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spective study

검색결과 2,559건 처리시간 0.023초

예비 수학교사의 수학 학습동기 특징 분석 (Analysis on Features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Motivation in Learning Mathematics)

  • 이종학;김소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491-50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측정 및 분석함으로써, 예비 수학교사들의 정의적 측면을 이해하고 유능한 수학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수학교사 전문성 개발의 시사점을 찾아 보고자 하였다. 학습동기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통해 학습동기를 구성하는 3가지 요소를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조사할 자체 설문도구를 개발하였다. 한 지방의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대학생활 동안 예비 수학교사들이 겪는 전반적인 수학 수업에서의 학습동기와 그 구성 요소인 가치, 자기효능감, 흥미에 대한 특징, 그리고 미래의 수학교사로서 선호하는 학습동기 유발 방법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 수학교사들의 전반적인 학습동기는 학년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학습동기의 3가지 구성 요소 중 자기효능감과 흥미 요소에서 학년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의 수학교사로서 학생들의 수학 학습동기를 유발하는데 주로 선호하는 방법은 수학 학습의 흥미를 유도하는 유형이었으며, 구조적인 측면이나 수학 학습의 관련성을 중시하는 유형은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강화시키기 위해 예비 수학교사들의 자기효능감과 학습의 흥미 또는 즐거움을 증진시킬 필요가 있으며, 수학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 수학 학습동기 유발 형태에 대한 여러 가지의 다양한 소재 개발의 경험을 시켜줄 학습지도 방안을 준비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예비초등교사들이 분수 포함제의 몫과 나머지 구하기에서 범하는 오류에 대한 분석 (A study on errors committed by Korean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in finding and interpreting quotient and remainder within measurement division of fraction)

  • 박교식;권석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3호
    • /
    • pp.317-328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예비초등교사 65명을 대상으로 그 결과가 이산량과 나머지로 표현되는 포함제 맥락의 분수 나눗셈 문장제를 풀도록 하여 그 풀이과정을 수집하고, 65명 중 임의로 선발된 5명과의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초등교사 중 상당수는 분수 나눗셈의 계산 결과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자연수를 제외한 진분수 부분 또는 1보다 작은 소수 부분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했다. 포함제 맥락의 분수 나눗셈을 포함제 맥락의 자연수 나눗셈으로 바꾸어 계산해 버리는 오류를 범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예비초등교사들에게 문장제를 만드는 과정 뿐 아니라 문장제를 주어진 맥락에 맞게 해결하고 그 계산 결과를 주의 깊게 해석하는 경험을 포함하는 치밀한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주택구매예정가구의 모기지론에 대한 의식과 관련변인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and Related Factors of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 양세화;박현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17-25
    • /
    • 2007
  • The study analyzed the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of the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s. The sample of the survey was chosen b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o be 366 prospective home-buying households in Ulsan, with the households head's age being younger than 50. These are the results. First, approximately 80% of the respondents had plans to buy a house through self-support and loan. Second, the consciousness of mortgage loan was relatively low, but the willingness to use it was very high. Third, the need for mortgage loan was relatively high, especially the need for specialists to facilitate the information circulation. Lastly, the awareness and need for mortgage loan wer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family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cluding family life cycle stages, the structure of dwelling, tenure type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It is necessary to provide potential house buyers with appropriate education and information on housing financing, the change of interest rate, and the effects of various financing packages.

스테이션 교수전략을 활용한 예비유아교사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아교과교재 연구 및 지도를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Station Teaching Strategy: Focusing on Teaching Materials and Method Study for Young Children)

  • 조은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55-183
    • /
    • 2020
  • Objective: In this study, we tri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ogram by constructing an effective maker education program that can cultivate the maker's capabilities through voluntary production activities by utilizing various technologies and tools. Methods: First, prior research on maker education and the station teaching strategy was considered, and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find out the degree of demand for maker education. The final program was finalized through verification of the contents validity. Results: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a total of 49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24 in the experimental group, 25 in the comparative group) attending U College, and it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convergence talent, education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echnology, and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preliminary early childhood teacher maker education program using station teaching strategy has educational value that can be used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수학적 탐구력 신장을 위한 테크놀로지의 활용의 효과 (The Effective Use of a Technology Tool for Students' Mathematical Exploration)

  • 고상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2권5호
    • /
    • pp.647-672
    • /
    • 2003
  • This study sought to determine the impact of the graphing calculator on prospective math-teachers' mathematical thinking while they engaged in the exploratory tasks. To understand students' thinking processes, two groups of three students enrolled in the college of education program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ir performances were audio-taped and described in the observers' notebook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spective teachers got the clues in recalling the prior memory, adapting the algebraic knowledge to given problems, and finding the patterns related to data, to solve the tasks based on inductive, deductive, and creative thinking. The graphing calculator amplified the speed and accuracy of problem-solving strategies and resulted partly in students' progress to the creative thinking by their concept development.

  • PDF

Examination of Prospective Teachers' Perceptions on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 Lee, Ji-E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55-74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of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procedural/conceptual nature of examples. Fifty-four prospectiv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ngaging in two-phase tasks. Analysis of data indicated that: (a) Overall,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were geared toward putting emphasis on conceptual understanding rather than procedural understanding; but (b) Generally, procedure-oriented strategies were more frequently incorporated in participants' potential teaching plans. This implied that participants' preconceived ideas regarding math examples were not always reliable indicators of their potential teaching strategie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mathematics teacher preparation are discussed.

보육교사의 실습지도 경험에 관한 반성적 평가 (Child Care Teachers' Reflective Assessment on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s)

  • 유병예;양성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1권5호
    • /
    • pp.143-157
    • /
    • 2013
  •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o comprehensively deal with child care training in depth with the following content: the goals of child care teachers preparing for practical training; how they perform and feel about their roles throughout the training period as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evaluation after the training period. A total of 10 peopl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nd the training activities of child care teachers were qualitatively explored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hild care teachers have expectations for prospective teachers and take time for self-evaluation while preparing for teaching. Also, child care teachers set a goal of helping prospective teachers develop into outstanding teachers and have expectations for it. Second, child care teachers evaluate prospective teachers by treating them as colleagues while teaching them. Furthermore, child care teachers consider themselves as educators who train and produce child care professionals. Prospective teachers define their roles as assistants and learners in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In addition, child care teachers feel a sense of pride by performing as hands-on training teachers. At the same time, they reflect on themselves by evaluating their duties as educators in their relationships with prospective teachers. Third, child care teachers suggested the need for changing the training system for themselves and prospective teachers after training. In addition, they argued that the gaps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the actual educational scene should be reduced through solid training for acquiring new knowledge and information in both places in accordance with the rapidly-changing child care environment. Finally, the suggest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standard train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within their institution.

예비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An Analysis of the Levels of Prospective Teachers' Comments on Elementary Mathematics Instruction)

  • 방정숙;선우진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625-647
    • /
    • 2015
  • 예비교사가 수학 수업을 어떻게 이해하고 비평하는지는 수업전문성 개발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교육실습 과정 중 현직교사의 시범 수업을 참관한 후 작성한 수업 비평을 토대로, 비평 수준 및 특징을 분석한 것이다. 특히 비평에 포함된 수학 내용뿐만 아니라 주체, 견지, 근거, 대안을 토대로 비평 수준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이 유의미하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의 비평 수준은 1수준(소감형), 2수준(점검형), 3수준(분석형) 중 대부분 2수준에 머물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비평 수준틀에 대한 중다회귀분석결과 비평 수준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은 견지(見地)였다. 한편 예비교사들의 비평을 통하여 교육실습 과정에서의 수업 참관이 수학 수업과 관련된 신념과 교사로서의 이미지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및 교육실습과 관련하여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모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예비 중등 수학교사들의 함수 개념의 도입 방식 탐색 (A Study on the Prospective Mathematics Secondary Teachers' Introduction of Concepts of Function)

  • 마민영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225-24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함수 개념을 도입하는 수업을 설계할 때 함수 개념의 어떤 측면을 강조하여 지도하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중 한 명의 발표자(예비교사 A)가 수행한 가상 수업과 동료 예비교사 10명(예비교사 A1~A10)이 이 수업에 대해 반성한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정과 대응의 관점으로 함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우세하였고, 변화와 종속성 관점으로 도입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또한 예비교사들이 함수 도입에서 강조하는 측면은 상황·언어적 표현, 표, 그래프, 식, 그림 등과 같이 함수를 표현하는 양식과 밀접하게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종속적인 변화 관계에 기반하여 함수 개념을 도입하기 위한 예비교사 교육 및 연구에 시사점을 제시하는 하나의 경험적 근거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예비사서들의 도서관실습 교육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 (A Qualitative Study on Prospective Librarians' Library Practicum Experiences: Applying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Method)

  • 구정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69-296
    • /
    • 2018
  • 이 연구는 예비사서들이 도서관실습 교육과정 중 겪은 개인적 경험을 기술하되, 실습 과정 전반에 걸친 내용과 이를 둘러싼 내 외적인 정황과 환경적인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A 대학의 문헌정보학과 학생 중 도서관실습 교육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를 실시하여 실습과정 중에 경험한 모든 일상과 그 의미들을 구체적으로 구술하도록 하였다. 구술된 내용을 모두 녹취하여 전사하고 이를 Giorgi의 기술적 현상학 방법을 적용하여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도서관실습 교육참여자들의 경험 내용은 크게 5가지 구성요소와 17개의 하위 구성요소로 분석되었다. 그 경험의 구성요소로는 '도서관 및 사서에 대한 인식형성 과정', '진로 설계의 구체화 과정과 도전', '실습 전 준비과정 중 경험한 도전과 성장', '실습 과정 중 경험한 도전과 성장' 그리고 '실습 후 경험과 평가'로 요약되었다. 이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도서관실습 교육과정과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 관련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