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hypoparathyroidism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일차성 부갑상샘기능저하증에 이환된 개에서 장확장증 발생 증례 (Severe Intestinal Distension in a Dog with Primary Hypoparathyroidism)

  • 김동인;김혜선;장동우;양만표;강지훈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6-219
    • /
    • 2014
  • 1세, 암컷, 17 kg의 잡종견이 갑작스러운 허탈증상으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혈액 검사 결과에서 심각한 저칼슘혈증을 보였으며, 방사선 사진 영상에서는 장 폐색을 의심하게 하는 가스로 가득 찬 장확장증 소견을 나타내었다. 칼슘 글루코네이트의 정맥 내 투여를 시작한 후 4시간째에 장 확장 소견은 경감되었다. 혈청 부갑상샘호르몬 농도는 저칼슘혈증에 비해 정상 범위 아래로 측정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환견은 일차성 부갑상샘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되었다. 칼슘 글로코네이트와 칼시트리올의 투여 3일 후, 환견의 임상증상과 전해질 불균형은 개선되었다. 본 보에서는 일차성 부갑상샘기능저하증으로 진단된 개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지 않는 증상인 심각한 위장관 확장증의 발생 예를 보고한다.

미니어처 슈나우저에서 발생한 원발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 (Primary Hypoparathyroidism in a Miniature Schnauzer Dog)

  • 강민희;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03-605
    • /
    • 2009
  • 7연령의 암컷 미니어처 슈나우저견이 갑작스런 발작과 근육 떨림 증상을 주증으로 내원하였다. 내원 당시 발열과 헐떡임이 두드러졌으며, 신체검사 상에서 현저한 앞다리 근육 강직증상, 근육부분수축과 뻣뻣한 걸음걸이가 관찰되었다. 실험실 검사에서 심각한 저칼슘혈증과 함께 고인혈증이 특징적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더불어 관찰된 낮은 농도의 부갑상선 호르몬과 이온화된 칼슘농도, 뇨중 칼슘과 인의 배설 량 측정을 통하여 원발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이 진단되었다. 이 환축은 10% 글루콘산칼슘 투여를 통한 초기 치료에 반응이 좋았으며, 비타민 D 유사체와 칼슘 보조제를 통한 유지 치료에 의해 잘 관리 되고 있다. 부작용으로 일시적인 고인혈증이 나타났으나, 이 역시 경구용인 흡착제인 sevelamer hydrochloride를 이용한 치료에 의해 안정화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의 경우 개에서 나타나는 원발성 부갑상선기능저하증의 임상증상과 특징적인 실험실 검사 결과 그리고, 치료 반응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Complications of Completion Versus Total Thyroidectomy

  • Gulcelik, Mehmet Ali;Kuru, Bekir;Dincer, Halil;Camlibel, Mithat;Yuksel, Ulvi Murat;Yenidogan, Erdinc;Reis, Erh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0호
    • /
    • pp.5225-5228
    • /
    • 2012
  • Introduction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mplication rates after completion thyroidectomy and compare them with primary total benign and malign thyroidectomy causes in total of 647 patients. Patients and Methods: Among 647 patients, there were 159 receiving completion thyroidectomy for differentiated thyroiud cancer (DTC) (Group 1); 217 patients receiving total thyroidectomy for DTC (Group 2) and 271 given total thyroidectomy for benign diseases (Group 3). Results: When groups were compared for complication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temporary hypocalcemia between completion thyroidectomy and total thyroidectomy for DTC. When the total thyroidectomies were compared (Group 2 and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observed except unilateral temporary RLN palsy. Conclusion: With improvements in surgical technique and experience, complication rates of thyroidectomy performed for benign or malign diseases are reduced. In spite of the improvement in surgical experience, temporary RLN palsy and hypoparathyroidism are the main complications in completion thyroidectomies which need special attention. To evaluate the patients more carefully in preoperative period and performing adequate thyroidectomy appears more logic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