA 발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혈중 T와 혈중 $E_2$ 농도는 GnRHa처리 후 24시간째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의 성 스테로이드 및 생식소 발달에 미치는 3,5,3'-triiodo-L-thyronine ($T_3$)의 영향 (Effects of 3,5,3'-triiodo-L-thyronine ($T_3$) on Sex Steroid Levels and Gonadal Development in Black Porgy, Acanthopagrus schlegeli)

  • 민병화;노경언;정민환;장영진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9권1호
    • /
    • pp.15-22
    • /
    • 2005
  • 웅성 선숙형 해산 어류인 감성돔에게 $T_3$를 경구 투여하여 성스테로이드인 testosterone(T), $estradiol-17{\beta}(E_2)$ 및 cortisol 수준의 변화와 생식소 발달을 조사하였다. 외인성 $T_3$는 사육 60일째 감성돔의 혈장 T의 수준을 유의하게 상승시켰으나, 혈장 $E_2$ 및 난모세포의 크기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또한 $T_3$ 처리는 생식소 내 정소 발달과 정자 형성과정을 촉진시켰으며, 정자 방출 기간을 연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_3$를 처리한 실험구에서 60일째에 혈장 cortisol 수준이 대조구에 비하 여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서 외인성 $T_3$는 T와 cortisol 분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능적 수컷의 생식소 발달에 있어 직 간접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PDF

참느릅나무의 개화, 수분 및 결실 특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Flowering, Pollination and Samara Characteristics of Chinese elm, Ulmus parvifolia in Wonju, Korea)

  • 김갑태;김회진;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88-592
    • /
    • 2012
  • 참느릅나무가 많은 쭉정이 시과를 생산하는 원인을 구명하고자 원주지역에서 생육하는 22그루의 참느릅나무 성목의 개화, 수분 및 시과특성을 3년간 조사하였다. 참느릅나무는 당년지 엽액에 양성화가 달리는 화서를 형성하고, 꽃은 웅예선숙, 자예선숙 및 웅예이숙 하는 등의 독특한 성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참느릅나무는 대부분의 느릅나무속 수종들과는 달리 타가수분하며 부분적이나마 충매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충실시과의 비율의 평균값은 연도별로 고도의 퉁계적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며, 2009년 65.6%로 가장 높았으며, 2010년 42.9%, 2011년 37.5%로 현저히 낮아졌다. 이는 화분비산에 영향하는 강수량이나 강우일수, 화아분화기인 봄철의 저온 등에 영향을 받은 것이라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참느릅나무는 자가불화합성을 지니고 수분실패로 많은 쭉정이시과를 생산하는 것이라 사료된다. 앞으로 쭉정이시과를 생산하는 주요 수목의 전략, 수분시스템 등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