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social/communicative skill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4초

또래관계 형성이 어려운 아동의 기초 사회/의사소통 기술 향상 연구 : 사회적 유능성 증진 프로그램을 통하여 (Improving the Social/Communicative Skills for Mentally Challenge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 정계숙;박명화;김정혜
    • 아동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123-142
    • /
    • 2003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competence program for mentally challenged(IQ 58-74) and/or somewhat autistic 6- and 7-year old children with peer relationship difficulties. The Hierarchical Model of Social Competence by Guralnick(1992) provided the framework of the experimental program.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16 sessions: 2 intervention teachers implemented each session for 90 minutes once a week. Target behaviors were to initiate interactions with others, to respond to behaviors of teachers and peers, to participate in group activities, and to express their needs to others with speech. Data on the frequencies of target behaviors, the behavior episodes and parent reports were analyzed. Most of children became to be more sociable, although there we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changes in target behaviors.

  • PDF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ogress in Developing Social Interaction with Native Speakers in the UK

  • Back, Ju-Hyun
    • 영어어문교육
    • /
    • 제15권3호
    • /
    • pp.1-31
    • /
    • 2009
  • Although Korean university students' primary concern is academic success in their higher degrees in the UK, they highly desire to develop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a number of opportunities to speak with natives speakers. The paper aims at examining to what extent they are able to be socialised into a new environment while they are studying at UK universities. The in-depth, longitudinal interviews with the targeted group of six Korean masters' students at the University of York was undertaken to observe the pace of their progress in developing social skills. Reluctance and hesitance to contact and interact with their supervisors and other academic staff persisted for most of them to the final term caused by cultural reasons such as face and hierarchy rather than language problems. Despite the six participants' variation in their patterns of social interaction, they struggled with pressures towards monoculture-biased interaction with Korean people, which was quite extreme for the five participants. This passivity can be explained by several reasons such as the students' lack of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other situational factors on one-year cours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students' failure to develop network with native speakers is strongly associated with experience of cultural withdrawal and frustration with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 PDF

수학적 정당화가 문제 해결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thematical Justification on Problem Solving and Communication)

  • 정인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267-283
    • /
    • 2013
  • 수학적 정당화란 일반적으로 적절한 근거에 기초하여 자신의 주장이 참임을 보이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교실 실제에서의 수학적 정당화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수학적 의사소통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학적 정당화 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 의사소통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적 정당화 활동이 강조되는 문제해결 중심 수업을 실시하고 문제 이해 활동, 개별 탐구 활동, 소집단 토의 활동, 전체 논의 과정에서의 수학적 정당화 활동과 의사소통 과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정당화 활동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제해결 방법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고 의사소통 과정을 촉진하였으며, 다양한 표현 방법을 사용하도록 자극하였다. 또한 수학적 정당화 활동은 학생들의 이해를 평가하는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교실에서의 사회적 관계 및 역동적인 교실 문화를 형성하는데 기여하였다.

Formation Of Tolerance Of Higher Education Seekers As The Main Feature Of A Modern Specialist

  • Fabian, Myroslava;Kuzmenko, Nadiia;Zamrozevych-Shadrina, Svitlana;Perevozniuk, Viktoriia;Tolcheyeva, Tetiana;Kramarenko, Iryn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289-293
    • /
    • 2022
  • "Toleranc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professional quality of a modern specialist, which is manifested in an active moral position and readiness for constructive interaction with other participants in the pedagogical process; characterized by the manifestation of humanity, tolerance, friendliness, focus on resolving conflict situations in the professional sphere on a non-violent basis. The article considers scientific approaches to understanding the phenomenon of "tolerance". There are a number of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the formation of tolerance in students. The way to the formation of tolerance is the rejection of social prejudices, negative social stereotypes, the development of an objective attitude to man regardless of hi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formation of skills of tolerant interpersonal interaction, the use of lectures, discussions, games and training in educational work.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highlight communicative tolerance as a necessary component of pedagogical practice of future professionals. It was emphasized that tolerance is the basis of religious tolerance and peace, prevention of all kinds of extremism, which are of particular importance for a multinational and multi-religious Ukraine.

3D 바이오프린팅 사례로 본 다학제간 융복합 연구에 대한 소고 (A study on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research using the case of 3D bioprinting)

  • 박주안;정성준;마은정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151-16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공학 분야에서 '공동연구' (collaboration) 과정을 연구 주제로 설정하고, 효과적인 협업의 형태 및 협업을 통해 생성되는 문화 또는 지식 창출의 가능성 및 함의에 대해 다룬다. '융합'에 대한 규범적 정의 및 행위 양식을 제안하는 방법을 취하지 않고, 융합의 한 형태로 공동연구를 선택하여 융합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특히, 사회과학적 분석 방법을 빌어 3D 바이오프린팅 연구실에서 이뤄지고 있는 융합기술의 형성과정을 기술 및 분석하여, 공동연구를 통한 융합연구가 공학연구 문화 및 공학교육에 던지는 함의에 대해 논한다. 이를 위해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진다. 첫째, 학문하는 문화, 역사, 그리고 학문의 이론적 배경 및 방법이 전혀 다른 연구자들이 만나서 '공동연구'가 가능하며, 공동연구를 통해 유의미한 융합적 지식과 기술을 창출할 수 있을까? 둘째, 공동연구를 독려하고 촉진시키는 연구조직의 구성 조건 및 문화적 요소들은 무엇이 있을까? 셋째, 공동연구를 통해 소위 π자형 융합인재의 육성이 가능할까? 연구자들은 3D 바이오프린팅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첫째, 정부 및 대학 차원에서의 재정적, 정책적 지원이 중요하며, 무엇보다 책임연구자의 융합연구에 대한 개방적, 능동적, 탄력적인 태도가 우선되어야 한다. 책임연구자는 학문적 배경이 다른 연구자들 사이에서 지적, 물적, 사회적, 인간적, 기술적 교류를 가능하게 하는 연구실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융합연구를 위해 해결해야 하는 도전적 난제들이 많음에도 생명과학과 프린팅 기술이 융합하여 3D 바이오프린팅이란 분야를 개척한 것처럼 이종적 학문 간의 의미있는 융합은 가능하다. 셋째, 융합연구의 장점 중의 하나는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π형 인재 양성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