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gnosis survival

검색결과 1,335건 처리시간 0.029초

Clinical Outcomes of Endoscopic Hemostasis for Bleeding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Advanced Gastric Cancer

  • Song, In Ji;Kim, Hyun Ju;Lee, Ji Ae;Park, Jun Chul;Shin, Sung Kwan;Lee, Sang Kil;Lee, Yong Chan;Chung, Hyunso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7권4호
    • /
    • pp.374-383
    • /
    • 2017
  • Purpose: Bleeding is one of the most serious complications of advanced gastric cancer (AGC) and is associated with a poor prognosi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endoscopic hemostasis for bleeding in patients with unresectable AGC.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06 patients with bleeding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who had undergone endoscopic hemostasis between January 2010 and December 2013.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utcomes, including rates of successful endoscopic hemostasis and rebleeding, risk factors for rebleeding,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investigated. Results: Successful initial hemostasis was achieved in 83% of patients. Rebleeding occurred in 28.3% of patients within 30 days. The median OS after initial hemostasis was lower in patients with rebleeding than in those without rebleeding (2.7 and 3.9 months, respectively, P=0.0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sease status and rebleeding rates among patients with partial response or stable disease (n=4), progressive disease (n=64), and first diagnosis of disease (n=38).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es (P=0.038 and 0.034, respectively) revealed that transfusion of ${\geq}5$ units of RBCs was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bleeding. Conclusions: Despite favorable success rates of endoscopic hemostasis for bleeding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the 30-day rebleeding rate was 28.3% and the median OS was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rebleeding than in those without rebleeding. Massive transfusion (${\geq}5$ units of RBCs) was the only significant risk factor for rebleeding. Patients with bleeding associated with AGC who have undergone massive transfusion should be observed closely following endoscopic hemostasis. Further research on approaches to reduce rebleeding rate and prevent death is needed.

소아에 발생한 악성 난소 종양 (Malignant Ovarian Tumor in Children)

  • 신혜아;김대연;조민정;김태훈;김성철;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34-142
    • /
    • 2010
  • Malignant ovarian tumors in children are very rare, and consist of about 1 % of all childhood malignant tumo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for children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children under 15 years of age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who had been treated surgically at Asan Medical Center between 1989 and March 2009. There were 32 patients, ranged in age at surgery from 2 to 15 years (mean; 10.4 year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64.7 months (from 1 month to 188 months). Pathologic diagnosis were; immature teratoma (n=10), mixed germ cell tumor (n=10), and dysgerminoma (n=6). Tumor stage was classified by the staging system of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Gynecology and Obstetrics (FIGO). The number of patients in stage I, II, III, and IV were 24 (75 %), 2 (6.2 %), 4 (12.5 %), and 2 (6.1 %), respectively. The tumor recurred in 4 patients. Seven patients of group 1 did not receiv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in three of them, the tumor recurred. Twenty-five patients (group 2) underwe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there was only one recurrence. One patient who did not receiv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and expired 10 months after operation because of tumor recurrence and distant metastasis. The overall 5-year event free survival (EFS) was 84.2 %: group 1 in 44.4 %, and group 2 in 95.7 %. Tumor recurrence was related to the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p=0.004). In conclusion, proper surgical procedures with relevant postoperative adjuvant chemotherapy might improve clinical results in children with malignant ovarian tumors.

  • PDF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복막 배액술의 경험 (Experience with Peritoneal Drainage in Extremely Low-birth-weight Infants)

  • 남소현;김대연;김성철;김애란;김기수;피수영;김인구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4권1호
    • /
    • pp.37-47
    • /
    • 2008
  • Recently, the survival rates of extremely low-birth-weight (ELBW) infants have improved with the development of neonatal intensive care. However, these infants were susceptible to intestinal perforation due to prematurity, fluid restriction, and injection of indomethacin, etc. Because of the risks of transportation, anesthesia and surgery itself, peritoneal drainage has been compared with laparotomy. Through our experience, we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eritoneal drainage retrospectively. From 1997 to 2007, six ELBW (M:F=5:1) underwent primary peritoneal drainage for intestinal perforation. Their median birth weight was 685g (405~870) and gestational age was $25^{+1}$ weeks ($24^{+3}{\sim}27^{+0}$). We noticed the intestinal perforation at median 10.5 days (8~18) after birth, and placed Penrose drain or Jackson-Pratt drain through right lower quadrant incision under local anesthesia. The cause of intestinal perforation was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one patient, but that of the others was not clear. Three patients who showed normal platelet count and stable vital signs recovered uneventfully. Two patients (birth weight less than 500g) who showed unstable vital signs and low platelet count (12,000 / $mm^3$ to 30,000 / $mm^3$)expired despite aggressive resuscitation. One patient required laparotomy due to persistent intestinal obstruction after drain removal and survived. Our experience shows that peritoneal drainage was an acceptable treatment for ELBW infants and the prognosis was related to vital sign and platelet count at the time of intestinal perforation, and birth weight.

  • PDF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임플란트의 길이와 위치가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length and location of implants on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s: finite element analysis)

  • 김진희;조진현;이청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186-194
    • /
    • 2015
  • 목적: 임플란트 위치와 길이가 하악 후방연장 가철성 국소의치(DERPD)와 연관된 임플란트의 응력 분포와 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5, 36, 37이 소실된 시상절단면의 후방연장모형과 가철성 국소의치를 기본모형으로 사용했다. NX 9.0으로 7개의 모델을 디자인했다. 모델 A, B, C에서 각각 11, 6, 4 mm 길이의 임플란트가 #37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D, E, F에서 각각 11, 6, 4 mm의 임플란트가 #36 인공치 하방에 위치되었다. 모델 G는 임플란트가 없었다. 수직하중(250 N)을 #36의 중심와에 가했고, 유한요소 분석프로그램을 이용해 von Mises stress와 변위를 관찰했다. 결과: #37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6에 위치한 것과 비교시 주변골에 더 낮은 응력집중도를, #36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37에 위치한 것보다 더 적은 변위를 보였다. 결론: 임플란트 지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서 후방부에 위치한 임플란트는 전방부에서보다 더 이점을 가지며, 길이가 더 긴 임플란트의 사용은 응력분산을 위해서 중요하다.

신생혈관녹내장에 대한 Mitomycin C 섬유주절제술의 성적과 예후인자 (The Results and Prognostic Factors of Mitomycin C Trabeculectomy in Neovascular Glaucoma)

  • 김윤태;차순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9권2호
    • /
    • pp.126-135
    • /
    • 2002
  • 신생혈관녹내장에 대한 MMC 섬유주절제술의 효과와 그 예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생혈관녹내장으로 진단하고 MMC 섬유주절제술을 시행한 55명, 62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수술 성공 여부의 기준은 술후 안압하강제 사용에 관계없이 술후 최종 안압이 21 mmHg이하이며 시력상실이 없는 경우를 성공으로 판정하였고, 술전 시력이 광각이상의 환자에서 광각이 소실된 경우와 광각무인 환자에서 안구위축이 발생한 경우 및 안압하강을 위해 추가적 녹내장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수술실패로 판정하였다. 평균 $23.9{\pm}16.2$개월의 추적 관찰 후 전체 62안 중 37안(60%)이 수술성공으로 판정되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이용한 수술 후 6개월, 12개월, 24개월, 36개월의 누적 수술성공률은 각각 85%, 71%, 57%, 52%이었다. 당뇨망막병증이 있는 경우가 다른 원인을 가진 경우보다 수술성공률이 더 높았고(p=0.005), 범망막광응고술을 시행한 경우에서 시행하지 않은 경우보다 수술성공률이 더 높았다(p=0.015). 하지만, 범망막광응고술의 시행여부는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분석법에 의해 섬유주절제술 실패의 의미있는 위험인자로 작용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신생혈관녹내장은 원인질환이 당뇨망막병증의 경우 MMC를 사용한 섬유주절제술의 예후가 다른 원인질환에 의한 경우보다 양호하였으며, MMC를 이용한 섬유주절제술이 방수유출장치삽입술이나 모양체광응고술에 앞서 일차적 수술로 유용하다고 생각한다.

  • PDF

패혈증 생존 및 사망 환자 혈장에서 단백질 칩을 이용한 분석의 차이 (Difference in Protein Markers According to the Survival of Sepsis Patients using Protein Chips)

  • 박명옥;이희영;손희정;성지현;이승준;이성준;하권수;김우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1호
    • /
    • pp.41-45
    • /
    • 2006
  • 배 경: 패혈증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는 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임상적 채점 방식은 몇가지 제한점이 있다. 그래서 단백질체학(proteomics) 기법을 사용하여 표지자(proteomic biomarkers)를 찾으려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16명의 패혈증환자에게서 중환자실에 입원하자마자 혈장을 채취하였다. 패혈증의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를 찾기 위해 Surface-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SELDI -TOF) mass spectrometry를 사용하였다. 결 과: 사망환자와 생존환자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6개의 단백표지자를 발견하였고 이들은 패혈증 환자의 예후 예측과 치료계획수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결 론: 프로테오믹 마커는 패혈증 환자의 예후를 예측하고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 유용하게 이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 경험한 후두부분절제술 8예 (8 Cases of Partial Laryngectomy)

  • 유홍균;김명진;이상학;신홍수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4-15
    • /
    • 1983
  • 이비인후과영역의 악성종양중 가장 많은 빈도를 보이는 후두암의 외과적료법으로는 1873년 Billroth가 처음으로 후두전적출위을, 1873년 H. B. Sands가 후두부분절제술을 시행한 이래 항생제료법, 수혈 및 보다 안전해진 마취 등의 전반적인 진보로 수술후 보다 좋은 예후를 가져왔다. 후두의 임파계는 구획되어 있는 해부학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후두부분절제술의 시행을 가능케 하였으며 이러한 후두부분절제술은 후두전적출술에 비하여 적응증이 다르긴 하나 환부를 제거함과 동시에 발성작용, 호흡작용 및 방어작용등의 기능적인 면을 보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수술적요법은 화학요법, 방사선료법 등과 병합으로 재발의 빈도를 줄이고 5연생존율을 증가시켰다. 저자들은 1980연부터 1982연까지 고대부속병원 이비인후과에 내원한 후두암환자중 후두부분절제술의 적응이 되는 8예를 경험하였다. 이들의 발병부위는 후두개 2예, 양측성대 전 1/3부위 2예, 우측성대 전 1/3부위 및 전연합부 1예, 우측후두실 1예, 좌측성대 중 1/3부위 2예로서 이들에 시행한 후두부분절제술에 대하여 문헌적 고찰과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연부조직육종 환자에서 $O^6$-MGMT 와 촉진자 과메틸화의 예후적 중요성 (Prognostic Significance of $O^6$-MGMT and Promotor Hypermethylation in Patients with Soft Tissue Sarcomas)

  • 서정탁;김정일;오종석;최경운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3-25
    • /
    • 2009
  • 서론: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는 DNA 염기 손상에 의해 형성된 $O^6$-methylguanine에서 알킬기를 제거하여 DNA 염기 손상을 복구하는 역할을 한다. MGMT의 후생유전적 불활성화가 인체 종양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항암 치료에 대한 저항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부조직육종에서 이러한 MGMT 불활성화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총 62예의 연부조직육종조직에서 메틸화 특이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이용하여 MGMT 유전자의 촉진자 부위 메틸화 정도를 알아보고,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하여 MGMT 단백 발현의 소실 양상을 살펴보았다. 결과: MGMT 단백 발현 소실은 진행성 병기(p=0.000), 조직학적 고등급(p=0.005),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p=0.011), 그리고, 낮은 생존률(p=0.017)과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였다.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메틸화는 조직학적 고등급, 종양의 재발 또는 전이, 그리고, 낮은 생존률과 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와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p=0.000). 결론: 본 연구는 MGMT 단백 발현의 소실과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가 연부조직 육종에서 흔히 발생하며 종양의 공격적인 양상 및 나쁜 예후와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MGMT 단백 발현의 소실은 대개 MGMT 유전자 촉진자 부위 과메틸화로 인해 발생한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위암 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된 Cytokeratin 양성세포의 임상적 의의 (Cytokeratin-positive Cells in the Bone Marrow of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 신정혜;구기범;박성훈;정호영;배한익;유완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6권4호
    • /
    • pp.221-226
    • /
    • 2006
  • 목적: 암 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되는 cytokeratin 양성세포와 암의 재발과의 상관관계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많지 않다. 이에 위암환자의 골수에서 발견되는 cytokeratin 양성세포가 위암 환자의 재발과 생존율을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6월부터 2000년 7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외과에서 원발성 위암으로 수술받은 환자 4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직전 장골능선에서 골수를 흡인하여 단핵구를 분리하고 항 cytokeratin 항체를 이용하여 면역세포화학적 염색을 하였다. 결과: Cytokeratin 양성세포는 219예(52.4%)에서 발견되었고, 위암의 침윤깊이(P=0.021), 병기(P=0.026)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암의 위치, 육안형, 림프절전이, 원격전이, 분화도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골수의 cytokeratin 양성세포 유무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248), 재발여부, 재발부위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위암 환자의 골수에서 cytokeratin 양성세포 유무는 예후인자로 사용되기 어렵고 재발양상을 예측하기도 어렵다.

  • PDF

고립성 폐결절의 예후에 관여하는 인자 (The Prognostic Factors of Solitary Pulmonary Nodule)

  • 정윤섭;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3호
    • /
    • pp.425-435
    • /
    • 1989
  •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 is considered as a round or ovoid lesion with sharp, circumscribed borders, surrounded by normal appearing lung parenchyme on all sides, and found on a simple chest X-ray without any particular symptoms or signs. There is a wide spectrum of pathologic conditions in the solitary pulmonary nodules prove to be malignant tumors, either primary or metastatic. Most Benign granulomas and other benign conditions can also be seen as solitary nodules. The resection of solitary malignant nodules results in a surprisingly high 5-year survival rate. On the contrary, most benign nodules do not need to be resected and a period of prolonged observation and nonsurgical management is usually indicated. Therefore, the best approach to the controversial management of solitary pulmonary nodules depends on finding factors affecting the probability of malignancy. In this article, clinical records and chest roentgenographies of 60 patients operated on over the past 8 years at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viewed. There were 15 malignant nodules and 45 benign nodules and the prevalence of malignancy was 25%. The most common pathologic entity was tuberculoma [21 cases]. The mean age was 55.5*9.6 years in the malignant group, 45.8>12.5 years in the benign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 0.05]. The malignant ratio in each age group increased with advancing age. The average smoking amount was 35.6*12.9 cigarettes per day in malignant smokers, 20.9* 12.0 cigarettes per day in benign smoker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malignant ratio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ing smoking amount. Comparing the appearance of the nodule on chest films, 6 calcifications and 7 cavitations were found only in benign nodules, not in malignant nodules. Therefore, calcification and cavitation can be considered as preferential findings for benignity. Previous cancer history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deciding the prognosis of the nodule [p< 0.05]. The average diameter on chest X-ray was 3.07*0.82 cm in malignant nodules, 3.25*1.04 cm in benign nodul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 0.05]. The author used Bayes theorem to develop a simple method for combining individual clinical or radiological factors of patients with solitary nodules into an overall estimate of the probability that the nodule is malignant. In conclusion, patient age, smoking amount, appearance of nodule on chest film such as calcification and cavitation, and previous cancer history were found to be strongly associated with malignancy, but size of nodule was not associated with malignancy. Since these prognostic factors have been found retrospectively, prospective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have really prognostic signific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