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cessed chestnut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7초

공주밤을 이용한 고추장의 영양 특성 및 활용 가능성 (Study on nutritional property and use potential of Gochujang using Gongju chestnuts)

  • 김선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395-399
    • /
    • 2016
  • Purpose: Gongju is a famous area for chestnuts, which contain various nutrients and phytochemicals. This study aimed to develop gochujang items using Gongju chestnuts and analyze nutritional properties for the best item by sensory evaluation in order to increase marketability of chestnut processed foods. Methods: Gochujang was prepared, and nutrient contents of gochuja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methods of the food fair by Korea Food Research Institute. Three kinds of gochujang, including general (control)-, dried chestnut powder-, and chestnut syrup- were prepare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on three kinds of gochujang by 45 adults, including males and females (20's~60's years of age). Results: Chestnut syrup-gochujang was evaluated 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eneral- or dried chestnut powder-gochujang by sensory evaluation. Thus, nutrition facts were produced for chestnut syrup gochujang. Nutrient contents per 100 g of chestnut syrup gochujang and traditional gochujang in the literature were similar in terms of total carbohydrates and fat, whereas protein content was higher and sodium content was lower in chestnut syrup gochujang than in traditional gochujang in the literature. Conclusions: The results imply that chestnut syrup gochujang has nutritional benefits such as higher content of protein and lower content of sodium than traditional gochujang in the literature, in addition with its good taste. Therefore, chestnut syrup gochujang may have high usage potential.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quality and storage of chestnut syrup gochujang through future study.

Microwave 가열이 밤 당침제품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icrowave Heating on the Texture of Sugared Chestnuts)

  • 황태영;김준한;김종국;문광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69-573
    • /
    • 1998
  • Microwave를 이용하여 밤 당침제품을 제조하고, microwave가 당침제품의 물성 및 조직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박피한 생율을 각각 일반가열방법으로 자숙한 후 당침을 행한 당침밤과, 일반가열방법으로 자숙하고 microwave로 당침한 밤, 자숙 및 당침 전과정에 microwave를 이용한 밤의 세 구로 제조하였다. 당침제품의 수분함량은 microwave를 이용하여 당침한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의 함량은 microwave를 이용하여 자숙 및 당침을 행한 당침제품에서 가장 낮았다. 총펙틴 및 HSP (hydrochloric acid soluble pectin)함량은 microwave로 처리한 제품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당침밤제품의 물성 측정 결과 당침시에만 microwave처리를 행한 당침밤이 springiness를 제외한 fracturability, hardness, gumminess, chewiness에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microwave 처리를 행하여 자숙 및 당침을 행한 당침밤 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처리방법에 따른 당침밤의 조직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당침을 행한 밤의 세포벽이 당침투에 따라 점성을 띠는 것을 볼 수 있으며 microwave 처리가 행해진 경우 세포벽이 심하게 파괴되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마찰식 박피기를 이용한 밤 과실의 내피박피 최적조건 및 품종간 박피특성 (Optimum Condition of Pellicle Peeling Using Abrasion Peeling Machine and its Characteristics among Chestnut Varieties (Castanea spp.))

  • 주석현;김만조;이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2권1호
    • /
    • pp.7-14
    • /
    • 2013
  • 본 연구는 효율적인 박피 밤 생산을 위한 마찰식 박피기의 최적조건과 품종별 밤 과실의 내피박피성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마찰식 박피기의 최적조건은 박피시간 50분, 드럼 회전속도 27 rpm이었으며, 내피박피율도 89.3%로 가장 우수하였다. 최적의 박피조건(27 rpm/50분) 하에서 '축파' 등 8품종에 대한 내피박피율을 조사한 결과, '축파'가 89.3%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단택(72.2%)', '석추(70.9%)' 등의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I등급 밤의 비율은 '축파'가 77.2%로 가장 월등하였으며, '석추(46.7%)', '단택(45.0%)' 등의 순으로 높았다. 상품화 비율도 '축파'가 90.5%로 가장 우수하였으며, '단택(74.8%)', '석추(74.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박피 시 과육 파손 및 흠집 발생 비율은 '미풍'이 37.2%로 가장 많은 반면, '축파'는 5.9%로 가장 적어 '축파' 품종이 마찰식 박피기를 활용한 고부가가치 가공 밤 생산을 위한 적합한 품종임을 알 수 있었다.

깐밤의 전처리 방법이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Quality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 Methods on the Properties of Peeled Chestnut during Storage)

  • 김종훈;정진웅;권기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462-468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깐밤의 전처리방법이 저장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전처리 방법으로는 기존의 수출용 깐밤의 저장방법인 명반수 처리방법을 비롯하여 최근 농산물의 저장성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전해수 처리방법 및 깐밤의 동결공정을 통한 깐밤표면을 동결처리한 방법 등을 고려하였다. 전처리 방법에 따른 깐밤의 저장중 품질 분석결과에서 0.1%의 명반수에 침지처리한 경우에는 중량감소율, 부패율, 색도에서는 우수한 저장성이 나타났으나,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조직감 및 맛의 항목에서는 품질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료중량의 2배수 전해수(pH 2.61, ORP 1142)에 10분 침지처리한 경우가 맛과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좋은 관능평가 결과가 나타나 생식용으로 사용시 가장 좋게 평가되었으며, 밤 가공용 원료로 사용시 장기정장이 필요한 경우에는 온도 $-10^{\circ}C$에서 5분간 표면 동결처리한 방법이 전해수 처리한 방법과 더불어 저장성이 우수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밤가공품 중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in Processed Chestnut Products)

  • 서일원;남혜정;김동혁;신한승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39-344
    • /
    • 2009
  • 본 실험은 밤가공품의 제조과정 중에 생성될 수 있는 PAH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밤가공품은 시중에서 유통되고 있는 7종을 구입하여 초음파 추출과정과 정제과정을 거친 후 HPLC/FL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8종류의 PAH는정성 정량분석에 만족할만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첫째 PAHs를 농도범위에서 측정한 결과 상관계수($R_2$)가 0.997이상으로 분석에 양호한 직선성을 나타냈으며, 검출한계는 0.012-0.382 ${mu}g/kg$, 정량한계는 0.042-1.273 ${mu}g/kg$으로 만족할 만한 수준이었다. 둘째 PAHs와 공시료를 대상으로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 평균회수율은 87.83-100.56%이고, 상대표준편차는 0.60-3.76%로 나타났다. 셋째 일내, 일간 정확성은 각각 81.95-125.44%, 79.89-116.53%이었고, 정밀성은 0.02-4.48%, 0.37-9.83%이었다. 넷째, 밤가공품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PAHs 중 일부는 검출되었으나 모두 정량한계 이하로 나타났고, 대부분의 시료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