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imary bone tumor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7초

Benign Fibrous Histiocytoma with Cystic Change of the Femur: a Case Report

  • Park, Jung Ah;Moon, Sung Gyu;Kim, Na Ra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4호
    • /
    • pp.264-268
    • /
    • 2016
  • Benign fibrous histiocytoma (BFH) is a rare benign primary skeletal tumor that occurs commonly in the long bones, spine and pelvis. BFH constitutes a diagnostic challenge because it shares clinical background, rad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istological features with other fibrous lesions such as non-ossifying fibroma, giant cell tumor. We present a case of BFH with cystic change that occurred in the distal femur. We did not identify any case of BFH with cystic change involving the majority of the lesion that occurred in the metaepiphysis of the long bone.

전이성 골종양에서 $^{18}F$ FDG PET/CT를 이용한 원발성 악성 질환의 진단 (Diagnosis of Primary Malignant Lesion Using $^{18}F$ FDG PET/CT in Metastatic Bone Tumor)

  • 윤회수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4-50
    • /
    • 2008
  • 목적: 전이성 골종양에서 $^{18}F$ FDG (fluorodeoxyglucose)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를 이용한 원발성 악성 종양의 진단적 유용성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1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18}F$ FDG PET/CT를 시행받았던 5,452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들중 악성 종양의 과거력이 없으며 근골격계 동통을 호소하며 단순 방사선 검사에서 경계가 불분명한 골 파괴를 보이는 환자들에 대해 $^{18}F$ FDG PET/CT를 시행하였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중 검사 결과에서 명백히 양성(definitively positive)으로 판정된 예만을 대상에 포함시켰다. 해당기간 중 18F FDG PET/CT를 시행한 총 5,452례중 180례(3.3%)가 기준에 해당되었으며 남자 96례, 여자 84례였다. 연령 분포는 22~90세였으며 평균 연령은 59.1세였다. 이들에 대해 원발성 악성 종양의 진단율, 나이 성별에 따른 원발성 악성 종양의 발생 및 전이성 골종양의 발생 위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원발 병소를 진단한 경우는 152례(84.4%)였으며 진단된 원발성 악성 종양은 폐암이 51례(28.3%), 유방암이 36례(18.9%), 소화기계암이 30례(16.7%)의 빈도를 보였으며 원발성 악성 종양에 의한 가장 흔한 해부학적 골전이 위치는 척추였다. 결론: $^{18}F$ FDG PET/CT는 원발성 악성 종양의 과거력이 없는 전이성 골종양 환자에서 원발 병소를 검출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 PDF

폐암 환자에서 골전이로 오인된 흉골의 만성골수염 (Chronic Osteomyelitis in Sternum Mimicking Bone Metastasis of Lung Cancer Patient)

  • 임형준;김유경;이상미;이원우;김상은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3권3호
    • /
    • pp.245-249
    • /
    • 2009
  •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without predisposing factors is a rare condition, and it is hardly differentiated from metastatic bone tumor especially in patient with the history of primary malignancy because osteomyelities shares frequently common findings with metastatic bone lesion on $^{18}F$-FDG PET and bone scan, Although there have been several publications of primary osteomyelitis mimicking bone metastasis in the spine or extremities, we report a case of primary sternal osteomyelitis in the patient with lung cancer, which has, to our knowledge, not been reported before.

골종양 치료에 있어서 사지 구제술식의 임상적 결과 (Clinical Results of the Limb Salvage Procedure in Bone Tumor)

  • 손원용;임홍철;윤정로;조정현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7-55
    • /
    • 1997
  • During the last decade, the use of primary amputation has decreased, and a larger number of patients are being treated with resection and reconstruction with limb preservation. The advantage of chemotherapy, improvements in diagnostic imaging methods and newer techniques for reconstruction have made limb salvage an alternative to amputation for most patients with malignant bone tumor. Clinical results and functional results of the limb salvage operation of bone tumors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Orthopaedic Surgery, Guro Hospital, Korea university was reviewed. Eighteen bone tumors(seven giant cell tumors and eleven malignant bone tumors.) were studied over a period of five years. The limb salvage group included fourteen endoprothesis, two pasteurized autograft, one near total scapulectomy and one rotationplasty. Functional evaluation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Enneking's modified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At a mean follow-up of thirty two months (15-77 months), fourteen(83%) of the eighteen patients with limb salvage procedures had been continuously disease free. 2. There are no local recurrence but deep infection developed in two patients and three patients with distant metastasis. 3. Thirteen(87%) of the fifteen patients showed above 60% of functional results. 4. Fourteen(93%) of the fifteen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 limb salvage procedures.

  • PDF

전이성 골종양에 대한 임상적 분석 - 골전이 후의 생존분석 - (Clinical Analysis of Metastatic Tumors of Bone - Survivorship Analysis after Bony Metastasis -)

  • 김경제;강호성;김연일;신병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33-138
    • /
    • 2001
  • 목적 : 전이성 골종양의 임상적인 양상과 골전이 후의 생존률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2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전이성 골종양으로 진단된 198례를 대상으로 성별 및 연령별 분포, 골 전이 장소, 골 전이가 되기까지의 기간, 골 전이 후 생존률을 조사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하였다. 결과 : 198례 중 평균 연령은 57세(24~86세)였고, 198례 중 폐암 64례(32.3%), 유방암 32례(16.2%)가 가장 흔한 원발성 암이었으며, 척추가 가장 흔한 전이장소였으며 특히 요추가 49례(37.8%)로 가장 많았다. 198례 중 추시가 가능했던 115례에서 생존분석을 하였는데 평균 생존기간은 15.3개월이었으며 폐암(8.72개월), 간암(7.09개월), 신장암(4.8개월)에서 짧았고, 유방암(54.14개월)에서 길었다. 결론 : 전이성 골종양의 평균 연령은 과거에 보고된 수치에 비해 증가하였고, 중심골격 특히 척추로의 전이가 타 부위에 비해 월등히 높았으며, 1년 생존률 30.43%, 5년 생존률 6.08%로 시간의 경과함에 따라서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조기 진단이 골전이 후의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고 사료된다.

  • PDF

Threshold Primary Tumour Sizes for Nodal and Distant Metastases in Papillary and Follicular Thyroid Cancers

  • Zaman, Maseeh Uz;Fatima, Nosheen;Sajjad, Zafar;Akhtar, Jaweed;Islam, Najmul;Masood, Qamar;Ahmed, Asm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473-2476
    • /
    • 2012
  • Background: In papillary and follicular thyroid cancers (PTC, FTC), nodal and distant metastasis are generally considered important determinants of recurrence and survival, respectively.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threshold primary tumour size (PTS) for these determina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size relationships for developing nodal, pulmonary, bone and overall distant metastases. Methods: This prospective study covered 139 (93 females and 46 males) consecutive biopsy proven patients with PTC (114/139, mean age $41.0{\pm}15.7$ years, M: F, 35%:65%) and FTC (25/139, mean age $39.2{\pm}14.3$ years, M: F: 24%:76%). Results: Average primary tumor size was $23.4{\pm}11.1$ mm and $26.5{\pm}13.1$ mm for PTC and FTC respectively (p value=0.223). Nodal metastasis was found more common in PTC than FTC (49% vs 28%, p value <0.05), whereas overall distant metastasis was approximately the same (13% and 24%, p value=0.277); however, bone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TC than PTC (24% vs 5%, p value <0.05). Cumulative risk for nodal and distant metastases for FTC and PTC starts at PTS <20 mm and may indicate an unusual aggressive tumor behavior in the studied population. Highest cumulative risk for nodal and pulmonary metastases in PTC and for bone metastasis in FTC was found to be ${\geq}50$ mm PTS. Conclusion: We conclude that a PTS of <20 mm may indicate an unusual aggressive tumor behavior with highest cumulative risk for nodal and pulmonary metastases in PTC and for bone metastasis in FTC with a cutoff of ${\geq}50$ mm.

족부 및 족근관절에 발생한 종양 (185예) (Tumors in the Foot and Ankle (185 Cases))

  • 최우진;신규호;이진우;한창욱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
    • /
    • 2007
  • Purpose: Tumors arising in the foot and ankle are uncommon and the malignant tumors are known to be r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other sites. We analyzed the clinical data of patients who have been diagnosed as having a tumor of the foot and ankle. Materials and Methods: From 1989 to 2006, we analyzed 185 patients who have been treated surgically and were pathologically confirmed of having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Their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One hundred and fifty-seven cases were benign (84.9%) and 28 cases (15.1%) were malignant. 108 cases (58.4%) were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49 cases (26.5%) were benign bone tumors. Malignant tumors included 17 cases (9.2%) of soft tissue tumors, 8 cases (4.3%) of primary bone tumors and 3 cases (1.6%) of metastatic bone tumors. The most common benign soft tissue tumor was ganglion (23 cases). Enchondroma (9 cases) was the most common among the benign bone tumors. Malignant peripheral nerve sheath tumor was the most common malignant tumor (4 cases). The predilection site for benign tumors was at the forefoot around toes while for the malignant tumor was around the ankle. 4.6% of benign soft tissue tumors and 8.2% of benign bone tumors had locally recurred and 14 cases (50%) of malignant tumor were confirmed as having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The ratio of malignant tumor and its metastasis rate was high. Therefore, the histopathologic confirmation is essential when treating tumors of the foot and ankle.

  • PDF

폐 전이를 일으킨 재발성 거대세포종 - 증례 보고 - (Metastasising Recurrent Giant Cell Tumor - A Case Report -)

  • 김태승;박준식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73-79
    • /
    • 2001
  • 슬관절을 중심으로 대퇴골 원위부, 경골 근위부에 호발하는 거대세포종은 양성 종양임에도 불구하고 그 생물학적 양상이 때로는 매우 공격적이어서 심한 골파괴를 초래하여 치료적 측면에서 관절의 연골면을 보존하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또한, 소파술과 단순한 골이식술을 시행한 경우 재발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간혹 폐전이에 대한 보고도 있는바 양성으로서의 거대세포종이 항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본 교실에서는 25세 남자 환자에서 대퇴골 원위부에 발생한 양성의 거대세포종을 골소파술과 methylmethacrylate 충전을 시행하였으나, 수술 후 2년 후에 재발과 더불어 폐 전이를 일으킨 예에 대해서 문헌 고찰과 함께 증례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족부에 발생한 원발성 골종양 (Primary Bone Tumors in Hindfoot)

  • 신덕섭;이성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3
  • 목적: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다른 부위에서의 골종양과 비교하여 발생 빈도가 낮고 진단이 늦거나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 반면,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 및 보고는 적은 실정으로 후족부의 원발성 골종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그 임상적 양상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9년부터 2011년까지 본원에서 진단 후 최소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 환자 44명의 45예 종양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후족부 원발성 골종양에 대한 역학적 조사와 임상적 특성, 치료 방법을 확인하였고, 병리학적인 특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44명의 환자 중 남자가 26예, 여자가 18예였으며,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25.1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33.1개월이었다. 양성 골종양이 44예, 악성 골종양은 1예였으며, 종골에 발생한 골종양이 36예, 거골의 골종양 9예였다. 전체적으로 양성 골종양 중에는 단순골낭종이 20예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골내지방종이 12예, 연골모세포종 4예 순이었고, 악성 골종양은 유잉 육종이 1예였다. 발생부위 별로 종골에서는 단순골낭종이 18예, 골내지방종이 12예 순이었고, 거골에서는 연골모세포종 3예, 단순골낭종 2예, 골내결절종 2예 등의 순이었다. 환자들의 임상 증상은 통증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으나,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고 족관절 혹은 후족부의 염좌 또는 타박상으로 오인되는 경우도 많았다. 병적 골절을 동반한 경우는 2예였다. 수술 방법으로는 소파술 혹은 소파술 및 골이식술, 관혈적 정복과 금속고정술 및 골이식술, 종양 절제술, 슬관절 하 절단술 등을 시행하였다. 결론: 후족부에 발생하는 원발성 골종양은 빈도가 드물고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대부분 양성 종양이었으나 악성종양을 배제할 수 없어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enign Osteoblastoma Located in the Parietal Bone

  • Lee, Yong-Gun;Cho, Chang-W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2호
    • /
    • pp.170-172
    • /
    • 2010
  • Benign osteoblastoma is an uncommon primary bone tumor, extremely rare in calvarium. We present a case of a 25-year-old female with an osteoblastoma of parietal bone which was totally resected. The authors discussed the clinical presentation, radiographic finding, differential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he benign calvarial osteoblastoma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