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noun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19초

A Denotational Analysis of Anaphora in Attitude Contexts

  • Yeom, Jae-Il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8권2호
    • /
    • pp.47-72
    • /
    • 2004
  • In general, it is assumed that a pronoun refers to the same individual as the referent of its antecedent. However, when a pronoun and its antecedent are in different information or belief states, the two may not refer to the same individual. Then a question arises what a pronoun refers to. In this paper, two cases are considered. When a pronoun occurs in an attitude context, one case is where its antecedent occurs in a belief context, and the other is where the antecedent occurs in the main context. I propose that a pronoun refers to an individual concept which links two different subjects in two different contexts, and that the selection of a proper individual concept is restricted by the discourse. So a pronoun can be used felicitously only when there is a unique individual concept supported by the individual concept introduced by the discourse and which can link two subjects in two different contexts.

  • PDF

대명사의 통사단서가 참조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명사의 수 단서와 성별 단서 (The Role of Syntactic Cues in Pronoun Referential Resolution: The Effects of Number Cue and Gender Cue)

  • 이재호
    • 인지과학
    • /
    • 제15권3호
    • /
    • pp.25-33
    • /
    • 2004
  • 이 연구는 대명사의 통사단서인 수단서와 성별단서가 참조해결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과제에서 수렴적으로 관찰하였다. 실험 1은 자율조절 문장읽기과제와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복수 대명사는 단수 대명사에 비해서 읽기시간이 빨랐으며, 단수 대명사는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이 애매한 조건보다 읽기시간이 빨랐다. 실험 2는 실험글을 RSVP(rapid serial visual presentation)로 제시한 다음 선행어의 어휘판단과제를 실시하였다. 단수 대명사와 복수 대명사의 어휘판단시간은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고, 단수 대명사는 성별단서가 명료한 조건이 애매한 조건보다 어휘판단시간이 발랐다. 대명사의 통사 단서는 참조해결의 과정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제약임이 수렴적으로 확인되었다.

  • PDF

Cross-speaker anaphora in dynamic semantics

  • Yeom, Jae-Il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14권2호
    • /
    • pp.103-129
    • /
    • 2010
  • In this paper, I show that anaphora across speakers shows both dynamic and static sides. To capture them all formally, I will adopt semantic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variables range over individual concepts that connect epistemic alternatives. As information increases, a variable can take a different range of possible individual concepts. This is captured by the notion of virtual individual (= vi), a set of individual concepts which are indistinguishable in an information state. The use of a pronoun involves two information states, one for the antecedent, which is always part of the common ground, and the other for the pronoun. Information increase changes vis for variables in the common ground. A pronoun can be used felicitously if there is a unique virtual individual in the information state for the antecedent which does not split in two or more distinctive virtual individuals in the information state for the pronoun. The felicity condition for cross-speaker anaphora can be satisfied in declaratives involving modality, interrogatives and imperatives in a rather less demanding way, because in these cases the utterance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non-trivial personal information for proper use of a pronoun.

  • PDF

인칭 대명사 '나'와 '너'의 정서적 평가 차이 (The Difference of Emotional Evaluation for Personal Pronoun 'I' and 'You')

  • 이재호
    • 인지과학
    • /
    • 제23권3호
    • /
    • pp.323-348
    • /
    • 2012
  • 인칭 대명사의 '나'와 '너'가 긍정과 부정의 정서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세 개의 실험에서 관찰하였다. 실험 1은 인칭 대명사를 점화하여 정서 단어의 반응이 어휘판단과제에 작용하는 과정을 SOA 1000ms에서 관찰하였다. 인칭 대명사와 정서 단어의 주효과만 관찰되었다. 실험 2는 SOA 1000ms에서 두 변인의 효과를 명명과제를 적용하여 관찰하였다. 변인들의 어떤 효과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3은 SOA 500ms에서 명명과제를 적용하였다. 그 결과 두 변인의 상호작용이 관찰되었다. 세 실험은 인칭 대명사 '나'와 '너'의 평가적 표상이 과제의 특성에 따라 매우 역동적일 가능성을 보였다. 이들 결과를 사회 인지이론으로 논의하였다.

  • PDF

Deep Neural Architecture for Recovering Dropped Pronouns in Korean

  • Jung, Sangkeun;Lee, Changki
    • ETRI Journal
    • /
    • 제40권2호
    • /
    • pp.257-265
    • /
    • 2018
  • Pronouns are frequently dropped in Korean sentences, especially in text messages in the mobile phone environment. Restoring dropped pronouns can be a beneficial preprocessing task for machine translation, information extraction, spoken dialog systems, and many other applications. In this work, we address the problem of dropped pronoun recovery by resolving two simultaneous subtasks: detecting zero-pronoun sentences and determining the type of dropped pronouns. The problems are statistically modeled by encoding the sentence and classifying types of dropped pronouns us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rchitecture. Various RNN-based encoding architectures were investigated, and the stacked RNN was shown to be the best model for Korean zero-pronoun recovery.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require any manual features to be implemented; nevertheless, it shows good performance.

An Innovative Approach of Bangla Text Summarization by Introducing Pronoun Replacement and Improved Sentence Ranking

  • Haque, Md. Majharul;Pervin, Suraiya;Begum, Zerin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3권4호
    • /
    • pp.752-777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n automatic method to summarize Bangla news document. In the proposed approach, pronoun replacement is accomplished for the first time to minimize the dangling pronoun from summary. After replacing pronoun, sentences are ranked using term frequency, sentence frequency, numerical figures and title words. If two sentences have at least 60% cosine similarity, the frequency of the larger sentence is increased, and the smaller sentence is removed to eliminate redundancy. Moreover, the first sentence is included in summary always if it contains any title word. In Bangla text, numerical figures can be presented both in words and digits with a variety of forms. All these forms are identified to assess the importance of sentences. We have used the rule-based system in this approach with hidden Markov model and Markov chain model. To explore the rules, we have analyzed 3,000 Bangla news documents and studied some Bangla grammar books. A series of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200 Bangla news documents and 600 summaries (3 summaries are for each document). The evaluation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technique over the four latest methods.

슬라브어 담화 직시와 대용 (Discourse Deixis and Anaphora in Slavic Languages)

  • 정정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381-431
    • /
    • 2016
  • 본고에서는 슬라브어, 특히 러시아어, 폴란드어, 체코어, 불가리아어 담화 직시의 전반적 특징을 살펴본다. 슬라브어에서는 무엇보다도 근칭지시사가 담화 직시사로 기능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개별 슬라브어에서 담화 직시사의 구체적 사용 양상은 상이하다. 폴란드어와 체코어에서는 원칭지시대명사와 인칭대명사가 담화 직시사로 거의 기능하지 못하는 반면, 러시아어는 원칭지시대명사가 담화 직시사로 활발하게 사용되며, 인칭대명사도 사용 가능하다. 불가리아어에서는 원칭지시대명사가 담화 직시사로 거의 사용되지 않는 반면, 인칭대명사는 자주 사용된다. 이와 같이 슬라브어 담화 직시사는 개별 언어에서 상이하게 직시와 대용 기능을 수행하는데, 근칭, 원칭 지시대명사와 인칭대명사가 모두 담화 직시사로 기능하는 러시아어에서는 그것의 직시성이 다른 언어에 비해 두드러지며, 가장 분석적인 슬라브어인 불가리아어에서는 인칭대명사의 사용이 잦아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 담화 직시사의 대용 기능이 두드러진다.

영어 관계대명사 That 연구 (A study of English relative pronoun That)

  • 최종욱
    • 영어어문교육
    • /
    • 제6호
    • /
    • pp.199-217
    • /
    • 2000
  • Relative pronoun that is one of the important relative pronouns but we have an impression that its scope of use has been somewhat narrowed. In the light of history of relative pronouns relative pronoun toot has the longest history of all relative pronouns and it was widely used even in Middle English and early Modem English.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that the relative use of that has been gradually weakened as the relative pronouns who and which has expanded their scope of use. It is quite natural that the scope of use of toot as a relative pronoun has been narrowed as who is mainly used in referring to person and which is mainly used in referring to things. And we can note that that is used only in restrictive clauses, not in nonrestrictive clauses, for that ha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relative conjunction in comparing with who and which. That as a relative pronoun still has its own weight because it can take an antecedent referring to person and thing. In particular, it is general tendency that who is used more frequently than that in the case of referring that it is not adequate for that to refer to things. In contrast, who has an advantage over that because the former originally refers only to person.

  • PDF

대명사의 참조관계 처리시의 맥락의 역할 (The Contextual Effects on Pronoun Reaolution)

  • 방희정
    • 인지과학
    • /
    • 제2권2호
    • /
    • pp.279-307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글이해시의 참조관계 처리 과정에서 맥락이 어떤 영향을 미치며 다른 통사 정보와는 어떤 관계를 갖는지를 대명사 해결 패러다임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실험1에서는 무관단어 어휘판단 과제 및 선행참조어 강제선택 과제를 사용하여 글이해시 대용어 문장에서 제공되는 하위 수준의 국소적 맥락편중에 의한 촉진 효과를 입증했다.그러나 맥락 편중에 의한 촉진 효과는 통사적으로 명료한 조건에서는 보다는 애매 조건에서 더욱 강하여,맥락과 통사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냈다.실험 2 에서는 대용어 문장 수준에서는 국소적 맥락 정보가 주어지지 않더라도 선행글로 부터 제공된 상위 수준의 전체주제와 관련된 총체적 맥락 정보가 참조관계 해결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실험 3 에서는 전체 덩이글 에서의 선행된 총체적 맥락과 후행하는 국소적 맥락간의 일관성 변인이 대명사 해결시에 촉진적 역할을 하는것으로 나타났다.즉 세개의 실험을 통해 글이해에 미치는 맥락 촉진 효과가 다양한 수준에서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논문 초록상 사용되는 일인칭 대명사(I, We)의 수량적 활용도 (Quantitative Evidence on the Uses of the First Person Pronoun (I and We) in Journal Paper Abstracts)

  • Kim, Eungi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27-243
    • /
    • 2015
  • 본 논문의 목적은 논문초록의 일인칭 대명사 사용 실태에 대한 수량적 고찰이다. 총 9개국 (중국, 독일, 인도, 일본, 한국, 프랑스, 스페인, 영국, 미국)의 네 가지 분야 (화학, 컴퓨터 과학, 사회 과학, 의학)에서 약 144,400개의 논문을 출력하여 수량적 사용빈도수를 분석하고 검토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세계적으로 학계의 저자들이 보여주는 일인칭 대명사의 수량적 활용도를 보고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결과는 논문초록에서 일인칭 대명사 사용을 기피하는 저자들의 입장과는 달리 일반적으로 흔하게 사용되는 실태를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의 의미는 일인칭 대명사에 대한 사용을 수량적 사용도로 측정하여 고찰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이를 근거로 학자들이 초록을 작성할 때 일인칭 대명사 사용에 대한 의견을 개진하기 앞서 사용 실태를 우선적으로 인정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해준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