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ound hearing loss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3초

심도 청각장애 아동의 발성특성: 강도, 음도 및 그 변동률을 중심으로 (The Phonatory Characteristics of Voice in Profoundly Hearing-Impaired Children: with Reference to F0, Intensity, and their Perturbations)

  • 최은아;박한상;성철재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2권1호
    • /
    • pp.135-145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mean F0, intensity, jitter, and shimmer across hearing aid, gender, and vowels. For this study, 18 hearing-impaired children, 18 cochlear implanted children, and 18 normal hearing children as a control group were asked to read seven Korean vowels (/$\alpha$, $\wedge$, o, u, w, i, $\varepsilon$/). Subjects' readings were recorded by NasalView and analyzed by Praat. Results showed that the means of F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ring impaired group than in the normal hearing group;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and in high vowels than in low vowels. Second, inten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earing impaired group than in the normal hearing group;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and in low vowels than in high vowels. Third, jit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rmal hearing group than in the hearing impaired group; in the female group than in the male group; and in back vowels than in front vowels. Finally, shimm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I group than in the normal hearing group or the hearing aided group; in the male group than in the female group; and in low vowels than in high vowels.

  • PDF

청각장애 아동의 청능발달과 언어발달간의 상관관계 연구 (The Study for Correlation Among Auditory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 박상희;권영주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255-261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rrelation of auditory development and languag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Eighteen subjects with severe or profound hearing los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22-to 55-month-olds who had hearing parents with no additional disabling conditions. The test material was the Meaningful Auditory Integration Scale (MAIS) and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y-Korea (MCDI-K).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determined through a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followed as; firstly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uditory development and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Secondly,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receptive language development and expressive language development. Finally,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auditory development and education onset time. Therefore, auditory training is important method for auditory rehabilitation and education onset time is important variation for auditory development.

  • PDF

신생아 집중치료실 퇴원아의 청성뇌간반응(ABR) 결과에 미치는 위험인자 및 경과 (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 results in NICU graduates)

  • 최희정;이태호;오기원;김행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2호
    • /
    • pp.1301-1307
    • /
    • 2006
  • 목 적 : 신생아기의 청력 소실은 그 빈도가 높으며 조기 발견 및 조기 치료가 예후를 결정하는데 중요하다.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들은 일반 신생아에 비해 청력 소실의 빈도가 더 높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를 대상으로 청력 소실의 발생 빈도와 위험 인자 및 청력 소실의 양상을 조사하기 위해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3년간 경북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아를 대상으로 ABR 검사를 시행하여 이들의 청력 소실 정도와 이와 관련된 임상 소견을 조사하고 추적 관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연구 기간 동안 ABR 검사를 받은 환아는 474명으로 총 입원아의 54.0%였고, 검사를 받은 신생아의 13.5%인 64명이 ABR 검사에 이상 소견을 보였다. 이들 64명의 귀 128례의 청력 소실의 양상은 편측 정상이 37례(28.9%)이고 경증, 중등도, 중증 및 초중증 청력 소실이 각각 43례(33.6%), 36례(28.1%), 2례(1.6%) 및 10례(7.8%)로 중증 이상의 청력 소실 빈도는 9.5%였다. 미숙아, 저출생 체중아 및 극소 저출생 체중아, 신생아 가사, 두부 안면 기형 및 amikacin의 15일 이상 사용이 ABR 비정상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고빌리루빈혈증 환아에서 최고 빌리루빈 수치, 광선치료의 기간과 교환수혈의 시행 여부 모두 ABR 정상군과 비정상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ABR 비정상군 중 15명에서 생후 $8.8{\pm}4.4$개월에 시행한 추적 ABR 검사는 80.0%에서 호전 혹은 정상화되었다. 결 론 :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했던 신생아는 청력 소실의 위험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청력 평가와 관리가 필요하다.

돌발성 난청에 있어서 성상신경절차단의 치료효과 (The Efficacy of Stellate Ganglion Block in the Treatment of Idiopathic Sudden Sensorineural Hearing Loss)

  • 정소영;윤덕미;이명희;오홍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65-73
    • /
    • 1995
  • 1) 돌발성난청의 치료성적은 대조군, 성상신경절차 단군 각각 완전회복 28.6%, 18.5%, 부분회복은 6.1%, 7.4%, 경도회복은 16.3%, 25.9%로 성상신경절차단군이 예후가 나쁜 인자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두군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회복예후는 두통이 수반될 때, 청력형이 농형일 때 예후가 불량하였고, 발증에서 치료시작까지의 기간이 빠를수록 좋았으며 특히 성상신경절차단을 2주 이내에 시행한 경우에는 반응이 없었던 예가 없었다.

  • PDF

한의 치료로 호전된 이명 동반 돌발성 난청 환자 1례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Sudden Hearing Loss Accompanied by Tinnitus)

  • 서지인;고서림;이윤재;하동림;박지현;김준형;서형식;최유민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72-180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reports a 61-year-old man with sudden hearing loss and tinnitus whose symptoms improved remarkably after treatment with Korean medicine. Methods :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gamisoyo-san, samul-tang gagambang, gongjindan, and yukmijihwang-hwan), acupuncture and moxibustion. Puretone audiometry(PTA), speech audiometry(SA), Korean tinnitus handicap inventory(K-THI), patient self-report, numeric rating scale(NRS) 11, and review of system(ROS) were performed. Results : After a month of treatment, PTA was improved from profound to mild and audiometric findings were improved in speech reception threshold and word recognition score. After 2 months of treatment, K-THI decreased from 92 to 28 and NRS 11 score decreased more than 6 in every item. Conclusions :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Korean medicine could be effective sudden hearing loss and tinnitus.

와우 갑각 전기자극 뇌간유발반응용 원추형 전극의 개발 (Development of Cone-Shaped Electrode for Promontory Stimulation Electrically Auditory Brainstem Response)

  • 허승덕;정동근;강명구;김리석;고도흥
    •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81-187
    • /
    • 2003
  • This paper introduces a new zinc coated copper wire electrode with coiled cone shape which has low surface resistance and tolerance to the motion artifact for promontory stimulation electrically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PSEABR). Auditory brainstem responses (ABR) can be used to predict hearing threshold level with a great deal of accuracy particularly for a young child who cannot cooperate mechanically and some hearing impaired who are exaggerating a hearing loss for economic compensation. While severe profound sensorineural hearing losses may not be implemented by auditory potentials, PSEABR is proven as a useful tool even for some sensorineural related hearing impaired. It was shown that PSEABR gives the electrical stimuli to promontory of the cochlear instead of giving acoustic stimuli. For this reason, PSEABR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for cochlear implantation, and can also be used as an optimal device selection and neural information for MAP. It was found that the role of electrode is very important in PSEABR. Even though this cone-shaped electrode was applied in animal experiments, waveforms are well produced by PSEABR. Thus, it was concluded that cone-shaped electrode turned out to be a useful preoperative audiological evaluation tool in deciding time for cochlear implantation surgery.

  • PDF

고막천공 없이 자각난청을 호소하는 환자의 순음청력상 관한 임상통계적 고찰 (Audiological Study in Hearing Impaired Patient with Non-Perforated Ear Drums)

  • 김은우;장병일;추광철;김선곤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6년도 제10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86.2-86
    • /
    • 1976
  • 저자들은 1975~1976.3까지 만 1년 3개월간 자각난청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게 실시한 순음청력검사중 고막 천공이 없는 165례(남 101, 녀 64), 총 223이에 대하여 청력상에 따른 연령별, 성별, 측별, 발생기간별, 원인별, 고막소견 및 청력소실의 정도 등에 관하여 임상통계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청력상은 정상(30례, 18.18%), 수평형(46례, 27.88%), 점경형(34례, 20.6%), 상승형(5례, 3%), 산형(9례, 5.45%), 곡형(7례, 4.24%), 전롱(24례, 14.55%), 기타(10례, 6%)로 구분하였다. 2. 연령은 20대군이 50례(30.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10대(43례, 26%), 30대(27례, 16. 36%)의 순이었다. 3. 성별비는 남여비가 101명 : 64명으로 1.6 : 1이었다. 4. 측별빈도는 58례에서 양측성이었고 77례에서 일측성이었다. 5. 발생기간은 3개월 미만이 45례(27.3%)로 가장 많았고 10년 이상이 28례(16.9%), 6~10년 까지가 21례(12.7%)의 순이였으며 특히 전농에서는 10년 이상이 거의 대부분이였다. 6. 원인별로는 원인불명이 99례(60%)로 가장 많았고 두부외상이 31례(18.8%), 그 다음이 중이성 12례(7.3%)였으며 그 외 노인성, 응향성 등은 극소수였다. 7. 고막소견은 정상소견을 나타낸 것이 177이(79.4%)로 가장 많았고 고막내함이 28이(12.6%).......등이었다. 8. 청력정균소실 정도는 청력상과 관계없이 경도의 난청에서 고도의 난청에 이르기까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 PDF

FEA를 이용한 이식형 인공중이용 차동전자 트랜스듀서의 진동 모델링과 최적 설계 (Vibration Modeling and Optimal Design of Differential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using the FEA)

  • 김민규;임형규;한찬호;송병섭;박일용;조진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379-386
    • /
    • 2005
  • 최근까지 개발되었던 청각 보조기 중에서 공기 전도형 보청기의 하울링 (howling) 현상과 수술 후 이소골 등 기존 음향계의 재생이 불가능한 인공 와우 (cochlear implant system)의 단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청음 명료도가 높은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된 것이 인공중이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중이의 음성 신호 재현을 위한 진동 장치인 차동전자 트랜스듀서 (differential electromagnetic transducer, DET)에 대한 수학적 모형화와 계의 진동을 기술하는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그 해를 구하였다. 제한된 크기와 인가 전류 $1\;mA_{rms}$ 정현파에서 최대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 전자기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결과에 의해서 자석과 코일에 대한 최적 크기를 결정하였다. 사람의 중이 내 등자뼈 (stapes)의 진동 특성과 유사한 진동을 갖는 DET를 설계하기 위해서, 진동막의 강성계수를 변화하면서 진동해석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설계된 DET는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에 의해서 제작하였고, 그 진동 특성을 측정 하였다. 최종적으로 측정된 진동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인공중이를 위한 진동 장치로서의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인공와우이식 아동 말용인도의 예측 변인 (Variables for Predicting Speech Acceptability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 윤미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6권4호
    • /
    • pp.171-179
    • /
    • 2014
  • Purposes: Speech acceptability means the subjective judgement of listeners regarding the naturalness and normality of the speec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predicting variables for speech acceptabilities of children with cochlear implants. Methods: Twenty seven children with CI participated. They had profound pre-lingual hearing loss without any additional disabilities. The mean of chronological ages was 8;9, and mean of age of implantation was 2;11. Speech samples of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were recorded separately. Twenty college students who were not familiar to the speech of deaf children evaluated the speech acceptabilities using visual analog scale. 1 segmental (articulation) and 6 suprasegmental features (pitch, loudness, quality, resonance, intonation, and speaking rate) of speech were perceptually evaluated by 3 SLP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dicting variables. Results: The means of speech acceptability for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were 73.47 and 71.96, respectively. Speech acceptability of reading was predicated by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articulation. Speech acceptability of spontaneous speech was predicated by the severity of intonation and loudness. Discussion and conclusion: Severity of intonation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 to predict the speech acceptabilities of both reading and spontaneous speech. A further study would be necessary to generalize the result and to apply this result to intervention in clinical settings.

염색체 17q22 염색체내 결손으로 진단된 1례 (A Case of 17q22 with Interstitial Deletion)

  • 강소연;이범희;김구환;최진호;유한욱
    • Journal of Genetic Medicine
    • /
    • 제8권1호
    • /
    • pp.58-61
    • /
    • 2011
  • 저자들은 출생 후 소두증 및 양안격리증과 넓은 콧마루, 얇은 입술 등의 특징정인 얼굴 모습, 손가락마디 융합증과 근위부에 위치한 엄지 손가락 등의 손의 기형이 있으면서 양측 청력 장애와 진행하는 관절의 구축을 보였던 남아의 염색체 검사에서 17번 염색체 장완의 q22-q24 부분의 염색체내 결손(interstitial deletion)을 확인한 1례를 경험하였으며 이는 국내 첫 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