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perties of extrudates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Morphology and Rheology on the Blends of PLA/CMPS

  • Shin, Boo-Young;Jo, Gyu-Soon;Kang, Kyoung-Su;Lee, Tae-Jin;Kim, Bong-Shik;Lee, Sang-Il;Song, Jeong-Sup
    • Macromolecular Research
    • /
    • 제15권4호
    • /
    • pp.291-301
    • /
    • 2007
  • The rheological behaviors and morphologies of polylactide (PLA) and chemically modified plasticized starch (CMPS) blends were investigated. For this study, oscillatory shear flow measurements of the PLA, CMPS and their blends were performe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study was also conducted on the extracted extrudates of the blends. The morphology of the blend changed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sphere-shaped CMPS disperse/continuous PLA, rod-like deformed CMPS phase/continuous PLA, a co-continuous structure with bridged CMPS long rods and PLA dispersed/continuous CMPS. The composition of the phase inversion could be estimated and closely coincided from the observed morphology experimental results. The rheological behavior of the blends, from oscillatory measurements, was found to vary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and reflected the morphologies of the blends. PLA showed Newtonian flow behavior, while CMPS showed strong shear thinning behavi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orphology and rheological properties were observed in detail.

저온 및 재래식 공정에 따른 쌀·야채류 압출성형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uded Rice with Vegetables by Cold and Conventional Extrusion)

  • 안상희;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8호
    • /
    • pp.1212-1218
    • /
    • 2015
  • 본 연구는 저온 및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 따른 쌀 야채류 압출성형의 항산화 활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속도 150 rpm으로 고정하였다. 저온 압출성형 조건은 사출구 온도 $80^{\circ}C$, $CO_2$ 주입량 300 mL/min, 재래식 압출성형은 사출구 온도 $140^{\circ}C$, $CO_2$ 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쌀 분말에 단호박, 토마토, 딸기 및 녹차 분말을 각각 10%씩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단호박 및 토마토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저온 압출성형 공정보다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서 더 높았다. 단호박, 토마토 및 딸기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은 압출성형 후 총 페놀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저온 압출성형물보다 재래식 압출성형물에서 총 페놀 함량이 다소 높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녹차를 첨가한 재래식 압출성형물이 18.8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압출성형 후 단호박을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총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낮아졌으나 토마토 압출성형물은 증가하였다. 토마토 압출성형물의 라이코펜 함량은 압출성형 후 증가하였으며, 재래식 압출성형에서 더 높았다. 딸기 압출성형물의 안토시아닌 함량은 저온 압출성형보다 재래식 압출성형 공정에서 높았다. 압출성형 후 녹차 압출성형물의 총 클로로필 함량은 감소하였으며 클로로필 a, b 및 총 클로로필은 저온 및 재래식 공정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의 제조 (Production of Extrudates Formulated from Pacific Sand Lance Sauce By-Product and Dried Biji)

  • 한규홍;김병용;이재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86-193
    • /
    • 2002
  • 까나리 액젓 부산물을 이용하고자 단백질 효율이 뛰어난 건조 비지를 혼합하여 압출성형을 하였고, 통계적 모델링과 분석을 통하여 혼합비에 따른 압출성형물의 최적화를 이루었다. 수학적인 모델과 trace plot을 이용하였을 때 건조 비지는 압출성형물의 단백질을 증가시키고, 까나리 액젓 부산물과 상호작용을 일으켜 절단파손강도를 강하게 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압출성형물내에 건조 비지가 증가함에 따라 회분과 염도는 감소하였고, 각각의 성분이 독립적으로 작용한 지방과 색도는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 비지를 첨가한 최적의 압출성형물을 결정하기 위해 각 반응의 canonical 계수를 이용하여 수적 최적화를 한 결과 까나리 액젓 부산물 15.83%, 건조 비지 44.17%, 밀가루 40%로 나타났고, 혼합물 성분 모형을 중첩시킨 모형적 최적화에서는 까나리액젓 부산물 15.74%, 건조 비지 44.26%, 밀가루 40%로 나타났다. 최적화된 압출성형물이 제조하여 동물실험을 하였을때 건조 비지를 첨가한 압출성형물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낮은 식이효율을 보였으나 단백질 함량의 증가가 식이효율에 주요하게 작용하여 대조군과의 차이를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출구 온도와 반복 압출성형이 백삼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Die Temperature and Repeated Extrus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White Ginseng)

  • 최관형;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921-927
    • /
    • 2015
  • 본 실험은 사출구 온도와 반복 압출성형이 백삼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압출성형 조건은 수분 함량 20%와 스크루 회전속도 200 rpm을 고정시키고 독립변수로서 사출구 온도 $100^{\circ}C$, $120^{\circ}C$, $140^{\circ}C$로 1회, 2회 반복 압출성형 실험을 하였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사출구 온도 $140^{\circ}C$에서 1회 압출성형물이 295.0 kJ/kg으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조직감 특성 중 탄성계수에서는 사출구 온도 $100^{\circ}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7.53{\times}10^8N/m^2$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출구 온도 $120^{\circ}C$에서 1회 압출성형물이 $1.78{\times}10^8N/m^2$로 가장 낮은 결과값을 나타냈다. 또한 파괴력은 사출구 온도 $100^{\circ}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7.49{\times}10^5N/m^2$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사출구 온도 $140^{\circ}C$에서 2회 압출성형물이 $1.33{\times}10^5N/m^2$로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팽화 특성에서 $120^{\circ}C$ 1회 백삼압출성형물의 직경팽화율이 $2.283{\pm}0.011$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으며, 비길이 체적밀도에서는 사출구 온도 $140^{\circ}C$에서 1회 압출성형물과 사출구 온도 $100^{\circ}C$에서 2회 백삼압출성형물이 각각 $123.790{\pm}2.802m/kg$, $0.260{\pm}0.020g/cm^3$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수분흡착지수(WAI)와 수분용해지수(WSI)는 백삼압출성형물 모두 백삼분말보다 증가하였다. WAI는 1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 증가하였으며, 2회 압출성형을 하였을 때는 감소하였다. 또한 사출구 온도가 증가할수록 WAI도 증가하였다. WSI의 경우 WAI와 반대로 사출구 온도가 증가하면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위 연구를 통하여 백삼의 압출성형 조건을 달리하여 물리적 특성의 향상과 새로운 백삼제품 및 소재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분주입량과 배럴온도에 따른 카사바 전분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 (Effects of Feed Moisture and Barrel Temperature on Physical and Pasting Properties of Cassava Starch Extrudate)

  • 에도우 온도 세르게;구본재;김연수;류기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1-278
    • /
    • 2011
  • 다습한 열대지방에서 카사바는 중요한 식물자원이다. 수분함량(20, 25%)와 배럴온도(110, $130^{\circ}C$) 에 따른 압출성형 카사바전분의 물리적 특성(밀도, 팽화율, 비기계적 에너지, 색, 수분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와 호화특성을 조사하였다. 카사바전분 압출성형공정에서 수분 투입량은 압출성형물의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 비길이, 밀도에 유의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p<0.05) 직경팽화지수, 겉보기탄성계수와 절단강도에서 유의성을 보여주었다(p<0.1). 또한 수분투입량과 배럴온도의 상호관계에서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과 밀도(p<0.1), 비길이(p<0.05), 적색도(p<0.01)는 유의성을 나타내었다. 수분투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밀도, 겉보기탄성계수, 절단강도, 저온최고점도, 구조파괴점도, 최종점도는 증가하였으며, 직경팽화지수와 비길이는 감소하였다. 카사바전분 압출성형공정에서 수분투입량과 배럴온도는 명도와 황색도, 수분용해지수, 수분흡착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는 카사바 전분을 압출성형하여 사료와 식품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한 쌀 압출팽화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Extrudate Added with Onion Kimchi Powder)

  • ;강성구;박양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04-510
    • /
    • 2007
  • 양파의 이용성 증대를 위해서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하여 풍미와 물리적 특성을 개선한 쌀 압출스낵의 제조조건에 따른 팽화물의 수분흡수율, 경도, 팽창률, 색도변화 및 관능검사 등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양파김치 분말 $3{\sim}10%$를 쌀가루에 첨가한 후 수분함량 $20{\sim}26%$로 조절하여 바렐온도 $100{\sim}130^{\circ}C$, 스크루 속도 250 rpm에서 $7\;{\times}\;2\;mm$ 압출구로 압출성형 한 다음 건조하여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한 쌀 압출팽화물을 제조하였다. 이들 중에서 양파김치 분말과 쌀가루 혼합물의 수분함량 24%, 바렐온도 $130^{\circ}C$, 스크루속도 250rpm에서 제조한 압출성형물의 특성이 우수하였다. 쌀가루에 첨가한 양파김치 분말의 양이 증가할수록 압출물의 수분흡수율은 증가하였고, 경도와 팽창률은 감소하였으며 색차 ${\Delta}E$ 값은 증가하여 어두운 색깔을 보였다. 양파김치 분말 첨가량이 많은 10% 첨가구에서 수분흡수율은 가장 컸으나 경도는 가장 낮았다. 이같이 쌀 압출팽화물에 양파김치 분말을 첨가함으로써 팽화물의 물리적 특성을 개선하고 나아가 관능적 기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Effects of Moisture and Barrel Temperature of Extrusion Process on Physicochemical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Specialty Rice Cultivars

  • Choi, In-Duck;Song, Jin;Lee, Choon-Ki;Kim, Kee-Jong;Suh, Sea-Jung;Son, Jong-Rok;Ryu, Gi-Hyung;Kim, Jae-Hyu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19-323
    • /
    • 2008
  • Mutant rice cv. Goami2 (G2) and Baegjinjoo (BJJ) derived from a high-quality japonica rice cv. Ilpumbyeo (IP) were extruded under different feed moisture (20 and 30%) and barrel temperature (90, 110, and $130^{\circ}C$). Increasing feed moisture at fixed barrel temperature increased extrudate density (ED) in IP and BJJ. Whereas, G2 showed a varied ED depending on extrusion conditions; increasing barrel temperature decreased the ED of G2 extrudate with low feed moisture, but increased with high moisture. Results indicated a positive barrcl temperature effect on volume expansion in IP and G2, but a negative effect on 811, probably due to shrinkage of expanded products containing low-amylose contents. A significant increase of water absorption was found in G2 and BJJ extruded flour, while an increase of water solubility in those from IP. Non-digestible carbohydrates measured by total dietary fiber (TDF) indicated that extrusion increased slightly TDF in IP and BJJ extrudates, but decreased in G2 products, which might be variety-dependent.

압출성형에 의한 알파미분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Gelatinized by Extrusion-Cooking)

  • 한억;이상효;이현유;김영명;민병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70-475
    • /
    • 1988
  • 압출성형시 원료의 수분함량이 낮을수록 팽화율이 커졌으며, 수분함량이 증가되면 호화도, 가밀도 및 전단강도가 증가하였다. 또한 아밀로그램이나 리올로지 특성에 있어서도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점도가 증가하였으며 의가소성 유동특성을 보여주었다. 수분함량이 증가하면 WAI값은 증가하나 WSI값은 감소하였다. 수분함량이 낮으면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미세구조에 있어서도 수분 함량이 높을수록 전분질의 호화특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품종간의 대체적인 물성특성은 삼강보다는 추청품종이 우수하였다.

  • PDF

사출구 온도와 CO2 가스주입이 현미·야채류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 Temperature and CO2 Gas Injection on Physical Properties of Extruded Brown Rice-Vegetable Mix)

  • 길선국;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48-1856
    • /
    • 2013
  • 녹차, 토마토, 호박가루 첨가와 사출구 온도, $CO_2$ 가스 주입에 따라 압출성형물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비기계적에너지, 팽화특성, 기계적 특성, 색도,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 미세구조를 분석하였다. 수분함량 27%, 스크루 회전속도 100 rpm, 원료 사입량 100 g/min, 사출구 3 mm 원형으로 고정하였고, 사출구 온도(60, 80, $100^{\circ}C$), $CO_2$ 가스 주입량(0, 150 mL/min)으로 조절하였다. 원료는 알파현미 25%, 현미가루 50%와 당류 16%에 녹차, 토마토, 호박을 각각 9%씩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은 사출구 온도 $100^{\circ}C$, $CO_2$ 가스 주입량 150 mL/min, 호박가루를 첨가했을 때 52.67 kJ/kg으로 가장 낮은 비기계적 에너지 투입량을 나타내었다. $CO_2$ 가스를 주입하지 않은 경우 사출구 온도는 직경팽화율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직경팽화율은 $60^{\circ}C$에서 $CO_2$ 가스를 주입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비길이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녹차 첨가 시 사출구 온도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밀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사출구 온도 $60^{\circ}C$에서 $CO_2$ 가스 주입 시 $100^{\circ}C$에서 $CO_2$ 가스를 주입하지 않을 때와 비슷한 기공의 크기와 수를 보여주었다. 모든 사출구 온도에서 $CO_2$ 가스 주입시 파괴력은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는 사출구 온도증가 시 감소하고 $CO_2$ 가스 주입 시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분흡착지수는 사출구 온도와 $CO_2$ 가스 주입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사출구 온도 $60^{\circ}C$에서 $CO_2$ 가스 주입을 통한 저온 압출성형은 생식 제조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카카오 빈 함량에 따른 쌀 압출성형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Extruded Rice Flour with Various Cacao (Theobroma cacao L.) Bean Content)

  • 박주연;김영호;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11호
    • /
    • pp.1327-1335
    • /
    • 2017
  • 본 실험은 카카오 빈의 함량(0, 20, 40, 60%)을 달리하여 쌀가루와 압출성형물을 제조하여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공정 조건은 수분 함량 25%, 스크루 회전 속도 200 rpm, 사출구온도 $130^{\circ}C$로 조절하였다. 팽화율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밀도와 비길이, 겉보기 탄성계수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파괴력은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수분용해지수와 수분흡착지수는 압출성형 공정 후 모두 증가하였다. 카카오 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무처리구(RAW)에서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압출성형 공정 후 카카오 빈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색도차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페이스트 점도는 카카오 빈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모든 조건에서 감소하였으며, 압출성형을 한 모든 실험군과 RAW의 roasted 카카오빈(RC) 첨가군에서 저온최고점도(CPV)를 나타내어 낮은 온도에서도 점성을 나타내는 특성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non-roasted 카카오 빈(NRC) 첨가군이 RC 첨가군보다 높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압출성형한 NRC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카카오 빈 첨가가 쌀 카카오의 팽화 특성에 영향을 미치며, 카카오 빈의 총 페놀 함량은 로스팅과 압출성형에 의해 감소하였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로스팅을 하지 않고 압출성형 하였을 때 증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