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ofol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2초

Anesthetic Effect of Different Ratio of Ketamine and Propofol in Dogs

  • Lee, Mokhyeon;Kim, Sohee;Moon, Chawnghwan;Park, Jiyoung;Lee, Haebeom;Jeong, Seong Mok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34-240
    • /
    • 2017
  • Use of ketamine and propofol combination (so-called Ketofol) anesthesiain a fixed ratio (1:1 mg/ml) was reported in dogs. The use of ketofol reduced cardiovascular suppression, but respiratory-related side effect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ropofol alone.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quality of ketofol anesthesia and changes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ccording to the ratio of ketamine to propofol.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ropofol alone (P group), 3:7 ketofol group (PK1 group) and 1:1 ketofol group (PK2). For each group, the dose of 0.8 ml/kg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at a constant rate until the tracheal intubation was possible and anesthesia was maintained with isoflurane for 120 minutes after induction of anesthesi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nesthetic quality among three groups. Also, there was no difference in respiratory rate, tidal volume, end-tidal carbondioxide, and oxygen saturation. In group P, heart rate was not changed significantly during anesthesia, but arterial blood pressure decreased, while heart rate and arterial blood pressu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PK2. In the PK1 group, heart rate and arterial blood pressure during anesthesia remained similar to pre-anesthetic values. In conclusion, ketofol might be used as induction agent, and 3:7 ratioof ketofol showed more safe and effective anesthetic effect in dogs. Additionally, 1:1 ketofol may be used in patients with severe bradycardia orhypotension with close monitoring during anesthesia.

구강악안면 수술환자에서 술 후 오심 및 구토에 대한 프로포폴의 예방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Propofol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ical Patients)

  • 윤필영;이가영;김영균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
    • /
    • 2006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propofol on postoperative nausea and vomiting (PONV) following general anesthesia to the patients having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Methods: In a prospective, randomized. case-controlled study. 200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n = 100 in each). In propofol (P) group, patients received 0.5 mg/kg of propofol intravenously at the end of anesthesia. In control (C) group, no antiemetics was given. Emetic symptoms like nausea, retching and vomiting were assessed by a blind nurse at 1 hour and at 24 hours after anesthesia respectively. Also level of sedation was checked by a blind anesthesiologist at 1 hour after anesthesia. Resul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requencies of nausea, retching and vomiting between C group and P group at 1 hour after anesthesia. However, nausea, retching and vomiting were all decreased in P group compared with C group at 24 hours after anesthesia (P < 0.05).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sedation at 1 hour after anesthesia between C group and P group (P > 0.05).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prophylactic use of subhypnotic dose of propofol could be effective for preventing PONV without change in level of sedation to the patients undergoing general anesthesia for oral and maxillofaical surgery.

  • PDF

당일 입원 환자의 치과 수술 시 Propofol을 이용한 Monitored-Aesthesia Care (MAC)의 안정성 및 유용성에 관한 연구 (Safety and Availability of Monitored-Anesthesia Care using Propofol during Implant Surgery of the One-day Admission Patients)

  • 김범수;김영균;윤필영;이용인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20-125
    • /
    • 2007
  • Background: Propofol has been used extensively for short-acting intravenous sedative agent during monitored anesthesia care (MAC).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availability of MAC using propofol in implant surgery of the one-day admission patients. Methods: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SA physical status.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peripheral oxygen saturation and ECG of a patient were estimated under MAC by an anesthesiologist and the vital signs were recorded in recovery room periodically afterwards. The subjectiv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outpatient ambulatory surgery under MAC procedure was evaluated the next day. Results: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MAC in ASA I group, but other remarkable changes in vital sign were not observ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in and anxiety level between ASA I and ASA II, III group. Satisfaction rate was high in both groups. Conclusion: Monitored-Anesthesia Care using propofol during implant surgery of the one-day admission patients might be safe and available procedure because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oxygen saturation are stable before and during surgery, and adequate control of pain and anxiety is supported.

  • PDF

Effects site concentrations of propofol using target-controlled infusion in dental treatment under deep sedation among different intellectual disability types

  • Keyling, S;Salmeron, Salinas;Kim, Hyun Jeong;Seo, Kwang-Suk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19권4호
    • /
    • pp.217-226
    • /
    • 2019
  • Background: We aimed to assess the dose needed to achieve the propofol effect-site concentration using target-controlled infusion in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and to detail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achieving a safe level of consciousness without hemodynamic changes as well as detail any resulting adverse effect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review of sedation service records of 138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51, mental retardation; 36, autism; 30, brain lesion, 12 genetic diseases, 9 dementia) aged over 15 years and weighing over 30 kg. These patients had received propofol via target-controlled infusion in the special care dental clinic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from May 2008 to September 2018 for restorative treatment (112), minor surgery (13), prosthodontics (7), periodontics treatment (5), and implant (1). Results: For all groups, the duration of dental treatments was $43{\pm}18$ minutes, total sedation time was $73{\pm}23$ minutes, and total BIS values was $57{\pm}12$. The propofol maintenance dosage values for each group were: mental retardation, $3{\pm}0.5(2-4){\mu}g/ml$; autism, $3.1{\pm}0.7(2-5){\mu}g/ml;$; brain lesion, $2.8{\pm}0.7(1.5-5){\mu}g/ml;$; genetic disease, $2.9{\pm}0.9(1-4){\mu}g/ml;$ and dementia $2.3{\pm}0.7(1-3.4){\mu}g/ml;$. Conclusions: The dementia group needed a lower dosage to reach a safe, effective propofol effect-site concentration than the other groups. Since there were no complications, deep sedation is a great alternative to general anesthesia for dental treatment of intellectually disabled patients.

개에서 Enflurane과 Propofol의 병용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Cardiopulmonary Effects of Enflurane Combined with Propofol in Dogs)

  • Chae, Hyung-gyu;Jang, Kwang-ho;Jang, In-ho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9-256
    • /
    • 2001
  • 일반적인 마취용량에서의 enflurane과 propofol 단독 투여와 두 마취제의 병용 투여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진정제(acepromazine 0.05 mg/kg) 투여 후 atropine(0.05 mg/kg)으로 전처치한 실험견 18두를 3개군으로 무작위 분류하고 각 군에 propofol infusion 0.5 mg/kg/min(Group I), enflurane 2.5 vol%(Group II), enflurane 1.0 vol%와 propofol infusion 0.25 mg/kg/min(Group III)을 각각 1시간 동안 산소 공급하에서 투여하였다. 대퇴동맥에 설치한 카테터를 통하여 전 실험기간에 걸쳐 Physiograph로 MAP(Mean Arterial Pressure), SAP(Systolic Arterial Pressure), DAP(Diastolic Arterial Pressure)를 기록하고 동맥혈을 채취하여 $Na^+, K^+, Cl^-$ 등 전해질 농도와, PaO$_2$(arterial oxygen tension), Pa$CO_2$(arterial carbon dioxide tension), pHa(arterial pH)를 측정하였다. 마취 전후의 체온, 심박수, 호흡수를 측정하였다. 특히 심혈관계와 관계된 검사(MAP, SAP, DAP, 체온)에서 마취유도 후 20분 동안은 모든 group에서 감소가 뚜렷하였다. Group II와 Group III에서 유의적인 감소(p<0.05, 0.01)를 보였으며 Group III는 Group I보다는 낮았으나 Group II보다는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산소공급과 관련하여 PaO$_2$의 증가(p<0.05, 0.01)가 있었으며 전해질 검사에서는 $Na^+와 K^+$의 유의적인 변화(p<0.05, 0.01)가 나타났다. 실험결과 유의성있는 변화가 나타났지만 모든 결과들이 정삼범위내에 있었고 뚜렷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enflurane 1.0 vol%와 proofol 0.5 mg/kg/min 병용투여는 개 마취에 있엇 적용가능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 PDF

연성 전기 경련 요법의 임상적 고찰과 마취제 pentothal과 propofol에 따른 경련기간의 비교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Softening E.C.T. & Comparison of Propofol and Pentothal as Anaesthetic Agents on Seizure Duration)

  • 송헌일;민경준;최인근;유태혁
    • 생물정신의학
    • /
    • 제4권2호
    • /
    • pp.259-264
    • /
    • 1997
  • 저자들은 1993년 5월 1일부터 1997년 4월 30일까지 한강성심병원 신경정신과 입원환자 중연성전기경련요법을 받은 60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기경련요법을 받은 환자 60명중 정신분열증이 51.7%, 주요우울증이 21.6%, 양극성 정동장애, 조증이 16.7%, 기타 10% 이었다. 2) 전기경련요법의 시행 횟수는 1인당 평균 12.2회(정신분열증 14.9회 : 주요우울장애 12.2회 : 양극성 정동장애 13.6회 : 기타 8.2회)이었다. 3) 치료의 대상이 되었던 증상은 정신분열증의 경우 피해망상, 환청, 주요우울장애는 정신운동지체, 우울기분, 그리고 자살사고 또는 시도, 양극성 정동장애에서는 파괴적 행동, 흥분상태 순이었다. 4) 전기경련요법에 사용된 약제로 atropine $0.0093mgkg^{-1}$, 마취제 pentothal $2.76mgkg^{-1}$, 근육이완제 succinylcholine $0.80mgkg^{-1}$을 사용하여 만족할 만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5) 전기경련요법시 사용된 마취제중 propofol은 pentothal에 비해 seizure duration을 낮추었다.

  • PDF

Propofol(2,6-disoprooylphenol)과 Thiopental Sodium이 돼지 난자성숙, 수정 및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pofol and Thiopental Sodium on the Maturation, Fer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Porcine Oocytes)

  • 김주영;유정민;유성진;김주란;윤용달;정철회;김현찬;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6권1호
    • /
    • pp.17-23
    • /
    • 2002
  • 체외수정의 성공률에 있어서 배란되기 직전의 충분히 성숙된 난자를 채취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근에는 질 벽을 통하여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난자 채취 시술 시 정맥 마취제를 투여하는데 최근에는 수술회복이 빠르고 오심이나 구토 등의 부작용이 적은 Propofol(2,6-disoprooylphenol)과 Thiopental sodium을 사용한다. 이들 마취제가 마취 투여 시간과 양에 따라 난자의 성숙률과 수정률, 발생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돼지에서 추출한 성숙 전 단계의 난자를 마취제인 Propofo1 및 Thiopental sodium의 다양한 농도와 시간에 노출시킨 후 난자 성숙를을 조사하였으며 돼지 정자와 체외수정시킨 후 수정률과 발생률을 관찰하였다. 또한, 수정 단계 없이 단독 발생하는 처녀생식에 대한 영향도 조사하였다. Propofol에 단시간 노출된 난자는 대조군과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농도에서 장시간 노출 시 성숙률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수정률은 높은 농도에 장시간 노출할 경우 대조군보다 낮아졌는데, 이와 같은 일시적인 난자 성숙은 Propofol이 처녀생식 유발물질이기 때문으로 보여진다. Thiopental sodium은 저농도 단시간 처리 시 난자의 성숙률과 수정률을 모두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각 마취제의 최적농도와 투여시간을 결정하여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체외수정의 성공률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매복지치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CI) 의식하 진정 (Target Controlled Conscious Sedation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the Extraction of Impacted Wisdom Teeth)

  • 방보영;신터전;서광석;김현정
    • 대한치과마취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9-165
    • /
    • 2010
  • 배경: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arget controlled infusion) 의식하 정주진정법의 적절한 주입농도를 제시하고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가 예정된 미국마취학회 신체 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5-65세, 142명(여 83명, 남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소급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목표조절농도주입법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법 사용에 관한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정맥내 삽관을 시행하고 수액을 공급을 시작하고, 4-5 L/min의 산소를 비관을 통해서 공급하였다. Propofol과 remifentanil의 초기 목표 혈중농도는 각각 $0.5\;{\mu}g/ml$와 1.0 ng/ml로 정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불안 통증 정도에 따라 목표농도를 조절하였으며 최저 농도와 최대 농도, 평균 농도, 주입된 총 용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수축기혈압과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호기 말 이산화탄소량을 수술 시작 전, 수술 중 5분 간격으로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 $\pm$ 표준편차나 환자의 수, 초기 측정치에서의 백분율 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수술 동안의 목표 혈중농도의 평균은 propofol은 $0.54{\pm}0.11\;{\mu}g/ml$이고, remifentanil은 $1.11{\pm}0.30\;ng/ml$였다. 수술 중 조절된 최대농도는 propofol은 $0.6{\pm}0.23\;{\mu}g/ml$이고, remifentanil은 $1.3{\pm}0.63\;ng/ml$였다. 이는 의식하 진정에 해당되는 범의의 농도라고 할 수 있겠다. 진정동안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유지 되었으며 산소 포화도는 4-5 L/min 의 산소 보충 하에 98%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수축기 혈압과 맥박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변위범위(${\pm}20%$)내에서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목표조절 농도주입 의식하 진정에서 사용된 농도(propofol $0.5\;{\mu}g/ml$, remifentanil 1.0 ng/ml)는 안전하게 의식하 진정을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이는 치과 치료 시 목표조절농도 주입의식하 진정법에서 적절한 목표농도를 제시한다.

출혈이 Ketamine, Propofol, Isoflurane 마취견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emorrhage on the Electroencephalograms in Dogs Anesthetized with Ketamine, Propofol and Isoflurane)

  • 윤인섭;장환수;임재현;권영삼;장광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39-546
    • /
    • 2009
  • 잡종견 15마리를 이용하여 ketamine, propofol 및 isoflurane 마취견에서 실험적 출혈이 뇌 파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견은 마취제의 종류에 따라 군당 5마리씩, 3개 실험군으로 분류하였다 (1군: ketamine 5 mg/kg, IV, 2 군: propofol $156\;{\mu}g$/kg/min, IV, 3군: 2.0% end-tidal concentration of isoflurane). 모든 군에 전마취제로 Medetomidine ($40\;{\mu}g$/kg, IM)을 투여하였다. 뇌파기록전극은 Cz 위치에서 피하에 장착하였다. 뇌파, 심박수, 수축기/이완기 동맥혈압, $pO_2$, $pCO_2$ 및 혈액 pH를 마취 전, 마취 후, 매 출혈 후에 각각 측정하였다. 대퇴동맥에 삽관한 카테타를 통해 총 혈액량의 10%인 7 ml/kg을 10분동안 출혈시켰으며, 총 3회 실시하였다. 출혈기동안 수축기 및 이완기 동맥혈압은 모든 군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pCO_2$ 농도와 심박수는 모든 군에서 증가하였다. $pO_2$ 농도는 다른 군과 비교하여 1군에서 가장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혈액 pH의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뇌파 분석결과 1군과 3군에서는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다. 2군의 band 3, 4 및 7은 2번째 및 3번째 출혈 후에 유의성있게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변화는 propofol 점적 유지마취에서 총 혈액량의 20% 이상 출혈과 관계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Propofol 마취견이 총 혈액량의 20% 이상 출혈할 경우 propofol 점적 투여율의 조절이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