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bable precipitation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1초

경북지방(慶北地方)의 강수(降水) 및 무강수(無降水) 현상(現象) 조사(調査) 분석(分析) (A Studay on the Rainfall and Drought Days in Kyupgpook Area)

  • 서승덕;전국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5권
    • /
    • pp.143-157
    • /
    • 1987
  • In order to determine the design precipitation, the most probable daily precipitation and annual precipitation at every spot are calculated and iso - precipitation line are drawn.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drought phenomena of each gage station are analyzied by the method of frequency analysis from the statistical conceptions. The results summarized in this study are as the follows. 1. Annual mean precipitation in kyungpook area are 1044 mm, about 115 mm less than annual mean precipitation of Korea amounts to l1S9mm, and found to regionally unequal. 2. Monthly mean rainfall of July is 242.2mm, 23.2%, August 174.2mm, 16.7%, June 115mm, 11% and September 114.2mm, 10.9% and Rainfall depth of July-August are more than 40% of annual precipition. This shows notable summer rainy weather by typoon and low pressure storm and seasonal unbalance of water supply. 3. The relation among the maximum precipi.tation per day, per two continuous days and per three contnous days are caculated and the latter is found 31.0% increased rate of the first and the last 48.2% increased rate of first. 4. Probability precipitation in Kyungpook area are shown as 9.0%(5 year), 13.3%(10 year), 17.7%(20 year), 23.1%(50 year), 27.0%(100 year) and 31.1%(200 year) increased rate of each recurrence year compared with observed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5. From annual precipitation and maximum daily rainfall data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precipitation isohyetal line are derived which shown as Table 11 and Fig. 8. 6. Drought days are divided 6 class and analysed results are shown on table 12. Average occurrence time of 10-14 continuous drought days are 2.3 time per year, 15-19 days are 0.9 time per year, 20-24 days are one per six years, 30-34 days are once per nine years and over than 35days are once per 25 years.

  • PDF

위천유역(渭川流域)의 가능최대홍수량(可能最大洪水量) 특성(特性) (The Characteristics of Probable Maximum Flood on Wi Stream Watersheds)

  • 최경숙;서승덕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16권
    • /
    • pp.37-44
    • /
    • 1998
  • 낙동강 지류중 하나인 위천유역 및 동성유역권의 수공구조물 설계시 설계홍수량 결정을 위한 기본자료를 제공하고자 시간분포의 유형과 기저유량의 변화에 따른 가능최대홍수량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수문기상학적인 방법으로 PMP를 추정하고, Blocking방법의 central, advanced 그리고 delayed type를 각각 이용하여 시간 분포시킨 호우를 Clark방법을 이용하여 PMF를 산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MP시간분포형에 따라서 첨두 PMF는 기저유량에 따라 advanced일 때 3145.3~3348.3cms, central일 때 3774.6~3977.7cms, delayed일 때 3814.6~4017.3cms로 나타났다. 여기서 강우의 시간분포가 advanced type이고 기저유량이 Minimum일 때 central과 delayed에 비하여 첨두PMF가 670cms정도 작게 나타남을 알수 있었다. 따라서 최대 첨두PMF와 최소 첨두PMF는 각각 delayed와 advanced일 때의 4017.3cms와 3145.3cms이며, 결과에 의한 평균 PMF는 3653.6cms로서 이 결과가 위천유역의 설계홍수량으로 타당하다고 사료된다. 2. 평균PMF와 가지야마에 의한 결과치와는 가지야마 값보다 1.7배 큰값으로 나타났고 이는 1,000년에서 10,000년 빈도사이의 홍수량으로 추정된다.

  • PDF

돌발홍수 발생시 도시하천의 치수안전도 분석 (Safety Analysis of the Flood Control of Urban River in Flash Flood)

  • 박호상;심우배;송재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3권3호
    • /
    • pp.125-13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국지성 이상호우에 대한 하천의 치수 안전도를 분석하기 위하며 서울의 도시하천중 지방2급 하천인 홍제천을 연구 대상하천으로 선정하였고, 최근 발생한 이상호우 중에서 서울에 많은 피해를 입힌 2001년 7월 14일${\sim}$15일 강우 310.1mm와 서울지역 가능최대강수량(PMP)740.0mm를 적용 강우로 선정하였다. 홍제천의 치수 안전도를 분석한 결과, 계획빈도인 50년인 경우, 안전단면이 85%, 관리단면이 15%, 위험단면은 발생치 않았으나, 100년 빈도에서 안전단면이 5% 감소하고 관리단면이 4% 위험단면은 2% 증가하였다.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감율은 작게 나타났고 200년 빈도 이후에는 관리단면은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위험단면이 다소 증가하여 300년 빈도에서는 50년 빈도에 비해 8%, 500년 빈도에서는 12% 증가하였고 1000년 빈도에서는 위험단면이 19%, 관리단면이 13% 크게 증가하였다.

하구언 설치에 따른 하천유사량 변화에 관한 연구 (Reservoir Sedimentations of the Enclosure of Estuary Barraye in Gumgang Basin)

  • 이중기
    • 물과 미래
    • /
    • 제9권1호
    • /
    • pp.86-100
    • /
    • 1976
  • To study influences on the downstream, and the Gunsan harbor by setting up estuary of the Gumgang, available data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measuring stations which were established within the river basin of which results attained are as follows: 1. The discharge can be calculated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charge and precipitation in the basin is $R=4{\times}10^{-4}p^2$ or R=P-600 2. The discharge flow in to small resevoirs in the basin can be estimated as $QR=QS\frac{PR-600}{PS-600}(\frac{AR}{AS})$ 3. This daily average discharge at Kongju is 31% less than the during maximum probable discharge and that in Okcheon is 48% less than the daily maximum probable flood. 4. The maximum probable flood from the small stream in the basin can be estimated by a $Q=82.45A^{0{\cdot}464}$ 5. Sediments can be computed with Qs (suspended load)=1.41 $Q^{1{\cdot}42}$ and Qb (bed load)=165.2 $Q^{0{\cdot}705}$. 6. By setting up the specific estuary the tidal movement will be reduced to 93.6% on the average and the sedimentation is reduced to 96.0%. Upon review of overall analysis, the dead wate level of estuary of Gumgang will completely sedimented in next 30 years, therefore, the dredging work at Gunsan harbor is reduced to 73.6%, it is considered that life length will be extended about 52years taking account the existing condition.

  • PDF

가능최대홍수량 산정을 위한 단위도의 수정 방법 제안 (Suggestion of modification method of unit hydrograph for estimating probable maximum flood)

  • 이진욱;김소은;유철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09-309
    • /
    • 2021
  • 댐 설계 시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으로 인한 홍수량인 가능최대홍수량(probable maximum flood, PMF)이 고려되며, 이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단위도가 필요하다. 즉, PMF는 PMP를 입력으로 하여 단위도를 이용한 강우-유출 해석을 통해 얻어진다. 따라서, 동일한 PMP가 고려되더라도 적용되는 단위도에 따라 산정되는 PMF는 달라진다. PMP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는 평균적인 상황에 비해 단위도의 반응이 보다 빠르고 강해진다(한국개발연구원, 2007; 한국수자원공사, 2008; Kjedsen et al., 2016). 국내의 경우, 아직까지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에 대한 명확한 지침은 존재하지 않는다. 댐설계기준해설(국토해양부, 2011)에서는 유역의 평균단위도로 PMF를 추정할 경우 실제보다 낮은 결과치가 도출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속 정보를 기반으로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를 결정해 보고, 이를 통해 대표단위도로부터 PMF 산정을 위한 단위도를 결정하기 위한 수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수정단위도를 적용하여, 기존 국내 기준 적용 결과 및 확률 강우량을 통해 산정되는 빈도홍수량과의 비교를 수행하였다.

  • PDF

우리나라의 최대하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Frequency Factor in Korea)

  • 노재식;이원환;이길춘
    • 물과 미래
    • /
    • 제19권3호
    • /
    • pp.249-258
    • /
    • 1986
  • 본 연구는 수공구조물의 계획설계와 물관리 계획시 계획강우량의 결정기준이 되는 우리나라 전역의 최대하강수량 추정을 위한 최대하강수량 빈도계수 산정에 관한 내용이다. PMP 빈도계수 산정에 있어서는 연속기록년 20년의 자기우량기록지 보유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속기간별(10분, 1,2,4,6,12,24시간) 연최대치 강우자료집단을 이용하여 연최대평균강우량에 따른 PMP 빈도계수를 결정할 수 있는 상관도를 작성하였다. 최대하강수량은 최대평균강우량과 빈도계수 및 지속기간 상관도상에서 얻어진 PMP 빈도계수와 통계치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방법으로 산정하였으며, 포락선에 의해서 지점 최대하강수량과 지속기간 관계식을 유도하여 산정하였다. 산정된 지점 최대하강수량으로부터 전국에 대한 24시간 최대하강수량 분포도와 PMP·DAD 곡선을 작성하였다.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PMP frequency factor for evaluation of the 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in Korea. The value of PMP is the criterion of the determination of design rainfall in Planning and designing hydraulic structures, and water resources management. To obtain the object, 12 key stations were selected in which have the automatic rain0recording paper of 20 years, and the annual maximum rainfall values were calculated for each 7 durations(10 min., 1,2,4,6,12,24 hr.). The statistics(mean, standard deviation)were estimated, and diagram which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annual maximum rainfall($$) and frequency factor for each durations were drawn. PMP was estimated by statistical method using the PMP frequency factor obtained from the diagram and statistics($$, Sn). The PMP-Duration Equation was derived from the envelope curve in order to obtain the PMP for an arbitrary duration. The isohyetal map of 24 hours PMP and PMP. DAD curve for the whole of Korea were drawn in accordance with the point PMP values.

  • PDF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강수량 변화에 따른 미래 PMPs의 전망 (Future PMPs projection according to precipitation variation under RCP 8.5 climate change scenario)

  • 이옥정;박명우;이정훈;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2호
    • /
    • pp.107-119
    • /
    • 2016
  •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르면 극한강우사상이 현재보다 더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기후변화의 영향이 추정절차에 반영되지 않는다면 가능최대강수량(PMPs)을 과소 추정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강우 변동이 반영된 PMPs가 추정된다. PMPs 계산을 위하여 수문기상학적 방법이 이용되며, 기존에 사용되어오던 지형영향비를 대신하여 산악전이비가 가능최대강수량의 산정에 적용된다. 미래 주요호우사상들로부터의 DAD는 기상청 RCM (HEDGEM3-RA)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일 강수자료를 기반으로 편의보정 및 이동평균 된 변화인자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산출된다. 미래 PMPs 산출결과, 현재보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가율은 2045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연간 3 mm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먼 미래로 갈수록 PMPs의 증가율은 커졌으나 미래강우자료로부터 유발되는 PMPs 추정의 불확실성 또한 증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06년 춘천지역 산사태 유발 강우와 사면의 기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Rainfall Triggering Landslides and Geometry of Slopes in Chuncheon during 2006)

  • 유남재;이용원;김호진
    • 산업기술연구
    • /
    • 제30권B호
    • /
    • pp.33-40
    • /
    • 2010
  • This paper is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triggering landslides and geometry of slopes, caused by the heavy rainfall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by Typhoons Ewiniar and Bilis at Chuncheon area in Gangwondo around July in 2006. As results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rainfall, landslides in 131 sites were found to happen due to the heavy rainfall having the maximum intensity of rainfall in an hour during July 15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during July 12 to 14 causing the ground to be weak by increasing the degree of saturation previously. From results of analyzing the geometrical characteristics of 131 slopes where landslides occurred, the slope width were in the range of 6~10m. The average slope length and angle were 46m and $51.8^{\circ}$, which was relatively steep slope, respectively. Landlises occurred in the elevation of 400 - 500 m with the most probable frequency.

  • PDF

2006년 원주지역 산사태 발생특성 (Characteristics of Landslide Occurrence in Wonju during 2006)

  • 유남재;김종환;최준식
    • 산업기술연구
    • /
    • 제31권A호
    • /
    • pp.87-94
    • /
    • 2011
  • This paper is results of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landslides occurred in Wonju, Gangwondo, around July, 16 in 2006, caused by heavy rainfall and antecedent precipitation by two typhoons of Ewiniar and Bilis. The main causes of landslides were antecedent precipitation during July 8 to 15, resulting in weakening grounds by increasing the degree of saturation previously, and the heavy rainfall during July 15 to 16. Most of landslides in natural slopes were transitional failures occurred along the boundary between the residual weathered soil in shallow depth and the hard mother rock. From results of conclusive analyses regarding 28 sites in Wonju region where landslides occurred, the slope length of landslide, the slope width, and the slope area were less than 50m with 71% of frequency, 20m with 79% of frequency and $300m^2$ of 64% of frequency respectively. The average value of slope angle was $35^{\circ}$. The most probable direction of slope was found to be north because of topography and advancing direction of seasonal rain front.

  • PDF

RCM을 이용한 최대강수량 산정에 대한 국내적용가능성 연구 (Study for Estimation of MP using RCM)

  • 이정훈;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598-598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기반의 지역 대기 모형(Regional Climate Model)을 이용하여 최대강수량(Maximum Precipitation, MP)을 산정하는 방안에 대한 국내 적용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물리적 기반의 지역 대기 모형을 이용한 최대강수량을 산정하는 방안은 Ohara et al.(2011)에 의해 제안된 방법으로 기존의 통계학적/수문기상학적 방법의 논리적 약점인 기후의 정상성 가정을 극복하고 비정상성을 그대로 반영할 수 있기 때문에 추후 가능최대강수량(Probable Maximum Precipitation, PMP) 산정 연구에도 좋은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대기모델인 WRF를 이용하여 이러한 방법론을 국내에 적용하고 그 가능성을 평가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