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eservative agent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33초

섬유문화재 보존에 활용하기 위한 천연보존제로 처리한 직물의 특성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Preservative Agent-treated Fabrics for Textile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 백영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97-206
    • /
    • 2009
  • 천연보존제는 주로 식물에서 추출된 항균물질로 만들어지며 부패되기 쉬운 식품의 보존제나 천연화장품, 약품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재 천연화장품의 보존제로 개발되어진 천연보존제를 직물에 처리하여 이것이 섬유문화재 보존에 적용이 가능한지를 탐색하고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천연보존제로 처리한 직물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천연보존제 1%로 처리한 면직물과 견직물에 대해 실험한 결과 색 및 인장강도의 변화가 극히 미약하고 중성에 가까운 pH를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균성과 항곰팡이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견직물에 피해를 주는 Bacillus cereus에 대해서도 우수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섬유문화재에 적용시키기 위한 예비실험으로 출토직물 편을 천연보존제 1%로 처리한 직물로 싸서 72시간 보관한 후 출토직물편의 미생물 실험결과 미생물의 증식이 확연히 준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품종, 건조제 및 보존제의 처리가 추계수확 연맥건초의 품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ultivar, Drying Agent and Preservative on Quality Changes of Fall Harvested Oat Hay)

  • 한건준;김동암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15-326
    • /
    • 1996
  • An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effect of cultivar, drying agent concentration and preservative on the moisture content, temperature and quality changes of fall harvested oat(Avena sativa L.) hay during field curing and storage. The main plots consisted of the cultivar such as 'Foothill' and 'Swan', the subplots consisted of drying agent concentration such as 7Skg/ha(C1), lOSkglha(C2) and control(C0) and the sub-subplots consisted of preservative such as buffered acid(BA), lactic bacteria inoculant(LB) and control(C0). Moisture contents of 'Foothill' and 'Swan' oat cultivar at harvest were 635.5 and 385.4%DW(Dry weight), respectively, but the final moisture contents of the oat cultivars were 117 and 86%DW. The moisture content of cut oat was not affeded by drying agent concentration. Core temperature of baled 'Swan' oat hay was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Foothill' and no consistent preservative effect was found. Total nitrogen content of 'Swan' oat hay was 3.08% and that of 'Foothill' oat hay was 3.45%(P<0.05). Drying agent treatment increased total nitrogen content of 'Swan'(P <0.05), but preservative had no effect. Crude fiber content of oat cultivar was increased as the curing progressed(P<0.05) and the difference of crude fiber content of oat cultivar was maintained through the whole curing period. Effect of drying agent concentration on crude fiber content was not found after preservation. Crude fiber content of 'Swan' oat hay was higher than that of 'Foothill' by 1.O% in ADF and 3.1 % in NDF(P<0.05). No preservative effect was found in crude fiber content. According to RFV of oat cultivar at harvest, forage quality of 'Foothill' and 'Swan' was Prime and Grade 1, respectively, but that of both cultivm was above Grade 2 at the final curing day. RFV of the stored 'Foothill' and 'Swan' oat hay was 122 and 114(P<0.05), respectively, and the quality of oat hay was classified as Grade 1 and 2,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forage quality standard assigned by AFGC.

  • PDF

식품보존제를 이용한 항균지 제조 (Manufacture of Antimicrobial Paper Using Food Preservative)

  • 이진호;이장호;박종문
    • 펄프종이기술
    • /
    • 제33권2호
    • /
    • pp.81-86
    • /
    • 2001
  • The functions of food packaging are not only prevention from physical damage and loss during carrying and transportation, but also extension of shelf-life by adding antimicrobial substrate in packaging materials. Consumption of active packaging is gradually increasing. With different dosage of potassium sorbate(P.S.), the food preservative agent, antimicrobial papers were made by internal and external application of starch. The antimicrobial action of the paper was analyzed by the halo test and the shake flask metho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ength were also measured. Antimicrobial papers adding P.S. showed higher values in tensile index than adding starch. The antimicrobial paper using starch showed similar microbe decreasing rate as that using P.S. Though microbe decreasing rate was 21.9%, it showed possibility to make antimicrobial paper using food preservative.

  • PDF

민들레(Taraxacum platycarpum) 추출물의 항균성검색 (Screening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Dandelion (Taraxacum platycarpum) Extract)

  • 김건희;전희정;한영실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14-118
    • /
    • 1998
  • In ordo. to develop the natural food preservative agent, freeze dried dandelion (Taraxcum platycarpum) was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the dandelion exhibited antimicrobial properties against five strains such as Bacillus subtilis,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The methanol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2000 $\mu\textrm{g}$/ml completely inhibited the growth of B. subtilis, E. coli, L. monocytogenes and V. parahaemolyticus.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ylacetate fraction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dandelion was the strongest fraction compare to those the other solvent fractions such as n-hexane, chloroform, n-butanol and water. The ethylacetate fraction showed the inhibitory effect at the concentration of 0.5 mg/disc on the growth of the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 PDF

식물성 천연 항균복합소재 처리에 의한 마늘종 및 돈육장조림의 저장 효과 (Preservative Effect of Garlic Stalk or Pork Cooked in Soy Sauce by the Addition of 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and Red Ginseng Mixture)

  • 정준호;조성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6
    • /
    • 2004
  • 본 실험에서는 식품의 미생물작용에 의한 변질의 저해 효과가 뛰어난 식물성 천연항균제품(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product)에 홍삼추출물을 첨가하여 조제한 식물성 천연 항균복합소재(Botanical Antimicrobial Agent-Citrus and Red Ginseng extract mixture BAACG)의 항균력 검사, 열 및 pH안정성, 미생물 세포막의 형태 및 기능성 변화를 검토하고 BAACG를 가공 반찬류인 마늘 종무침과 돈육장조림 제조원료중에 농도별로 처리하고, 상온에 저장하면서 오염 미생물 총균수 및 대장균수의 변화와 아울러, 제품의 외관상 변화를 무처리 대조구와 비교하면서 조사하였다. BAACG는 광범위한 영역의 미생물에 대하여 뚜렷한 항균력을 보였으며, 넓은 범위의 열 및 pH에서 안정성을 나타냈다. 또한,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사진의 결과, BAACG를 처리한 균체 세포는 세포막 및 세포벽 기능이 파괴되어 세포 내용물이 균체외부로 유출되어 균체의 생육이 억제되며 성장을 저해 또는 사멸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찬류에 BAACG를 처리하여 선도유지기간을 연장할 수 있는지를 판정하는 실험에서, 대장균수는 모든 처리구에서 BAACG의 첨가에 의해 성장이 억제되었으며 농도가 증가시킬수록 균 증식 억제 효과가 뚜렷하였으며, 총균수도 압도적으로 낮은값을 보여주었다. 외관상의 변화와 상품가치를 측정한 결과는 마늘종무침의 경우, 대조구에서는 5일이 경과한 후부터 부패가 시작되어 1주일이 경과 후에는 강한 부패취와 아울러, 점질성 물질의 생성으로 상품가치가 크게 떨어진 상태였다. 돈육 장조림의 대조구의 경우, 저장 3일째부터 강한 부패취와 함께, 점질성 물질이 형성되어 관능적으로도 부패 상태를 인지할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BAACG처리 시험구의 경우, 일정 처리농도 이상에서는 점질성 물질의 형성과 부패취가 미약하여 선도 유지 효과가 있음을 외관상으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BAACG의 처리는 가공 반찬류의 저장성을 최대한 연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반찬류뿐만 아니라, 여러 식품군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Glyceryl Caprylate의 화장품에서의 항균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microbial Effect of Glyceryl Caprylate in Cosmetics)

  • 안기웅;최민희;우윤택;조병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7-52
    • /
    • 2007
  • [ $C_{8-12}$ ]의 medium-chain free fatty acid 및 1-monoglyceride의 다양한 미생물에 대한 항균력은 잘 알려져 있다. Lipid의 항균력에 대해 발표된 연구는 추로 사람이나 가축에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성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항균력에 초점을 맞춰 왔으며, 실제로 화장품에 문제가 되는 미생물에 대한 체계적인 항균력 조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우선, 본 연구에서는 $C_{12}$ (glyceryl laurate)에 비해 $C_8$ (glyceryl caprylate) 사슬 길이를 가지는 1-monoglyceride의 화장품 제형 내 방부력을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C_8}$$C_{12}$의 chain length를 가지는 1-monoglyceride 모두 세균에 대한 방부력은 매우 우수한 반면, 진균에 대한 방부력이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_{12}$에 비해 $C_8$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glyceryl caprylate는 항균력이 약간 우수하였다. 이 후 화장품 방부력 시험에 사용되는 5종의 미생물 각각에 대한 glyceryl caprylate의 항균력을 알아보기 위한 시험 결과, 그람양성균인 S. aureus와 이스트인 C. albicans에 대한 항균력이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그람음성균인 E coli, P. aeruginosa 순으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곰팡이인 A. niger에 대해서는 다른 균에 비해 매우 취약한 항균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glyceryl caprylate의 화장품 방부제로서의 적용을 위해 A. niger와 같은 곰팡이에 대한 항균력을 높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 glyceryl caprylate의 A. niger에 대한 항균력이 산성 조건에서 현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7종의 다른 antimicrobial agent와의 병용을 통한 최적의 조합을 찾고자 실험한 결과, methylparaben과 조합했을 때 진균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좋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키토산 첨가에 의한 축육 소세지의 보전성개선에 관한 연구-I (Studies on the Improvements of Storage property in Meat Sauasge Using Chitosan-I)

  • 안동현;박선미;윤선경;김현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7-171
    • /
    • 1999
  • The production of emulsion sausage generally contain nitrite as a curing agent for preservative effect and color as well as flavor development. This investigation describe a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 of chitosan against some spoilage bacteria and substitution effect of nitrite in sausages. Among of the chitosan, M.W. 120KDa of chitosan has shown an antimicrobial effect. When 0.2% of chitosan and half of normal nitrite content were added to sausage, effect of preservative quality was same that added to normal content of nitrite in sausages. Sausage added to 0.5% of chitosan has been a good storage property even though without nitrite. The growth of most of bacteria was inhibited 80% or more at 0.01~0.2% of chitosa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M.W. 120KDa of chitosan as a natural material could provide sausage protection and very reduced or substituted amount of nitrite against spoilage bacteria.

  • PDF

ACQ 약제의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에 미치는 목재 조직의 영향 (Penetration of ACQ Treatment and its Effect of Degradation on Wood Tissues (Structure))

  • 이현미;이동흡;황원중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6호
    • /
    • pp.576-582
    • /
    • 2013
  • 구리계 보존제 처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하여 Douglas fir 변재와 ACQ-2 보존제를 사용하여 목재 내 침투 및 부후 특성을 조사하였다. 약제의 주입이 어려운 Douglas fir 수종에 대하여 약제의 주입이 잘된 곳과 안된 곳의 시료를 채취하여 약제 이동을 방해하는 인자를 구명하고자 방사조직 높이, 방사조직 밀도, 가도관의 길이를 실체현미경, 광학현미경, 그리고 전자현미경으로 측정 및 관찰하였다. 그 결과 방사조직의 높이와 밀도 그리고 가도관길이는 약제의 주입이 용이했던 부분과 주입이 안된 부분에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목재 구성 세포들의 벽공에서는 차이가 나타났음을 전자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었다. 약제의 주입이 안된 곳에서는 폐색된 벽공이 많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여러 농도의 ACQ로 처리한 목재 시편을 갈색부후균으로 부후시킨 후 광학 현미경으로 부후 특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무처리 시편의 가도관, 방사조직, 수지구 등의 조직이 부후되어 파괴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약제 처리 농도가 낮으면 부후가 진행되므로 일정 농도 이상으로 처리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의 용제추출 (Solvent Extraction of Preservative Components from CCA Treated Wood)

  • 김규혁;공일곤;나종범;조재성;김재진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0-56
    • /
    • 2003
  • 본 연구는 CCA 처리재로부터 방부제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적정 용제를 선정하고, 선정된 용제의 최적추출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추출수율과 용제의 사용 및 환경 안전성을 고려할 때, 과산화수소가 CCA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데 가장 적절한 용제로 선정되었다.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추출 결과, 추출온도, 추출용제 농도, 추출시간 간에 상호작용이 존재하였으나 추출온도와 추출용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추출시간이 연장될수록 CCA 유효성분의 추출수율은 증가되었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할 때 가능하면 낮은 농도의 추출용제를 사용하여 저온에서 추출하여야 하나, 이 경우에는 필요한 추출수율을 달성하기 위한 추출시간이 상당히 길어지기 때문에 40℃ 이상의 온도에서 추출이 바람직하며 사용할 추출용제의 농도는 추출시간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결정하여야 된다고 사료된다.

화학방부제 배합량 감소를 위한 폴리올류의 항균, 방부영향력 연구 (Effects of Polyols on Antimicrobial and Preservative Efficacy in Cosmetics)

  • 신계호;곽일영;이성원;서경희;문성준;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11-115
    • /
    • 2007
  • 일반적으로 화장품에는 제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텔(paraben, 파라벤), 이미다졸리 디닐우레아, 페녹시에탄올, 클로로페네신 등의 화학 방부제가 배합되어 있다. 화학 방부제는 제형의 안정성 및 방부 유효성이 우수하지만, 독성, 피부자극, 알러지를 유발하는 등의 단점이 있어 배합량을 줄이거나 배제하고도 제품의 안정성 및 유효성이 높은 보존 기술이 요구된다. 종래부터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BG), 프로필렌글리콜(PG), 디프로필렌글리콜(DPG) 등의 폴리올류들은 보습성분 및 용매로 범용되고 있으며, 고농도로 사용할 경우 항균력이 있지만, 사용성을 떨어뜨리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등 제품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폴리올류의 조성별 항균, 방부력 영향을 평가하고, 스킨케어 유화제형에서 방부제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폴리올 조성을 도출하여 방부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키고, 사용성 및 안정성도 개선하는 것이다.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류의 항균 증가력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항균 증가력은 미미한 반면 BG, PG의 영향력은 유의(p < 0.05) 하였다. S. aureus를 대상으로 화학 방부제의 항균력 증가를 측정하고 상관성을 회귀분석한 결과 폴리올 1 %를 증량할 때 PG는 $2.1{\sim}8.4 %$, BG는 $1.8{\sim}8.4 %$ 방부제의 항균력을 증가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로션, 크림 등 유화제품에서 폴리올에 의한 방부력 증가율을 측정한 결과 글리세린의 경우 5 %까지 함량을 증가시켜도 방부력이 증진되지 않았으며, BG 및 PG는 $5.5{\sim}9.9 %$ 증가할 때 40 % 이상까지 방부력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폴리올의 항균, 방부 영향력 측정으로 유화 제품에서 폴리올 배합을 조정하여 방부제 사용량을 40 %까지 감소시키고 사용성과 안전성 그리고 제품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paraben-free, 저방부, 무방부 시스템 도입시 베이스 처방의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